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 두정동 먹자골목 숙원사업 '주차타워 조성' 풀리나

  • 전국
  • 천안시

천안시, 두정동 먹자골목 숙원사업 '주차타워 조성' 풀리나

-사업대상지 변경, 도비 분할 지원 등 이유로 2026년 12월까지 준공 계획
-방문객, 상인 편의성뿐만 아니라, 안전성 측면을 위해 조속한 사업 추진 열망
-시 관계자, "적극적인 사업 추진 이끌 것"

  • 승인 2024-09-10 11:14
  • 신문게재 2024-09-11 12면
  • 정철희 기자정철희 기자
천안시 두정동 먹자골목을 방문하는 시민과 상인들이 '두정동 공영주차타워 조성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염원하고 있지만, 당초 계획보다 1년 정도 지연될 전망이다.

10일 시에 따르면 상업 밀집 지역인 두정동 인근은 주차시설 부족으로 이용자들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어 주차난을 해소해 쾌적한 주거환경 및 지역 상권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공영주차타워 신축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시는 2025년 12월까지 주차타워를 조성할 계획이었지만, 공공건축기획용역으로 인한 사업대상지 변경, 도비 분할 지원 등의 이유로 2026년 12월까지 준공할 예정이다.

앞서 시는 원두정먹거리공원의 지하화를 통해 주차시설을 설치할 계획이었지만 비용 등의 문제로 2023년 7월 인근 부지 매입을 통한 주차타워 조성으로 방향을 틀었다.



당시 공공건축기획용역 중간보고 결과에 따르면 지하화를 진행하면 지하 1층은 199억원을 투입해 주차면 148면, 지하 2층을 통해 300면까지 확보할 수 있지만, 444억원이라는 거액이 들어 예산 투자 대비 효율성 면에서 부적절하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시는 188억원을 투입한 주차타워 6층, 주차면 180면을 조성하기로 변경했고, 이로 인해 사업이 전면 백지화돼 행정 절차를 재이행하게 됐다.

이후 6월 충남도 지방재정투자심사를 통과, 69억원을 지원받게 돼 사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었지만, 2026년까지의 지급으로 결정되면서 결국 2025년 말 완공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상당수 상인과 시민들은 시에 적극적인 행정 절차 이행으로 더 이상의 사업 지연 없이 원활하게 사업이 추진돼야 한다는 목소리다.

게다가 주차장 부족이 지속될 경우 고질적인 불법 주·정차로 인해 화재 발생 시 소방차 진입 불가나 보행자 인명 사고 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조속한 사업 추진을 열망하고 있다.

두정동 먹자골목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한 상인은 "두정동 먹자골목은 음식점이 많다 보니 언제나 화재 위험성에 노출돼 있지만, 소방도로 등에 불법 주차한 차량으로 인해 진입이 어려울 것으로 우려된다"며 "골목 이용객의 편의성, 안전성 등을 위해 주차타워 조성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 남은 주요 과제는 토지 매입으로, 주차타워 건설 예정 부지 토지주와 만나 지속적으로 협의를 해왔고 조만간 완료할 예정"이라며 "두정동 상권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인 사업 추진을 이끌어가겠다"고 했다.

한편 두정동 먹자골목 일대 2023년 10~12월 월평균 불법주차 단속 건수 및 민원은 총 1922건으로 나타났다.
천안=정철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2.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3.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4.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5.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1.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4.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5.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헤드라인 뉴스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전국 거점국립대 9곳 모두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재정을 집중 지원한다는 방침이지만, 예상과 달리 평가에 따라 일부 대학에 예산을 몰아주거나 차등 지원한다는 얘기가 나오면서다. 여기에 일반 국립대와 사립대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건의까지 속출하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전날인 18일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한 국회 예결위 예산소위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한 '국립대학 육성' 사업비 심사를 보류한 것으로..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