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날 청소년동아리연합회 '은하수' 소속 청소년 10명은 밤양갱을 직접 만들었으며, 11일 충남동부보훈지청을 방문해 국가유공자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한상경 대표이사는 "지금 누리고 있는 평화와 자유는 호국영웅의 고귀한 희생이 있었기에 가능하다"며 "앞으로도 청소년이 나라 사랑 활동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마련하겠다"고 했다.
천안=정철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우리에게 달콤한 꿀을 선사해주는 꿀벌은 작지만 든든한 농사꾼이기도 하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수박, 참외, 딸기 역시 꿀벌들의 노동 덕분에 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공급의 약 90%를 담당하는 100대 주요 농산물 중 71종은 꿀벌의 수분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와 '꿀벌응애'라는 외래종 진드기 등장에 따른 꿀벌 집단 폐사가 잦아지면서다. 전국적으로 '산소호흡기'를 들이밀듯 '꿀벌 살리자'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으나 대전 지역 양봉..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이 가져올 효과는 과연 세종시 잔류보다 100배 이상 크다고 단언할 수 있을까. 객관적 분석 자료에 근거한 주장일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4일 충청 타운홀 미팅, 전재수 해수부 장관 후보가 14일 청문회 자리에서 연이어 강조한 '이전 논리'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효과 분석' 지표는 없어 지역 갈등과 분열의 씨앗만 더욱 키우고 있다. 사실 이는 최소 6개월 이상의 용역(가칭 해수부의 부산 이전 효과)을 거쳐야 나올 수 있을 만한 예측치로, 실상은 자의적 해석에 가깝다. 해수부의 한 관계자는 "수도권 일..
실시간 뉴스
13분전
의대 총장들, 유급 대상 의대생 8000명 '유급 후 2학기 복귀' 추진29분전
이장우 "3대하천 준설 덕에…더는 물난리로 불편 없도록"36분전
논산署, 제75주기 순국경찰관 합동 추도식 거행42분전
행복한 서산시민을 위한 다양한 활동 추진52분전
간밤에 잠잠했던 폭우 오후 다시 온다…19일 새벽까지 시간당 50㎜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오피니언
사람들
기획연재
추천기사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