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서] 지역 균형발전 관철 타이밍

  • 오피니언
  • 편집국에서

[편집국에서] 지역 균형발전 관철 타이밍

조훈희 경제부 기자

  • 승인 2025-05-13 09:58
  • 신문게재 2025-05-14 18면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증명사진 -조훈희
조훈희 경제부 기자
좁은 땅덩어리. 이 중에서도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엔 우리나라 인구의 과반이 살고 있다. 해마다 지역 인재가 서울로 유출되는 사회적 이슈가 발생하는가 하면, 수도권에 인구가 쏠려 있는 기형 구조로 부동산 양극화가 커지고 있다. 내집 마련의 꿈을 잃은 서울에선 저출산이 심화되고 있고, 일자리와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지방엔 청년이 떠난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과 지방의 부동산 양극화 심화는 현재 진행 중이다. 앞서 3월 서울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재지정으로 집값 상승폭을 키워갔다. 반면, 충청권을 비롯한 지방은 연신 하락세를 보이는 등 직격타를 맞았다. 수도권 중심의 부동산 정책으로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화한 상황에서 지역 부동산이 반등 조짐이 나타나기까지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란 전망도 있다.

수도권 쏠림 현상은 올해도 이어졌다.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가 청약홈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수도권 청약 경쟁률은 평균 71.4대 1, 대전은 7.3대 1로 약 10배 차이가 났다. 아파트 입주율도 비슷하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3월 수도권의 아파트 입주율은 81.5%에 달했지만, 대전·충청권은 51.7%에 그쳤다.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다음 달 치러진다. 말로만 균형발전이 아닌 '지방시대'를 열어야 할 타이밍이 왔다. 청년 인구, 부동산 양극화 등 기형적인 구조를 조금이나마 개선하기 위해선 지역 균형발전이 시급하다.



충청권에선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해묵은 현안이 한 두 개가 아니다. 우선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이다. 대통령실 및 국회 완전 이전을 통해 지역 균형발전을 견인함은 물론, 정부부처는 세종에 있고, 국회와 대통령실은 서울에 있어 불편한 문제를 일원화해 해소해야 한다.

또 대전 충남 혁신도시 제2차 공공기관 이전도 시급하다. 대전과 충남은 2020년 혁신도시로 지정됐는데, 대통령이 두 번 바뀔 동안 무늬만 혁신도시'라는 오명을 쓴 채 묻혀버렸다.

이번 선거와 함께 차기 정부에서 진지하게 논의가 될 필요가 있는 현안들인 만큼, 반드시 관철될 수 있도록 후보들에게 제대로 된 확답이 필요하며, 긴장의 끈을 놓아선 안 된다.

나아가 수도권 인구 집중심화와 지방 소멸 가속화를 전망하는 데 있어 부동산이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부동산 양극화에 대한 차별화 된 대책도 필요하다. 지방 부동산 경기를 살릴 수 있는 과감한 규제 완화 등 로드맵도 제시해야 한다.

흔히 지역 부동산 업계에선 서울을 '다른 세상'이라고 표현하곤 한다. 지역 균형발전을 통해 기형적인 구조와 인식을 조금이라도 바꾸는 데 이번 대통령 선거가 기점이 됐으면 한다. 이를테면 이런 거다. 이번 대선을 앞두고 대통령실 세종 이전에 대한 후보들의 공약에 따라 세종시 집값 상승 폭이 서울보다 높았다. 사람들은 벌써 '거품', '투기' 비판이 거세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세종은 올라서 10억 원대다. 4월 거래된 서울 84㎡ 기준 실거래 최고가 70억 원까지는 턱도 없다.
조훈희 경제부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항우연 노조, 이상철 원장 사퇴 촉구 "무능과 불성실"… 항우연 입장은?
  2. 경부고속도 '상서 하이패스IC' 10월 내 개통된다
  3. '현충원 하이패스 IC' 재추진 시동…타당성 조사 연말 완료
  4. "석식 재개하라" 둔산여고 14일부터 조리원 파업 돌입… 4~5개교 확산 조짐
  5. [꿈을JOB다! 내일을 JOB다!] 스무 살에 금융기관 취업한 비결은?
  1. 5개월 앞둔 통합돌봄, 새틀짜기 논의 활발 "기관 협의체 만들고 직역 협력모델을"
  2. 명실상부 중부권 최대 캠핑축제… '2025 꿀잼대전 힐링캠프' 활짝
  3. [홍석환의 3분 경영] 올바른 질문이 먼저
  4.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5. [기고]안전한 대전시민의 밥상을 위해

헤드라인 뉴스


둔산여고 조리원 파업 재개… 수능 한달앞 학생 피해 불가피

둔산여고 조리원 파업 재개… 수능 한달앞 학생 피해 불가피

1학기 준법투쟁 시작 후 석식(저녁)이 중단된 대전둔산여고 조리원들이 14일부터 급식 파업에 돌입한다. 수능을 30일 앞둔 가운데 노사 양측의 갈등이 극으로 치달으며 학생 피해가 불가피하게 됐다. 13일 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학비노조) 대전지부·대전교육청에 따르면 다음날인 14일부터 대전둔산여고 조리원 9명 중 7명이 급식(중식) 파업에 나선다. 기한은 정해져 있지 않다. 둔산여고 파업에 연대해 노조 간부 등이 속한 4~5개 학교서도 파업에 동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학비노조는 1학기 중단된 석식이 재개되지 않는 데 대해 문제를 제기..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전국체전을 앞둔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훈련장에는 뜨거운 열기가 감돈다. 체육관 바닥을 때리는 육중한 바벨의 굉음 속에도 선수들의 눈빛은 흔들림이 없다. 이들의 목표는 '대전의 힘'으로 금메달을 들어 올리는 것이다. 그 중심에는 대전체고와 한국체대를 거쳐 성장한 전해준 선수와 꾸준한 성적으로 대전 역도의 저력을 이끄는 한지안 선수가 있다. 대전체고와 한국체육대학을 졸업한 전해준(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선수는 고교 시절 제100회 전국체전 역도 인상 부분 금메달을 목에 걸며 유망주로 성장했다. 대학 진학 후 한동안 부상과 재활을 거듭하다..

`2025 대전 빵축제` 더 커진 규모로 찾아온다
'2025 대전 빵축제' 더 커진 규모로 찾아온다

매년 큰 인기를 받은 대전 빵축제가 올해 몸집을 더 키워 찾아온다. 13일 대전관광공사에 따르면 오는 18일부터 19일까지 2일간 대전 동구 소제동 카페거리 및 대동천 일원에서 대전의 102개 빵집이 참여하는 가운데 '2025 대전 빵축제'를 개최한다. 올해로 5회째를 맞는 '2025 대전 빵축제'는 대전관광공사가 주최·주관하고 대전시, 동구청, 대한제과협회대전광역시지회, 성심당이 후원하며, 공식행사, 빵집 컬렉션, 마켓&체험 프로그램, 축하공연, 구매이벤트, 부대프로그램 등 다채롭게 펼쳐진다. 주요행사로 ▲개막식 ▲10m 대형롤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 가을비 머금은 화단 가을비 머금은 화단

  •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