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 칼럼] 부실 공사는 인간의 역사와 나란히 걷는다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 칼럼] 부실 공사는 인간의 역사와 나란히 걷는다

최정민 미술평론가

  • 승인 2025-01-08 15:42
  • 신문게재 2025-01-09 19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최정민 미술평론가
최정민 평론가.
부실 공사는 적합한 재료를 사용하지 않거나 적정한 시간을 지키지 않고 불성실하게 시행한 공사를 의미한다. 대한민국에서 벌어진 부실 공사는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사건을비롯하여 성수대교 붕괴 사고,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 사고, 검단신도시 아파트 건설현장붕괴 사고 등 사건·사고가 끊이질 않고 있다.

부실 공사는 현대에만 발생하는 사고가 아니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함무라비 법전 229조와 230조에 따르면 '공자가 주택을 지었으나 온전하게 건설하지 못해 무너져 건축주(또는거주자)가 사망하면 그 시공자를 사형한다', '건축주의 노예가 부실시공으로 사망하면 시공자의 노예를 죽인다'라는 법이 제정되었다. 고대부터 존재했던 건축법은 불안정한 건축이 사람의 목숨과 직결되는 중대한 일로 보았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에도 부실 공사로 인하여 사건,사고가 비일비재하였다. 조선 정조연간(正祖, 재위 1776∼1800) 실학자인 박제가의 『북학의』에 따르면 건물을 세울 때 잘 다듬어지지 않은 재목(材木)을 평평하지 않은 터에 세웠기 때문에 온전한 건물이 없었다고 한다. 고을을 지나는 교량(橋梁)은 1년 이상 버티기 어려우며, 행여 다리가 무너질까 백성들을 동원하여 교각(橋脚)을 붙잡고 서 있게 하였다고 한다. 서민들의 주거지뿐만 아니라, 궁궐에서도 문제가 존재했다. 겨울철 부실 공사로 경복궁 북문인 신무문 일대의 담장이 무너져 내렸다고 하니 현대의 부실 공사와 크게 다를 바 없다.

조선시대 부실 공사에 대한 일면에는 조선시대 신분제도의 악습에 따른 기술인에 대한 천시가 한 몫하였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기술자들의 기술 수준이 향상되기 어려웠다. 조선 후기 도시 풍경을 담아낸 <태평성시도(太平城市圖)>는 건설공사를 하는 조선시대 노동자들의 현장 모습이 담겨있다. 3명 혹은 4명이 조를 이루어 건축재로 사용될 목재를 옮기는 모습, 건축물의 뼈대를 만들고 있는 장면들은 조선시대에도 체계적으로 공사가 시행되었음 을 인지할 수 있다.



조선 왕실에서는 공사에 대한 책임 의식을 높이기 위하여 담당자를 공개하는 '공사실명제'를 도입하였다. 지금의 '공사정보실명제'와 동일한 취지이다. 현재까지 한양도성 전 구간에 걸쳐 297개의 '각자성석(刻字城石)'이 발견되었다. 각자성석은 한양도성을 축조하기 위해 사용된 성곽의 돌에 당시 공사 담당자의 이름, 직책, 담당 지역 등을 날카로운 것으로 새겨 넣은 것이다. 성벽 축조 시 각 지방의 작업자들에게 구간마다 작업을 할당하여 성벽을 쌓게 하였다. 돌에 새겨진 정보와 세분화된 작업 방식은 성벽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각자성석을 확인하여 책임을 물기 위함이었다. 즉 나라에서 공사에 대한 책임을 분명히 하고자 한 것이다.

현재의 대한민국은 부실 공사로 인한 사고로 건축법이 점진적으로 강화되어왔다. 2022년 1월 27일에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은 안전·보건 조치의무를 위반하여 인명피해를 발생하게 한 사업주, 경영책임자, 공무원 및 법인의 처벌 등을 규정하였다. 부실 공사는 한국 특유의 '빨리빨리' 문화와도 연관된다. 공사 기간을 맞추려 무리하게 작업하니 부실 공사가 생길 수밖에 없다. 이윤추구를 위하여 적합한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 것도 주된 원인이다. 제값을 주지 않으면 안전한 시공은 불가능하다. 건설 현장에서 독촉하는 관행부터 근절시키고 작업 자의 환경부터 좋아져야 안전과 품질 보장이 되는 건설 문화가 자리 잡게 될 것이다.

최정민 미술평론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AI헬스케어부터 전통음식까지… 중소기업들 제품 홍보 '구슬땀'
  2. 국민의힘 대전시당 "이재명 정부, 충청권 철저히 배제"… 이 대통령 방문 전 기자회견
  3. 충남도의회 오인철 의원, 후계농업인 미래 위한 헌신 공로 인정받아
  4. 건양대병원, 전 교직원 대상 헌혈 참여 캠페인 전개
  5. 2025 대한민국 중기박람회 부산서 개막 '전국 중소기업 총출동'
  1. 대전시한의사회, 한국조폐공사와 우즈베키스탄 의료봉사 협약
  2.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3. 중도일보·대전MBC, 2025년 2분기 '목요언론인클럽 이달의 기자상' 수상
  4. 월드비전, 아산시에 1,000만원 냉방용품비 지원
  5. 동구아름다운복지관, 폭염대비 시원한 여름나기 사업 진행

헤드라인 뉴스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이재명 대통령은 4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라는 제목으로 진행된 타운홀미팅에서 "우리가 기억하는 박정희 시대에는 성장을 위해 결국 한 쪽으로 (자원을)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며 "고도성장기에는 성장을 위한 자원 배분이 한 쪽으로 몰릴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거의 특권 계급화된 사람들이 생겼다. 이제 이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균형발전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식민지에서 해방된 나라 중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이룬 나라는 대한민국밖에 없다"며 "재벌이라고 하는 대기업 군단으로 부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요즘 대전에서, 아니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초등생이 있다. 청아하고 구성진 트로트 메들리로 대중의 귀를 사로잡고 있는 대전의 트로트 신동 김태웅(10·대전 석교초 4) 군이다. 김 군이 대중에게 얼굴을 알린 건 2년 전 'KBS 전국노래자랑 대전 동구 편'에 출연하면서부터다. 당시 김 군은 '님이어'라는 노래로 인기상을 받으며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공중파 TV를 통해 강렬한 인상을 남긴 김 군은 이후 케이블 예능 프로 '신동 가요제'에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김 군은 이 무대에서 '엄마꽃'이라는 노래를 애절하게 불러 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