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대전 O시 축제, 세계인의 축제로 키우자

  • 오피니언
  • 사외칼럼

[기고] 대전 O시 축제, 세계인의 축제로 키우자

  • 승인 2024-05-28 17:56
  • 신문게재 2024-05-29 18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김근종 교수
김근종 건양대학교 호텔관광학부 교수
요즘 TV를 켜면 심심찮게 나오는 프로그램 중 국민에게 인기가 있는 프로는 당연히 트로트 경연대회다. 각 방송사마다 그 인기는 대단하다. 왜냐하면 음악은 힐링은 물론이거니와 온 몸의 에너지를 원 없이 표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시점에 맞추어 이번에 대전에서 개최되는 대전 O시 축제는 그 주제가 옛날 향수를 불러오기에 충분한 '대전발 O시 50 분' 축제다. 이미 나이가 지긋이 들은 중장년 세대들은 이 노래를 들으면 옛날 대전역을 지나면서 가락국수 먹어 본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왜냐하면 대전은 국토의 중심에 위치한 역으로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한두 번쯤은 지나친 역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첫 번째 대전 O시 축제를 시행한 이후 이번에 두 번째 개최되는 O시축제에 대해 기대를 하지 않을 수 없다. 지난해 개최된 대전 O시 축제는 1993년 대전엑스포 이래 단일 행사로 최다 방문객인 109만 명이 방문했다고 하니 그 숫자만으로도 처음 개최된 것으로는 거의 성공적인 축제라고 할 수 있다. 거기에 경제적 효과가 1739억에 달한다고 한다. 많은 방문객들이 전국에서 대전을 방문하였다고 하니 놀라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대전 O시 축제가 대전을 넘어 세계 최고의 축제 중 하나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관심을 갖고 힘 기울여야 할 부분이 있다. 첫째는 대전발 O시 50분이라는 테마와 관련이 있다고 볼 때 향후 축제 기획에는 철도와 연계한 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코레일과 연계하여 0시50분에 출발하는 이미지를 형상화 시킬 수 있는 가칭 '0시 50분' 연극프로그램을 개발해 축제행사시 메인무대에서 공연할 필요가 있다. 가락국수 먹다가 기차를 놓치는 장면, 역 대합실에서 기다리는 장면 등 다양한 테마를 선정하여 공연한다면 전국적 차원에서 크게 호응을 얻을 수 있다. 아마도 나이가 지긋이 들은 중장년층에게는 더욱이 큰 인기를 얻을 수 있다. 연극은 축제 때만 한시적으로 할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대학로와 연계하여 전국에서 공연할 수 있으며 점차 노년층의 인구가 급증하는 가운데 이들에 대해 즐거움과 옛 향수를 불러 올 수 있다. 둘째는 축제는 다양한 관광 상품이 융-복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군악대축제, 프린지축제, 영화축제, 과학축제, 어린이축제, 재즈축제 등 다양한 축제의 프로그램 중 대전 O시 축제와 연계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적극 개발할 필요가 있다. 영국의 에든버러에서는 매년 8월에 축제가 개최되는 데 그 중에서 군악대의 백파이프 연주와 하이랜드 댄스가 시내 곳곳에서 펼쳐친다. 대전에서 개최되는 과학축제나 기타 구단위에서의 축제중 시와 협의를 거쳐 프로그램이 다소 중복되는 것이 있다면 동시다발적으로 개최되는 것도 축제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세 번째는 대전의 인근지역에는 계룡대가 있다. 군악대의 거리 퍼레이드 행진은 방문객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기에 충분하여 대전 O시 축제의 인기를 한 층 더 높일 수 있다. 오는 8월 영국에서 열리는 세계최대규모 공연예술축제 에든버러 프린지 페스티벌에 참가할 한국 공연 팀으로 뮤지컬 퍼포먼스 '아리아라리' 연극 '흑백다방' 등이 참가한다. '아리아라리'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정선아리랑의 소리와 타악, 현대적 개념의 음악과 무용 등이 어우러져 많은 관람객들에게 인기를 끈 작품이다. 하나의 축제를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복합된 프로그램의 선정과 개발도 매우 중요하다. 사실 프린지 페스티발은 사회각층의 다양한 문화와 예술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상상력과 도전정신을 엿볼 수 있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축제이다. 대전 O시 축제에서도 일정한 자격을 갖추기만 하면 외국인을 포함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아주 작은 규모의 공연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큰 축제 속에 아주 작은 축제는 다양한 개성을 가진 관람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도 명심하자. 이제 8월에 개최되는 '대전O시 축제' 가 국내는 물론, 전 세계인이 참여하는 축제로 발전시키기 위해 대전 시민 모두가 힘을 모으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세종시, 전국 최고 안전도시 자리매김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