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대전특수영상영화제, 9월 카이스트 및 원도심 일원에서 개최

  • 정치/행정
  • 대전

2024 대전특수영상영화제, 9월 카이스트 및 원도심 일원에서 개최

올해로 6회째 개최
9월 20일부터 22일까지
우수 특수영상 작품 선정

  • 승인 2024-07-21 11:29
  • 최화진 기자최화진 기자
보도자료 이미지
2023 대전 특수영상영화제 시상식
2024 대전 특수영상영화제 '대전 오버더탑 어워즈(Daejeon Over-The-Top Awards)'가 9월 20일부터 22일까지 3일간 카이스트 및 원도심 일원에서 개최된다.

올해 6회째를 맞이한 '대전 오버더탑 어워즈'는 국내 유일 특수영상 영화제로,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 주최한다.

특수영상 클러스터를 추진 중인 대전은 특수영상 산업도시를 표방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 영화제를 이어오고 있다. 유성구에는 아쿠아 스튜디오, 액션스튜디오 등 특수영상 로케이션이 갖춰져 있으며, 실제로 '오징어게임' '킹덤' 등 OTT 콘텐츠가 대전에서 촬영된 바 있다.

대전은 액션영상센터, 코리아액션스쿨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2년부터 '대전 드라마 페스티벌', '에이판 스타 어워즈' 등의 영상산업 행사를 개최하며 영상산업의 중심지로 역할해 왔다. 2019년부터 특수영상 거점도시 육성 정책에 따라 '대전 오버더탑 어워즈' 특수영상영화제로 규모를 확대하며 특수영상 산업도시에 박차를 가하게 됐다.



이번 영화제는 연기대상, 올해의 특수효과상 등 14개 부문을 시상하고, 상영회 및 GV, 체험전, 세미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될 예정이다. 특히 시상식에는 레드카펫과 OST 콘서트 등이 준비돼 있어 기대를 모으고 있다.

'대전 드라마 페스티벌'에서는 송중기, 손현주 등이 수상했고, '에이판 스타 어워즈'에서는 이준기, 조인성, 이보영 등이 수상하는 등 수많은 톱스타가 참석해 행사를 빛낸 바 있다. 이번 '대전 오버더탑 어워즈'도 지난해와 올해 큰 화제가 된 작품과 배우, 아티스트가 수상 후보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은학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장은 "대전은 스튜디오 큐브 등 국내 최고의 영상 인프라와 대덕특구의 기술력, 지역 대학의 우수 인력 등 특수영상의 최적지"라며 "2027년까지 1476억 원을 투입해 융복합 특수영상 콘텐츠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특수영상 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며 그 일환으로 대전 특수영상영화제가 더 규모 있게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셔츠에 흰 운동화차림' 천태산 실종 열흘째 '위기감'…구조까지 시간이
  2. 노노갈등 논란에 항우연 1노조도 "우주항공청, 성과급 체계 개편 추진해야"
  3.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홍성공업고, 산학 결합 실무중심 교육 '현장형 스마트 기술인' 양성
  4. 대전 중구, 국공립어린이집 위·수탁 협약식 개최
  5. 충청권 국립대·부속병원·시도교육청 23일 국정감사
  1. '충남 1호 영업사원' 김태흠 충남지사, 23일부터 일본 출장
  2.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
  3. 대전관평초 '학교도서관 운영 유공' 국무총리 표창
  4.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5. 대전권 대학 산학협의체, ‘한국-베트남 글로벌 청년 경진대회 행사 개최

헤드라인 뉴스


대전시-KAIST 국내 최대 양자팹 구축 착수

대전시-KAIST 국내 최대 양자팹 구축 착수

국내 최대 규모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이하 개방형 양자팹) 구축에 대전시와 KAIST가 나섰다. 대전시와 KAIST는 23일 이장우 대전시장과 KAIST 이광형 총장이 참석한 가운데 KAIST 본원에서 '개방형 양자팹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양자 산업화 시대를 대비한 필수 기반 시설인 '개방형 양자팹' 구축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마련됐다. KAIST '개방형 양자팹' 구축사업은 국내 최대 규모의 첨단 양자팹 건립과 양자 인프라 시설 및 장비 구축을 포함한 사업으로, 2031년까지 국비 2..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대전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목줄을 끊고 탈출해 대전시가 시민들에게 재난안전문자를 발송한 사건에서 견주가 동물보호법을 지키지 않은 정황이 여럿 확인됐다. 담장도 없는 열린 마당에 목줄만 채웠고, 탈출 사실을 파악하고도 최소 6시간 지나서야 신고했다. 맹견사육을 유성구에 허가받고 실제로는 대덕구에서 사육됐는데, 허가 주소지와 실제 사육 장소가 다를 때 지자체의 맹견 안전점검에 공백이 발생하는 행정적 문제도 드러났다. 22일 오후 6시께 대전 대덕구 삼정동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사육 장소를 탈출해 행방을 찾고 있으니 조심하라는 경고 재난..

[2025 국감] 적자에 차입금 부담만 커져… 충남대병원 재정문제 도마 위
[2025 국감] 적자에 차입금 부담만 커져… 충남대병원 재정문제 도마 위

차입금 부담만 수천억 원에 달하는 충남대병원의 누적 적자액이 1300억 원이 넘고 재원 환자도 줄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국회에서 제기됐다. 국회 교육위원회가 23일 충북대에서 연 충남대·충북대·부속 병원 국정감사에서다. 이날 오전 피감기관 대표로 조강희 충남대병원장과 김원섭 충북대병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문정복(더불어민주당·경기 시흥갑) 의원은 "누적적자가 충남대병원은 1374억 원, 충북대병원은 1173억 원"이라며 "독립 재산제로 운영되는 국립대병원에서 차입금 상환은 어떻게 할 것이냐"며 따져 물었다. 최근 3년간 두..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