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 지난 비위생매립장서 침출수가 졸졸 흘러…보고서엔 '카드뮴 검출'

  • 사회/교육
  • 건강/의료

40년 지난 비위생매립장서 침출수가 졸졸 흘러…보고서엔 '카드뮴 검출'

서구 봉곡동 비위생매립장 1985년 종료
40년 지난 현재 침출수에 붉은 부유물
2003년 용역보고서엔 카드뮴 기준초과

  • 승인 2025-03-26 17:30
  • 수정 2025-03-26 18:29
  • 신문게재 2025-03-27 6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IMG_3259
대전 서구 봉곡동의 1985년 비위생매립장의 끝지점에서 침출수가 관찰됐다. 붉은 알갱이의 부유물에 주변 토양까지 물들었다. 삽으로 오염토를 걷어내고 부유물을 용기에 담았다. (사진=임병안 기자)
<속보>=생활폐기물 매립을 완료하고 40년간 안정기를 가진 비위생매립장에서 오염된 침출수가 지금도 유출되고 있다. 해당 비위생매립장은 2003년 이뤄진 대전시의 용역조사에서 이미 카드뮴(Cd)에 오염되고 휘발성유기화합물(TCE)가 검출되는 것으로 보고됐으나, 아무런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다. <중도일보 2025년 3월 25일자 3면, 26일자 1면 보도>

26일 오후 찾은 방동저수지에 가까운 서구 봉곡동의 한 산비탈. 봉곡동 마을과 봉곡저수지로 가는 길목인 이곳은 1985년 대전에서 발생한 생활폐기물을 묻은 매립지다. 이곳에 매립된 폐기물은 21m 깊이로 총 2만8548㎥가 이곳에 쌓였다. 1985년 5월 17일 폐기물을 쌓기 시작해 6월 13일 종료했다고 기록된 것을 보았을 때 한 달 만에 3만㎥ 가까운 쓰레기 산이 만들어진 것이다.

이날 기자가 찾은 현장은 겉으로는 평범한 밭처럼 녹색 호밀이 자라는 풍경이었으나, 뒤로 돌아 지대가 가장 낮은 곳에 이르자 붉은빛 도는 침출수가 한눈에 목격됐다. 최근 건조한 날씨 탓에 다른 계곡과 수로는 물이 말라 마른 낙엽만 쌓여 있으나, 매립장의 끝 지점인 이곳은 졸졸 하수가 흘러 작은 웅덩이를 이룰 정도로 끊임없이 오염수가 샘솟았다.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가 관찰해보면 시큼한 냄새와 함께 알갱이처럼 붉은 빛 도는 부유물이 둥둥 떠다니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초파리가 날며 주변의 토양은 이미 부유물에 붉게 물들었다.

현장에서 만난 토지주는 "저희 아버지 때 생활폐기물 매립장으로 사용됐는데 지자체가 산업폐기물까지 묻으려 해 주민들이 반발해서야 매립이 중단된 곳"이라며 "물이 오염돼 매립지 아래 논에 물을 댈 수 없어 보다시피 호밀을 심어 소 여물 정도만 수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장에서는 쓰레기매립장에 일반적으로 조성하는 침출수 수거장치나 하수관로조차 없이 그대로 하류 봉곡저수지와 갑천으로 유입됐다.



특히 이곳은 지자체가 2003년 이미 카드뮴(Cd)에 오염되고 휘발성유기화합물(TCE)이 검출된다는 사실을 알았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중도일보가 확보한 '대전시 비위생매립지 개선방안(2003년)' 보고서에 중금속 농도는 선별토의 경우 봉곡동에서 카드뮴(Cd)이 초과 검출됐고, TCE 농도는 이곳에 휘발성유기화합물이 포함된 폐기물까지 매립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기록하고 있다. 카드뮴은 인체에 해로운 토양오염 중금속이다.

봉곡동_edited
대전 서구 봉곡동에서 1985년 폐기물 비위생매립장으로 사용된 부지에 호밀밭. 대조적으로 침출수가 모인 웅덩이는 심하게 오염되어 있다.  (사진=임병안 기자)
대전시 관계자는 "비위생매립장은 종료 후 30년까지 관리하도록 돼 있고, 침출수와 매립가스 등이 확인될 때는 그 이상까지 관리대상으로 오염원을 포집하나 봉곡동은 관리대상은 아니다"라며 "현장에서 오염 여부에 대한 확인 후 조치를 검토하겠다"라고 설명했다.
임병안·정바름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형 라이즈' 13개대학 643억 투입 83개 과제별 사업 수행
  2. 대선정국 도심단절 철도 도로 입체화 관철시급
  3. 이재명, 사법 리스크 극복하고 세 번째 대권 도전 성공할까
  4. 대전 기간제 교사 5년간 400여명 늘었다… 정교사는 감소세
  5. SKT 유심교체 첫날, 대전 대리점 곳곳 긴 줄… 노년층 혼란 극심
  1. [기고] 대전·충남 통합의 과제와 전망
  2. 대전 당원 만난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3. 유심 교체의 긴 줄
  4. "충남미술관 성공적 건립 위해" 지역 예술계 상생·협력의 장 마련
  5. 늘봄학교 이후 수입 줄어… 설자리 잃은 방과후 강사들

헤드라인 뉴스


대전 토끼봉에 일제 방공호 2개 "길목에 만든 일본군 참호"

대전 토끼봉에 일제 방공호 2개 "길목에 만든 일본군 참호"

대전에서 충북 옥천을 잇고 한때는 청주 방향으로 분기하던 교통 요충지에서 일제강점기 방공호 동굴 2개가 추가로 확인됐다. 밖에서 동굴 입구가 보이지 않도록 벽을 세워 숨겼고, 산봉우리 아래 4개의 동굴을 각기 다른 방향으로 팠다는 증언까지 나왔다. 대전 동구 신상동 오리골마을에서 만난 송정의(91) 옹은 벚꽃길로 유명한 회남로 주변에 일제강점기 조성된 동굴에 대해 증언했다.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이 마을 역사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지하 방공호 이야기를 듣고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 이곳은 1975년 대청댐이 준공되어 수몰되기 전에는..

5월 충북 1448세대 분양… 대전·세종·충남 분양 없어
5월 충북 1448세대 분양… 대전·세종·충남 분양 없어

충청권 내 5월 아파트 분양은 1400여 세대 규모로 모두 충북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세종·충남은 분 물량이 없어 '공급 절벽'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28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5월 전국 분양예정 물량은 22개 단지 1만 7176세대(일반분양 1만 1065세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일 실적과 비교해 7% 줄어든 물량이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 1만1697세대, 지방 5479세대가 공급된다. 전국적으로 보면 수도권은 ▲경기 6603세대 ▲서울 4333세대 ▲인천 761세대가 예정돼 있고, 지방은 ▲부산..

예산 급감·정부 무관심 ‘도심융합특구’, 정치권이 불씨 살린다
예산 급감·정부 무관심 ‘도심융합특구’, 정치권이 불씨 살린다

정부가 지역소멸 해결을 위해 추진한 ‘도심융합특구’ 조성사업이 방치되면서 정치권을 중심으로 불씨를 되살리려는 노력이 구체화 되고 있다. 도심융합특구 사업을 추진 중인 5대 광역시의 국회의원들은 포럼을 만들어 공동대응에 나서고, 사업에 필요한 원활한 재원 확보를 위한 법률 개정안도 발의됐다. 우선 국회 도심융합특구발전포럼(포럼)은 4월 29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출범식을 개최하고, 국회와 지방자치단체, 정부, 민간, 학계 등이 모여 도심융합특구 추진 전략을 발표하는 자리를 가진다. 도심융합특구는 판교 테크노밸리를 모델 삼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당원 만난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대전 당원 만난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 향토기업과 함께 대선 홍보…선거 김 출시 향토기업과 함께 대선 홍보…선거 김 출시

  • 유심 교체의 긴 줄 유심 교체의 긴 줄

  • 내가 만든 모형항공기 하늘로 슝~ 내가 만든 모형항공기 하늘로 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