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국제정원도시박람회 142억 원...2025년 집행될까?

  • 정치/행정
  • 세종

세종 국제정원도시박람회 142억 원...2025년 집행될까?

최 시장, 11월 5일 오전 브리핑 통해 2025년 본예산 1.9조 원 설명
이 중 국비 77억 원, 시비 65억 원 예산으로 국제정원박람회 추진
2026년 가을 예고...11월 11일 시의회 제94회 정례회 분수령

  • 승인 2024-11-05 11:01
  • 수정 2024-11-05 15:13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전국 문화관광 축제
세종시만 유일하게 정부 지정의 문화관광축제가 없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누리집 갈무리.
'3월 전의조경수 묘목 축제와 4월 조치원 봄꽃 축제, 7~8월 조치원 복숭아 축제, 10월 세종축제.'

주민과 지역 단체, 지방정부가 매년 2일 이상 시민을 넘어 불특정 다수인을 대상으로 개최하는 축제들로, 세종은 연간 4곳에 불과하다. 단순 주민 위안 행사와 특정 계층 또는 순수 예술 행사는 제외한 수치다. 전국 17개 시·도 중 대전이 20곳으로 다음 순위에 있고, 경기도가 144개로 최다 축제를 진행 중이다. 정부 지정의 문화관광축제는 세종시만 유일하게 1개도 없다.

세종시가 이 같은 현주소와 도시 발전 전략을 고려, 2026년 9~10월경 '국제정원도시박람회'를 추진한다.

KakaoTalk_20241105_105506399
최민호 시장이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사진=이희택 기자.
최민호 시장은 11월 5일 오전 10시 보람동 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박람회 추진 예산을 포함한 2025년 본예산안(총액 1조 9818억 원)을 제시했다. 당초 2026년 4~5월 개최안이 더불어민주당 주도의 시의회 심의 문턱을 넘지 못하면서, 수정안으로 내놓은 카드라 할 수 있다.



2026년 가을 개최로 변경한 박람회 준비 예산은 국비 77억 원과 시비 65억 원을 포함한 총액 142억 원으로 편성·제시했다. 2025년 박람회 조직위원회 운영과 박람회 설계안 확정, 세부 사업 추진을 위한 명목을 담고 있다.

박람회 조감도
2023년 하반기 용역안에 담긴 박람회장 구성도. 사진=세종시 제공.
최 시장은 "그동안 논란이 된 정원도시박람회 개최를 놓고, 시민사회로부터 많은 의견을 들었다. 정치적 논란을 피하기 위해 개최 시기를 2026년 가을로 조정하겠다"라며 "기획재정부의 국제행사 승인을 받아 국비 77억 원을 정부 예산안에 반영한 만큼, 우리 시에서도 시비 65억 원을 편성해 박람회의 정상 추진을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이와 함께 문화 불모지 오명을 씻기 위한 '문화도시' 매칭 투자도 한다. 올해 말 문화도시로 최종 지정될 경우, 국비 30억 원에 시비 30억 원을 매칭해 다양한 한글 문화 사업을 벌일 계획이다. 충남·전북과 공동으로 추진하는 서부내륙권 광역관광개발에도 18억 원을 편성했다.

KakaoTalk_20240513_115418515_02
2024년 5월 중앙공원에서 열린 낙화축제. 사진=세종시 제공.
2023년과 2024년 5월 진행한 '낙화축제'도 2025년 이어간다. 여기에 마이스 기반 구축 등 관광 활성화 목적을 포함한 예산 6억 5000만 원을 문화관광재단 출연금으로 담았다.

이 같은 시의 구상이 성과로 이어질 경우, 2026년부터 '5월 낙화축제와 10월 정원축제'가 시의 새로운 축제 영역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관건은 세종시의회 제94회 정례회로 모아진다. 이미 제92~93회 임시회를 통해 '박람회 예산 전액 삭감'이란 이견을 보여준 만큼, 시기 조정안이 최종 타협안으로 매듭지어질 수 있을 지 주목된다.

이 같은 흐름으로 볼 때, 제94회 정례회 분수령은 12월 3일 산업건설위원회의 환경녹지국 소관 본예산 심의일로 다가온다. 이 문턱을 넘어 12월 9일부터 12일까지 지속되는 예산결산특별위원회도 관전포인트다. 최종 승인 여부는 12월 16일 5차 본회의를 통해 판가름난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1년 만의 행정수도 재추진...3가지 관문 통과가 관건
  2. 천안시의회 노종관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건축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본회의 통과
  3. 원모어아이 v2.0, 조달청 혁신제품 선정...기술력 입증
  4. 국세청, 집중호우 피해 납세자에 세정지원 강화
  5. 매월 22일 '소등의 날' 실천...세종시민이 탄소중립 선도
  1. 타이어뱅크(주)의 서비스 혁신·지역사회 나눔....7월에도 쭈욱~
  2. 19일 오후부터 충청권에 또 폭우…오전까지 침수·담장 붕괴 등 비 피해
  3. 천둥 번개 동반한 강한 비… 대전·세종·충남 최고 150㎜
  4. 천안시의회 조은석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독서문화 진흥 조례 개정안' 본회의 통과
  5. 천안시의회 김철환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의용소방대 지원 조례 전부개정조례안' 본회의 통과

헤드라인 뉴스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7월 16일부터 나흘간 충청권에 600㎜ 가까운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3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900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다. 충남은 전국 피해의 80%를 차지하는 농작물이 침수됐고 가축 수십만 마리가 폐사해 피해가 극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예산과 아산, 당진에서 수해 복구 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충남도는 피해조사와 복구 대책 마련을 위한 합동조사단을 꾸린 상태다. 20일 충청권 4개 시·도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이어진 극한 호우에 충남에서는 서산(2명), 당진(1명)에서 3명이 침수 피해로 사망했다. 세종에서는..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후보들이 8.2 전당대회 충청권 순회경선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 논란에 일제히 침묵,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행정수도 완성 역행 우려와 공론화 없이 일방통행식으로 강행되는 이 사안에 대해 일언반구도 없어 지역 민심을 외면했다는 것이다. 19일 당 대표 후보인 정청래 의원(서울마포을)과 박찬대 의원(인천연수갑), 최고위원 후보로 단독 출마한 황명선 의원(논산금산계룡) 등 3명은 8·2 전대 첫 지역별 순회 경선지인 충청권 온라인 합동연설에 나섰다. 이 가운데 정 의원과 황 의원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산다'는 비판을 받았던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이 11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고액 보조금 경쟁을 막고 소비자를 보호하겠다며 시행된 단통법이 22일 폐지되면서다. 이와 함께 휴대전화 유통 구조도 크게 요동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단통법은 2014년 10월 휴대전화 유통시장의 혼탁한 보조금 경쟁을 바로잡기 위해 도입됐다. 정부는 이통사가 지원금을 의무적으로 공시하고, 유통점이 지급할 수 있는 추가 지원금을 공시지원금의 15% 이내로 제한했다. 하지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