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체류자에 건설업 기초안전교육이수증 판매 일당 등 67명 검거

  • 사회/교육
  • 사건/사고

불법체류자에 건설업 기초안전교육이수증 판매 일당 등 67명 검거

  • 승인 2025-02-05 17:07
  • 신문게재 2025-02-06 6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주고받은 문자 사진 (1)
A씨와 의뢰자가 주고 받은 문자 (사진=대전경찰청 제공)
건설현장 취업에 필요한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이수증을 위조해 불법체류 외국인에게 판매하고 알선한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다.

대전경찰청 국제범죄수사팀은 사문서 위조 혐의로 지역 모 건설현장 노동자인 A(38)씨와 그의 배우자인 중국 국적 B( 38)씨 등 3명과 불법 위조 이수증을 구매하거나 주변에 알선한 내·외국인 64명을 불구속 송치했다고 5일 밝혔다.

이들은 2021년 9월부터 2024년 6월까지 국내 건설현장 근로자들에게 필요한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이수증을 위조 제작해 1매당 7~10만 원 상당을 받고 판매하거나 사들인 혐의를 받는다. 위조업자들은 일반 이수증은 물론 8시간 교육 이수를 해야 발급 가능한 전문 기능습득교육 이수증(거푸집공 등)도 위조해 외국인뿐 아니라 귀화인, 국내인에게 돈을 받고 건넸다.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4시간)을 받은 뒤 이수증을 제출해야 건설현장에 취업할 수 있다. A씨와 B씨는 한번 발급받은 이수증은 갱신 없이 계속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악용해 교육 이수 여부를 쉽게 확인하기 어렵도록 'QR코드'가 없는 2020년 11월 이전 이수증을 위조했다. 또 이수증 실물이 아닌 앞면 사진만 제시해도 근로가 가능한 허점을 알고 위조해 팔았다.



위조업자 부부는 중국 SNS를 통해 자신들의 위조를 홍보하고, 범행 흔적을 남기지 않기 위해 중국 현지 계좌나 위챗 페이 등을 통해 거래했다.

대전경찰청은 건설현장에 위조된 이수증이 유통된다는 첩보를 받은 후 중국인들이 사용하는 SNS에 위조 이수증을 제작 판매한다는 게시물을 추적해 위장거래 방식으로 2024년 6월 A씨를 주거지인 경기도 안산시에서 검거했다. 경찰은 A씨 주거지에서 위조된 이수증 3매와 위조에 사용된 컴퓨터, 카드 프린터기 등을 압수했는데, 위조 이수증 이미지 파일 269개를 확인하고 위조를 의뢰한 외국인과 인력소개업소를 특정할 수 있었다. 또 범죄 수익금 1883만 원 상당을 기소 전 추징보전 조치했다.

경찰 관계자는 "교육 미이수자들의 건설 근로 행위가 안전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교육 이수자들의 자격 여부 재심사와 QR코드가 없어 위조가 쉬운 이수증의 갱신하도록 고용노동부와 산업안전보건공단에 요청했다"라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위기 징후 있었는데…" 대전 서구 모자 사망에 복지단체 실태 점검, 대책 촉구
  2. 구자홍 비노클래식 대표, 목원대 문화예술원장 취임
  3. 대전교육청 급식 준법투쟁 언제까지… 조리원 직종 교섭 오리무중
  4.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5. 충남대 ‘대전형 공유대학 설명회’… 13개 대학 협력 시동
  1. 대전대 HRD사업단, 성심당 재직자 직무능력 향상교육
  2.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3. [사설] 여가부 세종 이전이 더 급하다
  4. 이재명 새 정부 '국가균형성장' 정책… 혁신 비전과 실행력 선보일까
  5.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물폭탄 피해 속출… 침수·하천범람 등 추가피해 우려

충청권 물폭탄 피해 속출… 침수·하천범람 등 추가피해 우려

17일 밤사이 충남 일대에 폭우가 쏟아진 가운데 마을 침수로 고립됐던 주민이 구조되거나 하천 범람 우려로 대피하는 등 피해가 잇따랐다. 학교 건물 침수, 정전 등 시설피해도 다수 발생해 학사일정이 조정되기도 했다. 충남도와 충남소방본부에 따르면, 16일 오후 5시부터 17일 오전 8시 까지 접수된 피해는 1125건이다. 주요 피해 내용으로는 공주 유구읍의 한 마을이 침수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17일 오전 7시 20분께 마을 내 50가구 중 20가구가 침수됐다는 신고가 접수돼 소방이 인명구조 활동을 전개했다. 소방은 신고 접수 2시간..

청양·부여 주민 100명 중 63명 지천댐 건설 `찬성`
청양·부여 주민 100명 중 63명 지천댐 건설 '찬성'

중도일보, 대전일보, 충청투데이가 함께 진행한 '지천댐 건설 찬반 여론조사' 결과, 청양·부여 주민 100명 중 63명이 지천댐 건설에 찬성했다. 앞서 지천댐 지역협의체가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찬성표가 소폭 줄긴 했으나, 이는 조사범위 확대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이번 결과에 따라 다수의 주민이 지천댐 건설을 희망하는 것으로 드러나 댐 건설 명분이 보다 명확해졌다. 중도일보-대전일보-충청투데이는 지난 11일부터 14일까지 '지천댐 건설에 대한 여론조사'를 진행했다. 여론조사는 ㈜리얼미터가 수행했으며 조사 대상지는 청양..

세종시 소재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도 급물살...지역 반발 확산
세종시 소재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도 급물살...지역 반발 확산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나비효과가 서울시와 세종시 등으로 산재된 산하 기관의 후속 이전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16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해수부의 부산 이전이 연말로 확정되고, 입지도 부산시 동구 IM빌딩(본관)과 협성타워(별관)로 정해졌다. 이 같은 흐름이 강행 국면으로 전환되면서, 자연스레 서울과 부산 등으로 분산된 해양수산 관련 산하기관 이전안으로 옮겨가고 있다. 해수부는 이날 내부 고위 관계자 회의를 통해 이 같은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외형상 해수부와 산하 기관이 한데 모여 있어야 시너지 효과를 줄 수 있다는 판단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

  • 초복 앞두고 삼계탕집 북적 초복 앞두고 삼계탕집 북적

  •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