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일 만에' 충청권 휘발유 평균 1600원 돌파… '유류세 인하' 연장될까?

  • 경제/과학
  • 지역경제

'57일 만에' 충청권 휘발유 평균 1600원 돌파… '유류세 인하' 연장될까?

지난해 12월 14일(1597.20원) 이후 57일 만
11일 기준 대전 1602.94원, 충남 1605.69원, 세종 1604.18원, 충북 1612.81원
29일 종료 앞둔 유류세 인하... 정부 이달 중순 결정

  • 승인 2024-02-12 12:40
  • 수정 2024-02-12 21:10
  • 김흥수 기자김흥수 기자
KakaoTalk_20240212_104122396
국제 유가 상승 여파로 충청권 휘발유 평균 가격이 1600원을 돌파했다.11일 대전 중구에 소재한 주유소 모습. [사진=김흥수 기자]
국제 유가 상승 여파로 국내 기름값이 덩달아 오르면서 충청권 휘발유 평균 가격이 1600원대를 돌파했다. 이달 말 종료를 앞둔 유류세 인하 연장 여부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4월 총선과 물가 불안 등을 고려할 때 재연장되지 않겠느냐는 기류가 감지된다.

12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 등에 따르면, 현재 정부는 휘발유와 경유(LPG 부탄)에 붙는 유류세를 각각 25%, 37% 감면해주고 있다. 유류세 감면으로 운전자들은 시중에서 휘발유 ℓ당 205원, 경유 212원, LPG 부탄 73원 인하된 가격으로 기름 등을 넣고 있다.



2021년 11월부터 시작된 유류세 인하 조치는 16개월째 적용되고 있다. 정부는 당초 6개월만 한시적으로 유류세를 낮추려고 했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 리스크 등으로 7차례 연장했다. 현재까지 연장된 유류세 한시 인하 조치는 오는 29일 종료를 앞두고 있다.

KakaoTalk_20240211_171055768
11일 대전 중구에 소재한 주유소 모습. [사진=김흥수 기자]
이런 가운데 충청권 휘발유 평균 가격은 설 명절을 앞둔 지난 8일 1600원대를 돌파했다. 지난해 12월 14일(1597.20원) 이후 57일 만이다. 11일 기준 대전지역 휘발유 가격은 ℓ당 1602.94원, 세종 1604.18원, 충남 1605.69원, 충북 1612.81원으로 집계됐다. 예정대로 오는 29일 유류세 감면 혜택이 종료될 경우, 200원가량의 세금이 추가돼 1800원대 고유가 시대가 열리게 된다.



정부는 공식적으로는 유류세 인하 조치에 대해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물가 자극 가능성을 무시하기 어렵다는 분위기다. 세수 부담을 고려하면 유류세 정상화가 필요하지만, 2~3개월 추가 연장 후 국제유가 흐름을 보고 종료 여부를 검토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실제 중동 사태가 터지며 국제유가 요동쳤고, 이로 인해 국제 유가 상승과 더불어 국내 석유제품 가격이 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세수 감소에 부담을 느끼고 있지만, 지금처럼 유가가 계속 오를 경우 공공요금 인상과 맞물려 물가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KakaoTalk_20240212_104121443
11일 대전 중구에 소재한 주유소 모습.[사진=김흥수 기자]
여기에 정치적 상황을 고려해 당분간은 유류세를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4월 총선을 앞두고 민심을 얻어야 하는 정부 여당이 현시점에 유류세 감면을 중단하면 표심 이탈이 생길 것이라는 분석에서다.

대전 서구의 한 주민은 "곧 총선인데, 정부 여당이 물가상승을 부추긴다면 사실상 선거를 포기하겠다는 뜻이 아니겠냐"면서 "유류세를 정상으로 돌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유류세 인하 연장 여부는 이달 중순께 결정될 예정이다.
김흥수 기자 soooo08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5.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1.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