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왕도 부여의 모습을 화폭에 담은 작가

  • 문화
  • 공연/전시

백제왕도 부여의 모습을 화폭에 담은 작가

하미숙 작가 첫 한국화 개인전
19일까지 부여 서동문화센터서

  • 승인 2023-12-12 09:51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낙화암 81cmX46cm 한지에 수묵담채
낙화암 81cmX46cm 한지에 수묵담채
충남 부여에서 활동 중인 하미숙 작가의 첫 한국화 개인전이 12월 19일까지 부여읍 서동문화센터 연꽃갤러리에서 열린다. 하미숙 작가는 백제의 고도 부여를 주제로 살아 움직이는 듯한 다양한 풍경을 화지 위에 펼친 듯한 수묵 실경산수화 20여점을 전시한다.

38년 차 공무원인 하미숙 작가는 인생의 대부분을 공직에서 보냈다. 하미숙 작가는 벽에 부딪히거나, 길을 잃거나, 삶의 무게가 너무 무겁게 느껴질 때마다 자신을 버틸 수 있게 해준 게 '문학'과 '그림'이었다고 했다. 그는 34세의 나이에 소설가로 등단했고, 시인이자 부여사비문학회 회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10여 년 전부터는 여러 분야의 화가들을 찾아다니며 그림을 배우며 '늦깎이 화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개인전은 이번이 처음이지만 그동안 안견미술 초대작가로서 공무원미술대전, 한국현대미술대전, 한국미술협회 충남도지회 미술대전, 안견미술대전 등 다수의 대회에서 입상했다. 단체전에는 180여 회 참여했다.

정림사지 오층석탑90cmX56cm 한지에 수묵담채
정림사지 오층석탑90cmX56cm 한지에 수묵담채
찬란했던 백제의 왕도였으며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부여가 고향이라는 하미숙 작가는 "고향에 감사하는 마음, 무심코 지나쳤을지 모를 고향의 아름다움을 작품으로 관객과 나누고 싶었다"며 개인전을 연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지난 1년간 미술 작업에 몰두하면서 새롭게 비친 부여의 풍경과 그것들이 가져다준 영감들을 작품에 담았다. 사물을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는 감성을 화지에 담아낸 것이다. 산과 강, 풀과 나무, 햇빛과 바람, 문화유적 등을 자신만의 감성으로 재해석해 수묵으로 표현했다.

현재 부여에서 작품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권경태 화백은 "하미숙 작가의 작품에서는 따뜻한 정감과 함께 작은 바람에도 움직이는 실경산수 속 무릉도원(武陵桃源)을 느낄 수 있다"며 "화려한 채색보다는 먹의 농담(濃淡)으로 산수의 묘미를 살린 하미숙 작가의 작품은 전시장을 찾은 관람객에게 감동을 선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미숙 작가는 "눈과 귀를 열자 비로소 보이고 들리는 게 정말 많은 곳이 부여라는 사실을 새삼 깨달았다"며 "작품을 통해 누군가에게는 고향에 대한 향수를, 누군가에게는 부여에 대한 동경심을 심어줄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정바름 기자 niya15@

부소산성 1 118cmX70cm 한지에 수묵담채 (1)
부소산성 1 118cmX70cm 한지에 수묵담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2. 대전교육청 교육공무직 명칭 '실무원'→ '실무사'… "책임성·전문성 반영"
  3. 산학연협력 엑스포 29~31일 대구서… 지역대 ‘라이즈’ 성과 한자리에
  4.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5.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1. 금강 세종보' 철거 VS 가동'...시민 여론 향배는 어디로
  2. [편집국에서] 설동호 대전교육감의 마지막 국정감사
  3. [썰] 전문학, 내년 지선서 감산 예외 '특례' 적용?
  4. 신탄진역 '아가씨' 성상품화 거리 대응 시민들 31일 집결
  5. 국민의힘 대전시당 신임 위원장에 이은권 선출

헤드라인 뉴스


대전, ‘바이오 신약의 수도’로 도약… 연구·창업·제조 잇는 생태계 완성

대전, ‘바이오 신약의 수도’로 도약… 연구·창업·제조 잇는 생태계 완성

대전이 '바이오 신약의 수도'로 저력 있게 변모하고 있다. 과학기술 인프라의 중심지인 대덕연구개발특구를 비롯해 연구소, 대학, 병원, 기업이 유기적으로 얽히며 기술창출부터 창업, 임상, 제조까지 이어지는 국내 유일한 풀 밸류체인 바이오산업 생태계가 자리잡고 있다. 30여 년 전 LG생명과학, KAIST,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연구중심기관에서 박사출신 연구자들의 창업이 잇따랐던 대전은 현재 300여 개 이상의 딥테크 기반 바이오벤처가 집적돼 있고, 이 가운데 최근 상장기업 수가 60곳까지 확대됐으며 지역 시가총액에서도 두드러진 비중을..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감독 못지 않게 스트레스를 받았을 친구다. 감독이 포옹해줘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앞두고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전날 구원 투수로 활약을 펼친 김서현 선수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 감독은 "심우준이 9번에 다시 들어왔다. 어제 큰 힘이 되는 안타를 친 만큼, 오늘도 기운을 이어주길 바란다"라며 전날 경기 MVP를 따낸 심우준 선수를 다시 기용하게 된 배경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