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과내일] 충의 현장에 빛난 효

  • 오피니언
  • 오늘과내일

[오늘과내일] 충의 현장에 빛난 효

김덕균 한국효문화진흥원 효문화연구단장

  • 승인 2024-06-16 09:23
  • 신문게재 2024-06-17 19면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김덕균 단장
김덕균 단장
1592년 임진왜란 이전까지 조선 사회는 약 2백 년간 전쟁 없는 평화의 시기였다. 북방 국경지대에서 여진족과 일부 긴장 관계는 있었어도 전쟁으로까지 비화하지는 않았다. 남쪽에서는 왜구 출몰이 끊이지 않았지만 역시 제한된 지역 내 일부 소란 정도에 그쳤을 뿐, 조선사회 전체에 영향을 주지는 못했다. 조선의 통제력이 영향력을 발휘하며 전쟁으로 확대되지는 않았던 소소한 문제들이다.

이런 전쟁 없는 평화 속에서 조선은 문인 사대부 중심의 사회가 형성됐다. 이들이 다양한 의견 개진과 충돌을 주고받는 가운데 여러 당파와 당색이 만들어졌다. 같은 사안이라도 당파와 당색 따라서 전혀 다른 의견을 개진하면서 국가적 문제가 발생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일본 수신사 일행의 귀국 보고였다. 전쟁을 준비하는 일본의 상황이 심상치 않다는 보고와 그렇게 심각한 것은 아니란 상반된 보고가 그것이다. 전자는 전쟁에 대비하자는 입장이고, 후자는 나지도 않을 전쟁을 준비하다 보면 오히려 민심만 흉흉해진다는 의견이다. 모두가 평화 유지를 위한다는 데 공통점이 있었지만 대처하는 방법은 완전히 달랐다.



어쨌든 결과는 일본군의 대규모 침략으로 드러났고, 평화에 익숙했던 조선의 민관군은 모두가 혼비백산했다. 관군은 곳곳에서 무참히 깨졌고, 관리들은 도망가기에 바빴다. 최고지도자 선조 임금은 중국과의 국경 의주로 피난했다. 여차하면 중국으로 망명할 참이다. 이 땅을 책임져야 할 관리와 군대가 속수무책 나락으로 떨어지자 힘없는 백성들만 남았다. 이제 아무도 우리를 지켜주지 않는다. 우리 스스로가 우리를 지킬 수밖에 없다. 백성들은 단단히 각오하며 지역마다 지역 지킴이 부대를 결성했다. 의병부대 창설이다. 당시 지역은 혈족 중심의 집성촌이다. 지역에는 부모 형제 가족 친지가 있다. 마을 중심에는 조상을 모신 선산과 사당이 있다. 모두가 효의 산물들이다. 지역 지킴이 부대로 의병이 나왔다면, 의병은 곧 효의 부대였던 셈이다.

충북 옥천이 고향인 중봉 조헌도 그 가운데 한 사람이다. 고향 주변에서 의병을 모아 청주성 전투에서 대승을 거뒀다. 대승의 기쁨도 잠시, 의병부대의 승리를 시기 질투하는 관의 결정이 내려왔다. 승리에 대한 훈포장이 아닌 의병 해산명령이다. 계속 의병에 가담할 경우 부모와 처자를 모두 잡아 가두겠다는 협박 명령이다. 관군에게는 조헌의 의병부대는 조금도 지원하지 말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런 와중에 충남 금산에서 왜군과 대치하던 다른 의병부대의 지원 요청이 왔다. 해산명령으로 뿔뿔이 흩어진 의병을 모아보니 모두 7백명이 남았다. 조헌은 이들과 함께 충남 금산으로 향했다. 곡창지대 전라도를 공략하기 위한 일본군의 진로를 차단하기 위한 금산 전투, 치열한 공방전 끝에 조헌과 7백명의 의병은 모두가 전사했다. 아버지를 보호하기 위해 함께 참전했던 자녀들도 여럿 있다. 애당초 의병부대는 지역의 가족 친지를 지키는 효의 부대였고, 전투 현장에서도 아비를 몸으로 보호한 효자들이 가득했다. 조헌의 아들 조완기도 아비와 함께 현장서 순절했다. 이렇듯 의병부대의 전투 현장에는 효와 충이 함께 빛나는 일들이 잦았다.



효와 충이 어우러진 의병부대가 전국 각지에서 큰 공을 세우며 전세는 조선에 유리해졌다. 해전에서 이룩한 이순신 장군의 혁혁한 전공이 빛을 발하며 결국 임진왜란은 조선의 승리로 돌아갔다. 하지만 전쟁은 수많은 사연과 아픔을 남겼다. 그중 가장 큰 사연은 효로 뭉쳐 충으로 빛난 의병부대에 있다.

6월 호국보훈의 달, 나라사랑에 효가 함께 빛났던 역사를 돌이켜 보았다. 이 땅을 살리는데 효가 큰 역할을 했다. 한국인의 기본정서 속에 강하게 깃든 조상, 가족, 친지 사랑이 지역에 대한 강한 보호 본능으로 작용하면서 지역 지킴이 부대 의병이 나왔고, 의병부대가 지역을 방어하며 곳곳에서 혁혁한 공을 세운 가운데 결국 나라가 살아났다. 효가 나라를 살린 것이다.

/김덕균 한국효문화진흥원 효문화연구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2.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3.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4.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5. 어기구 의원, ‘K-스틸법’ 후속 국가재정법 개정안 대표 발의
  1. 양상추 가격 급등 현상에 대전 소상공인도 직격탄... 높아진 가격에 한숨만
  2. '사건 25%↑' 대전경찰, 우수부서 찾아 시상…서부署·중부署 등
  3.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4. 대전상의-국정원 '기업 기술유출 예방 설명회' 개최
  5. 설동호 교육감 시정연설 "모두 균등한 기회 누리는 든든한 대전교육 만들 것"

헤드라인 뉴스


대전만 없는 `공립형 대안학교`… 학교설립 공약 끝내 실패

대전만 없는 '공립형 대안학교'… 학교설립 공약 끝내 실패

설동호 대전교육감의 10여년 숙원이었던 공립형 대안학교 설립 공약이 결국 이행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지 확보에 오랜 시간을 소모했지만 끝내 추진에 실패하면서 차기 교육감의 과제로 넘어가게 됐다. 20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올 초까지 추진했던 유성구 복용동 설립이 결국 무산됐다. 당초 AI 특성화 대안학교를 설립하려던 계획이었지만 교육부가 1월 중앙투자심사에서 대안교육 중심의 학교 설립을 주문하면서 제동을 걸었다. 대안학교 성격을 변경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자 교육청은 주민 설득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다른 부지를 알아보겠다고 물러..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국회 패스트트랙(Fast Track: 신속처리안건) 충돌 사건으로 기소된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에게 유죄가 선고됐다. 당시 대표였던 황교안 전 국무총리와 원내대표였던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한 자유한국당 인사들도 마찬가지다.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 11부(장찬 부장판사)는 19일 오후 2시 특수공무집행방해와 국회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황교안 전 총리와 나경원 의원, 이장우 시장과 김태흠 지사 등 26명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유죄를 인정하고 벌금형을 선고했다. 나 의원은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벌금 2000만원,..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사상 첫 직선제로 이사장을 선출한 대전 대덕구 법동 으뜸새마을금고가 불법 선거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대해 수사를 벌인 경찰은 최근 사전 선거 운동 혐의 등으로 올해 7월 당선된 이사장 A씨를 검찰에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경찰과 법조계에 따르면 올해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이사장에 선출된 A씨는 공식 선거 운동 예정일 전부터 실질적인 선거유세를 펼쳤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는 2021년 제6대 선거까지 간선제로 진행됐지만, 올해 치러진 제7대 선거는 금고 설립 이후 처음으로 전체 회원이 투표에 참여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