[세상속으로]내 손안의 '멋진 신세계'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내 손안의 '멋진 신세계'

  • 승인 2023-09-18 08:54
  • 신문게재 2023-09-19 18면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이성만 교수
이성만 배재대 명예교수
손안이든 주머니속이든 스마트폰을 품고 있지 않은 사람을 본 적이 있는가? 스마트폰이 세상으로 가는 우리 모두의 탯줄이 된 것이다. 15여 년 전의 아이폰 출시는 우리가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식에 이른바 혁명적인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왔다. 지난 날, 낯선 마을에 가면 으레 길을 물어야 했다. 기차나 고속버스의 다음 연결 편을 알려면 기차역이나 버스 터미널에 직접 가서 시간표를 확인해야 했다. 추석 귀향 기차표 예매는 한 편의 드라마였다. 게다가 우리는 언제나 몇 개의 기기를 휴대했다. 무선호출기 삐삐, 이동 중에 음악을 듣는 워크맨이나 MP3 플레이어, 사진용 카메라 같은 기기들 말이다. 나만의 기기에 숨은 데이터를 다른 사람과 공유한다는 생각은 상상조차 할 수 없었다. 2002년에 이런 기능 중 일부를 통합할 수 있는 휴대폰이 등장했다. 이메일을 읽고 쓸 수 있는 '블랙베리' 폰은 관리자들 사이에서 진정한 지위의 상징이었다. 기존 휴대폰의 T9 기능에 실망한 이들도 처음으로 쿼티 키보드에서 텍스트를 쓸 수 있었기 때문이다.

진정한 '신세계'는 2007년 1월 9일에 탄생했다. 스티브 잡스가 샌프란시스코의 <Macworld Conference & Expo>에서 마우스 클릭이 아닌 손가락 터치로 바꾼 아이폰을 들고 나온 것이다. 사용하기도 쉽고 직감적으로 조작이 가능했다. 모바일 폰이 내 손안의 미니컴퓨터, 곧 셰익스피어가 말한 'O brave new world'로 탄생한 것이다. 여기서 'brave'은 중세 영어다. 애플은 이렇게 세계 최상의 브랜드로 등극했다. 아이폰은 2007년 전 세계에서 1억 2200만대, 2016년에는 약 15억 대가 팔렸다. 이제 아이폰이든 삼성폰이든 스마트폰은 우리 일상의 필수품이 되었다. 내 손안의 '혁명적인' 스마트폰은 언제나 그곳에 있었기에 그동안 상상할 수 없었던 방식으로 우리의 삶을 뒤집어 놓았다. 우리는 아침에 일어나서 잠들기 전까지 최소 200번은 스마트폰을 뒤적거린다고 한다. 스마트폰이 우리를 '가상 기계 인간'으로 만든 셈이다. 이건 첫 단계일 뿐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이미 iWatch 같은 두 번째 웨어러블 기기를 넘어 도어록을 여는 칩을 이식했고 파운데이션 모델도 다양하게 응용중이다. 여기서부터 사이보그까지는 그리 멀지 않다. 이제 우리는 평가받는 존재가 되었다. 우리가 스마트폰으로 하는 모든 것, 사용하는 앱에 따라 엄청난 양의 데이터 흔적이 남는다. 우리는 예측 가능해졌고, 알고리즘들은 우리의 미래의 의도를 예측하기 시작했다. 우리가 이 작은 것들에 예속된 셈이다. 이들은 아무도 원하지 않는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하고, 먼 곳에 사는 사람들을 다시 하나로 모으기도 한다. 그러나 이 모든 것에는 대가가 따르기 마련이다. 적지 않은 사람들이 스마트폰 없이는 1분도 살 수 없다. 그래서 "노모포비아", "아이디스오더", "유령진동증후군" 같은 신조어도 생겨났다. 16세기에 이미 파라셀수스는 "용량이 독성을 결정한다."는 기본 원리를 알고 있었다. 올더스 헉슬리도 셰익스피어의 표현을 빗댄 제목의 소설 <Brave New World>(1932)에서 과학이 모든 것을 지배하게 된 반유토피아적 세계를 그렸다. 문명사회에서 성장한 린다가 인디언 보호 구역에 놀러갔다가 계곡에 추락하여 인디언들의 구원을 받고 존을 출산한다. 그러나 야만사회의 생활방식에 익숙하지 않아 비참한 삶을 산다. 그러나 린다와 존은 문명사회인 멋진 신세계로 돌아가는데, 원시의 삶을 누린 존은 육체적 행복은 보장되지만 인간의 탐구적·창조적 과학은 불가능한 문명의 삶에는 적응하지 못한다. 헉슬리가 그린 것은 과학의 진보가 아니라 그것이 우리 개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이다. 이런 '멋진 신세계'가 우리 곁으로 다가왔지만, 그 공포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그러니 내 손안의 '멋진 신세계'에 노예가 되지 않으려면 디지털 미래를 바르게 기억하고 의식하는 건실한 정념의 차원에서도 준비해야 할 것이다.

이성만 배재대 명예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세종시, 전국 최고 안전도시 자리매김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