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기자가 만나봤'수다'] 공대 출신 3인조 음악그룹 '방구석 프로뮤즈'

  • 문화
  • 문화 일반

[최기자가 만나봤'수다'] 공대 출신 3인조 음악그룹 '방구석 프로뮤즈'

한밭대 통기타 동아리서 만나 팀 결성
6년째 꾸준히 공연 및 음원 발매
지난해 예산 지원받아 단독콘서트도
"일·음악 병행은 지역 뮤지션의 현실"

  • 승인 2024-07-15 13:59
  • 수정 2024-11-12 10:46
  • 신문게재 2024-07-16 7면
  • 최화진 기자최화진 기자
최종
'방구석 프로뮤즈'는 대전에서 활동하는 3인조 음악 그룹이다. 멤버는 리더인 천원석(남·31, 작사·작곡 및 보컬), 박주안(남·29, 피아노와 작사·작곡 및 서브 보컬), 유병규(남·29, 기타 담당)로 구성돼 있다. 멤버 전원이 공대 출신이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진 이들은 한밭대 통기타 동아리에서 만나 2018년에 본격 팀을 결성하고 2019년부터 활동을 시작해 6년째 꾸준한 공연과 음원 발매를 이어오고 있다. 2022년에는 대전음악창장소의 지원을 받아 단독 콘서트를 개최하고, 올해도 지원을 받아 앨범을 제작 중인 '방구석 프로뮤즈'를 만나봤다. <편집자 주>

KakaoTalk_20240711_163903835
'방구석 프로뮤즈' 프로필 사진, 왼쪽부터 유병규, 박주안, 천원석.
최 기자: 안녕하세요~ '방구석 프로뮤즈' 유튜브 영상을 봤는데요. 세 분 이야기를 담은 브이로그가 저의 최애 영상이에요. 이렇게 주인공들을 만나 뵙게 돼서 영광입니다.

천원석: 감사합니다. 음악그룹인 만큼 음악 커버 영상도 많이 올리니 들어봐 주세요.

최: '방구석 프로뮤즈'라는 이름이 참 특이해요. 무슨 뜻인가요?



박주안: 저희 그룹 탄생 배경이 담긴 특별한 이름이에요. 저희 셋은 한밭대 통기타 동아리 출신입니다. 같이 학교를 다니며 교내 동아리방에서 연습만 하다가 졸업하고 본격적으로 팀을 결성했어요. 그래서 동아리 방에서 시작했다는 의미로 '방구석'이란 이름을 붙였죠.

천: '프로뮤즈'는 저희가 만든 단어예요. 저희가 세 명 모두 공대 출신이거든요. 그래서 '3'을 의미하는 화학 언어 'pro'를 활용했어요. 'muse'는 예술적 영감을 주는 대상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입니다.

최: 작사·작곡도 직접 하시는데 공대 출신이라는 점이 놀랍네요. 그럼 음악은 어떻게 시작하게 되신 건가요?

천: 저는 대학 진학 후에 단순히 기타를 배워보고 싶다는 생각에 통기타 동아리에 가입했어요. 사실 기타보단 노래에 더 자신이 있어서 동아리 오디션도 노래로 합격을 했었답니다.

신입생 때 충남대 축제에서 버스킹 공연을 한 적이 있는데 자리를 잘못 잡아서 공연 중간에 공연장을 이동해야 했어요. 이미 사람들은 모여 있고, 시간을 활용해보잔 생각에 노래를 부르며 자리를 옮겼죠. 그런데 이동하는 길 내내 관객들이 제 노래를 들으며 따라오시는 거예요. 마치 피리 부는 사나이처럼요. 그때의 감동이 커서 본격적으로 음악을 시작하고자 마음을 먹었던 것 같아요.

박: 저와 병규는 어릴 적부터 음악을 했었어요. 저는 피아노를 배우며 예고 진학을 준비했었고, 병규는 어릴 때부터 기타 치는 걸 좋아했었다고 했어요.

KakaoTalk_20240711_163903835_02
'ifLand 메타버스 공연' 공연 사진.
최: 세 분 모두 같은 회사에 다니면서 음악과 생업을 병행한다고 들었어요. 일과 음악을 병행하는 게 쉽진 않을 것 같은데, 어떤 일을 하시나요?

천: 저희는 공연 관련 일을 하고 있어요. 낮에는 회사에서 각자 일을 하다가 일주일에 2~3일 정도는 퇴근하고 연습실에서 또 만나요. 사실 일과 음악을 병행하는 게 쉽진 않지만, 지역 뮤지션으로 맞닥뜨리는 어쩔 수 없는 현실이에요.

최: 아무래도 수도권에 비해 지방은 공연 수가 적으니 지역 뮤지션들은 음악에만 집중할 수는 없는 것 같아요.

박: 맞아요. 뮤지션은 공연 수입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지방은 공연 자체가 적다 보니 생업을 병행하는 게 필수적이죠. 상대적으로 수도권보다 사람이 적어서 공연에 대한 니즈와 수요도 적은 게 당연한 현상이라고 봐요.

천: 또 지역 내에서 진행되는 행사는 한정적이어서 매년 참여하던 행사에만 공연 다니는 느낌이 있어요. 그런 축제들은 음악을 목적으로 하는 행사가 아니어서 아쉬운 부분도 있죠. 대전에도 음악을 전문으로 하는 락 페스티벌이나 재즈 페스티벌과 같은 축제가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최: 바쁘신 와중에도 현재 앨범 제작 중이라고 들었어요. 앨범 소개도 해주세요.

박: 이번 앨범은 대전음악창작소의 지원을 받아 제작 중에 있어요. 앨범 명은 '오해와 진실'이고, 사랑하면서 겪게 되는 오해와 진실들을 곡으로 담아봤답니다. 이 앨범이 저희한테는 애틋한 게 오래전부터 준비한 곡인데 코로나 시기를 겪으며 공연 기회가 없어 공개를 못 했던 곡들이에요. 이번 음악창작소 지원을 통해 열심히 준비하고 있으니 기대 많이 해주세요.

IMG_3617
단독콘서트 '룸메이트 2' 공연 사진.
최: 2022년 12월엔 '룸메이트 2'라는 단독 콘서트도 여셨는데, 올해도 계획이 있으신가요?

천: 기회가 되면 매년 열고 싶네요. 사실 지역 뮤지션이 소속사 없이 콘서트를 연다는 게 쉽지는 않아요. 첫 단독 콘서트는 지인들이 무상으로 공연도 도와주고 티켓도 잘 팔렸음에도 불구하고 적자가 났었거든요. 다행히 재작년에 열렸던 '룸메이트 2'는 대전음악창작소의 지원을 받아 적자를 면했죠. 지원 덕분에 스태프들에게 페이도 주고 규모도 더 키울 수 있었어요.

박: 단순히 금전적인 지원을 받는다는 걸 넘어서 공연을 키울 수 있고, 그로 인해 저희가 원하는 공연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도움과 희망이 됐던 것 같아요. 이제는 대전시에서 다양한 분야의 아티스트에 지원을 많이 해주셔서 예전보다는 지역 뮤지션으로서 활동하기는 수월해졌다고 생각해요. 감사한 부분입니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울공항 인근 도심 상공 전투기 곡예비행... 안전불감증 도마
  2.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3. 차기 대전교육감 선거 진보 단일화 시작? 5명 한 자리에
  4. 옛 파출소·지구대 빈건물 수년씩… 대전 한복판 중부경찰서도 방치되나
  5. [기고] 전화로 모텔 투숙을 강요하면 100% 보이스피싱!
  1.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2. 충남도 "해양생태공원·수소도시로 태안 발전 견인"
  3. 충남교육청 "장애학생 취업 지원 강화"… 취업지원관 대상 연수
  4. AI 시대 모두가 행복한 대전교육 위해선? 맹수석 교수 이끄는 미래교육혁신포럼 성료
  5.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논산여자상업고 글로벌 인재 육성 비결… '학과 특성화·맞춤형 실무교육'

헤드라인 뉴스


육사 지방이전 또 불붙나…충청 유치 선제대응 시급

육사 지방이전 또 불붙나…충청 유치 선제대응 시급

한 동안 불붙었다가 사그라들었던 육군사관학교 지방 이전 주장이 올 국정감사에서 또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여권 일각에서 국가균형발전 등 차원에서 당위성을 재차 설파한 것인데 이를 지렛대로 '국방수도' 충청권으로 이전할 수 있도록 지역 역량을 모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15일 더불어민주당 이상식 의원(용인갑)에 따르면 전날 국회에서 열린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내란청산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서울 노원구에 있는 육군사관학교의 지방이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육사는 61년의 박정희 쿠데타, 80년의 전두환 쿠데타 12·3..

코스피 종가 기준 최고가 경신... 3657.28에 장 마감
코스피 종가 기준 최고가 경신... 3657.28에 장 마감

미중 무역갈등 재격화 우려 속에서도 상승 출발, 3600선을 재탈환하며 장중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운 코스피가 종가 기준 최고가마저 경신했다. 15일 코스피는 전장보다 95.47포인트(2.68%) 오른 3657.28로 거래를 종료했다. 지수는 18.83포인트(0.53%) 오른 3580.64로 개장한 이후 꾸준히 고점을 높여갔고, 장 막판 한때 3659.91까지 오르는 모습을 보였다. 코스피는 전날에도 장 중 한때 3646.77까지 상승, 직전 장중 최고치(3617.86·10월 10일)를 갈아치웠으나 이후 급락해 3561.81로 장을..

`한국의 루스벨트`…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한국의 루스벨트'…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한국의 루스벨트'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이 15일 별세했다. 향년 67세. 고인은 1958년 대전에서 태어나 대전중, 충남고, 충남대를 졸업했다. 제34회 사법시험에 합격해 사법연수원(24기)를 수료한 뒤 변호사로 활동하다 현실 정치에 뛰어들었다. 17대 총선에서 대전 유성에 출마해 국회에 입성한 후 21대까지 내리 5선을 지냈다. 유성은 물론 대전, 나아가 충청발전을 위해 힘썼고, '법의 정의'를 지키고 소외계층과 사회적약자를 위한 지원에도 앞장섰다. 2023년 12월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뒤 이듬해 1월 국민의힘에 입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