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전세사기피해자 법원에 전세사기 피해 양형기준 강화 촉구

  • 사회/교육
  • 사건/사고

대전전세사기피해자 법원에 전세사기 피해 양형기준 강화 촉구

25일 법원과 A 금융기관 앞서 기자회견

  • 승인 2024-04-25 17:39
  • 신문게재 2024-04-26 4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clip20240425171020
사진=정의당 대전시당 제공
대전 전세사기 피해자들이 대전지방법원에 전세사기 범죄 양형기준 강화 등 강력한 법적 처벌을 촉구했다.

대전전세사기대책위원회는 25일 법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양형기준 강화 요청,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특경법) 기준 개정, 전세사기 범죄자에 대한 재산 몰수와 추징 등을 요구했다.

기자회견에는 대전·전북·서울 지역 전세사기 피해자와 함께 박정현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제22대 총선 당선인), 진보당 김선재 부위원장, 김윤기 정의당 유성구위원장 등이 참여했다.

이날 대책위는 대전지방법원에서 26억 규모 전세사기 건 범죄자에 대해 징역 4년형을 판결한 사례를 들며, 타 지역 재판부(충주지법)가 19억에 7년을 구형한 것과 비교해 대전의 양형 기준을 꼬집었다.



5억씩 두 명 이상에게 사기를 친 범죄자에겐 특경법이 적용되는 반면, 1억씩 50명에게 사기를 친 범죄자는 일반 사기범이 된다는 것 역시 문제로 지적했다.

장선훈 대책위 부위원장은 "전세사기 범죄에 대한 양형기준을 높이고 현 특경법 판단 기준인 인당 피해액 5억을 합산 기준으로 변경해달라"며 "전세사기범이 범죄수익금을 은닉해 추후 사용하지 못하도록 재산몰수와 추징을 행해달라"고 촉구했다.

대책위는 제2금융기관인 A 기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해당 기관에는 전세사기 피해 주택 담보 대출 건에 대한 전수조사 시행, 피해 주택 담보 대출 건에 대한 이자 회수 중지, 연루 직원에 대한 형사고소와 검찰 수사 의뢰 등을 요구했다.

앞서 지난해 11월 대책위가 A 금융기관에 불·편법 대출 의혹을 제기하며 전수조사가 진행되길 바랐지만, 내부 조사결과 정상적인 대출이었다며 의혹을 부인했다는 이유에서다. 연루 의혹이 있던 임원이 빠르게 사직 처리돼 꼬리 자르기가 아니냐고 비판하기도 했다.

정창식 대책위 위원장은 "대전에서 발생한 피해 건물 관련 담보대출 36%가 A 금융기관에서 실행됐다"며 "해당 기관의 중앙회는 전국 소속 기관에 대한 전세사기 연루 대출 건 전수조사와 의혹이 있는 건에 대한 검찰 수사 의뢰를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1년 만의 행정수도 재추진...3가지 관문 통과가 관건
  2. 천안시의회 노종관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건축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본회의 통과
  3. 일상 속 위험, 예방이 먼저!
  4. 원모어아이 v2.0, 조달청 혁신제품 선정...기술력 입증
  5. 국세청, 집중호우 피해 납세자에 세정지원 강화
  1. 매월 22일 '소등의 날' 실천...세종시민이 탄소중립 선도
  2. 타이어뱅크(주)의 서비스 혁신·지역사회 나눔....7월에도 쭈욱~
  3. 19일 오후부터 충청권에 또 폭우…오전까지 침수·담장 붕괴 등 비 피해
  4. 지역 어르신들에게 삼계탕 선물
  5. 천둥 번개 동반한 강한 비… 대전·세종·충남 최고 150㎜

헤드라인 뉴스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7월 16일부터 나흘간 충청권에 600㎜ 가까운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3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900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다. 충남은 전국 피해의 80%를 차지하는 농작물이 침수됐고 가축 수십만 마리가 폐사해 피해가 극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예산과 아산, 당진에서 수해 복구 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충남도는 피해조사와 복구 대책 마련을 위한 합동조사단을 꾸린 상태다. 20일 충청권 4개 시·도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이어진 극한 호우에 충남에서는 서산(2명), 당진(1명)에서 3명이 침수 피해로 사망했다. 세종에서는..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후보들이 8.2 전당대회 충청권 순회경선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 논란에 일제히 침묵,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행정수도 완성 역행 우려와 공론화 없이 일방통행식으로 강행되는 이 사안에 대해 일언반구도 없어 지역 민심을 외면했다는 것이다. 19일 당 대표 후보인 정청래 의원(서울마포을)과 박찬대 의원(인천연수갑), 최고위원 후보로 단독 출마한 황명선 의원(논산금산계룡) 등 3명은 8·2 전대 첫 지역별 순회 경선지인 충청권 온라인 합동연설에 나섰다. 이 가운데 정 의원과 황 의원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산다'는 비판을 받았던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이 11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고액 보조금 경쟁을 막고 소비자를 보호하겠다며 시행된 단통법이 22일 폐지되면서다. 이와 함께 휴대전화 유통 구조도 크게 요동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단통법은 2014년 10월 휴대전화 유통시장의 혼탁한 보조금 경쟁을 바로잡기 위해 도입됐다. 정부는 이통사가 지원금을 의무적으로 공시하고, 유통점이 지급할 수 있는 추가 지원금을 공시지원금의 15% 이내로 제한했다. 하지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