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칼럼] 121. '김호연재 문학관' 건립을 제안한다

  • 오피니언
  • 사외칼럼

[염홍철 칼럼] 121. '김호연재 문학관' 건립을 제안한다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 승인 2025-05-22 12:00
  • 현옥란 기자현옥란 기자
염홍철칼럼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조선 시대 여인들에게는 학문에 접근이 규제되거나 제한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여인들의 문학 작품이 있었지만, 사실상 문학적으로 성공한 작품은 많지 않습니다. 문학성을 인정받은 사람은 허난설헌(許蘭雪軒 1563-1589)과 김호연재(金浩然齎 1681~1722) 두 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특히 김호연재는 안동김씨로 태어났으나 은진송씨 명문가인 동춘당 송준길의 증손부가 되어 대전에 시집을 온 '대전 사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허난설헌에 비해 늦게 그의 작품이 조명되었는데, 당시 규범적이고 교훈적인 작품과는 달리 문학성이 뛰어난 작품들을 발표했습니다. 특히 남자들의 패덕을 비판하고 여성의 순종과 희생을 강요하는 것을 통쾌하게 지적하여 '홀로서기'를 선언하였지요. 특히 그의 작품은 자연 속 삶을 주제로 한 시가 많으며, 이를 통해 조용하고 자족적인 세계관을 드러냈습니다. 여성으로서의 자각과 품격 있는 언어를 사용하였으며 여성 문인으로서 자기 세계를 정갈하게 표현하였으며, 절제된 감정과 고요한 감성이 어우러진, 기품 있는 작품이었습니다.

허난설헌과 그의 작품을 비교하면, 허난설헌은 고통 속에서 피어난 예술성과 환상의 추구를 보여줬다면, 김 호연재는 차분한 절제와 유교적 삶의 품격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대비됩니다.

42세에 마감한 짧은 생이었지만 244편의 주옥같은 시를 썼습니다. 지금 대전의 동춘당 공원에는 '야음(夜吟)'이라는 그의 시비(詩碑)가 서 있는데, 많은 사람들의 공감과 사랑을 받는 시이지요. 야음… '밤에 읊는다'라는 뜻으로 불행한 결혼생활에서 시 창작으로 불꽃을 피운 시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군의 사후에도 가문을 지키며 시와 글로 인격을 드러냈지요.



'야음(夜吟)

달빛 잠기어 온 산이 고요한데/ 샘에 비친 별빛 맑은 밤/ 안개 바람 댓잎에 스치고/ 비이슬 매화에 엉긴다/ 삶이란 석 자(三尺)의 시린 칼인데/ 마음은 한 점 등불이어라/ 서러워라! 한해는 또 저물거늘/ 흰머리에 나이만 더 차는구나.'

'삶이란 석 자 시린 칼/ 마음은 한 점 등불이어라'라는 표현이 얼마나 멋진가요? 외도가 많은 남편에게도 일침을 가한 대목도 있지요. '나를 저버리면 나 또한 구구한 사적인 정을 보존하지 않겠다'라는 선언도 했지요.

이렇게 김호연재의 시는 오늘날 여성 운동의 '원형'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조선 후기 여성의 자아 성찰, 지적 주체성, 내면의 자유 추구를 표현한 점에서 페미니즘적 요소를 지녔다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그녀는 직접적으로 여성 억압이나 남성 중심 사회를 비판하지는 않았으나 절제된 표현과 정서적 자립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여권(女權) 의식을 드러냈기 때문입니다.

여성의 내면 자각과 문화적 자주성을 표현한 작품으로 '바람과 비 소슬하나 대낮도 어둑해지고/ 외로운 창가엔 푸른 버들잎이 모두 떨어졌네/ 번다한 세상, 무의미하니 누가 주인이라 할까/ 백발이 되어도 그대로인 내 독서의 넋이여'라는 유명한 작품도 있지요.

이렇게 조선시대 최고의 여성 시인인 김호연재가 대전 사람이라는 것에 큰 자부심을 느낍니다. 현재 대덕구 차원에서 '대한민국 김호연재 여성휘호대회' 등 몇 가지 문화행사를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으로는 부족합니다. 김호연재 문학을 전국적으로 알리고 재조명하기 위하여 대전시 차원에서 '김호연재 문학관' 건립을 제안합니다. 아울러 '김호연재 문학의 재조명'에 대한 국제학술회의도 연례적으로 개최한다면 문화예술도시로서의 정체성과 위상을 확고히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SMR 특별법' 공방 지속… 원자력계 "탄소중립 열쇠" vs 환경단체 "에너지 전환 부정"
  2. 천안시, PM 견인 강화로 질서 확립 '고삐'
  3. 조국혁신당 대전시당, '검찰개혁 끝까지 간다'… 시민토크콘서트 성황
  4. 李정부 첫 조각 마무리…충청 고작 2명 홀대 심각
  5. [오늘과내일] 더 좋은 삶이란?
  1. 더불어민주당 전대주자들, '충청당심' 공략 박차
  2. [월요논단] 지역주택조합의 분담금 반환과 신의성실의 원칙
  3. 대전문화재단,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사회공헌활동 펼쳐
  4. 대전미술대전 무산 위기 넘기고 올 가을 정상 개최 가시화
  5. 가까스로 살린 대전미술대전…문화행정은 이제부터 숙제

헤드라인 뉴스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 외국인 관광객 유치 특례 추가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 외국인 관광객 유치 특례 추가

국가균형발전과 수도권 일극체제 극복을 위한 시대적 과제 중 하나인 대전·충남 행정통합 을 위한 특별법안이 완성됐다. 12·3 계엄 사태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등 정치적 격변기 속 잠시 주춤했던 이 사안이 조기 대선 이후 다시 가속페달을 밟고 있는 것이다. 14일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이하 민관협)는 대전시청 대회의실에서 제5차 회의를 열고, '대전충남특별시 설치 및 경제과학수도 조성을 위한 특별법안(가칭)' 최종안을 확정했다. 민관협은 이날 완성된 법안을 이장우 대전시장과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 김태흠 충남도지사와 홍..

전재수 "해수부, 세종보다 부산이 더 효과" 발언에  충청권 `발끈`
전재수 "해수부, 세종보다 부산이 더 효과" 발언에 충청권 '발끈'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해양수산부가 세종보다 부산에 있어야 더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과 관련 충청 보수 야권이 발끈하고 나섰다. 전 후보자는 이날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해수부가 세종에 있을 때 그 효과를 100이라고 한다면, 부산으로 오는 것이 1000, 1만의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믿는다"며 "해수부 부산 이전을 차질 없이 완수하겠다"고 말했다. 전 후보자가 내세운 해수부 부산 이전 근거는 북극항로였다. 그는 "북극항로를 둘러싸고 세계 각국이 경쟁하고 있다"며 "해수부를 거점으로 삼아 부산에서..

국내 증시 활황…대전 상장기업 시총도 사상 최대
국내 증시 활황…대전 상장기업 시총도 사상 최대

국내 증시가 연일 활황을 이어가면서 대전 상장기업의 시가총액도 매달 최고치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6.26포인트(0.83%) 상승한 3202.03으로 장을 마감했다. 코스피가 종가 기준 3200선을 넘긴 건 2021년 9월 6일(종가 3203.33) 이후 처음이다. 코스닥은 전 거래일 대비 1.10포인트(0.14%) 하락한 799.37로 거래를 마쳐 희비가 엇갈렸다. 주목할 건 대전지역 상장기업의 성장세다. 대전테크노파크에 따르면 6월 기준 대전지역 상장기업의 시가총액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 요란한 장맛비 요란한 장맛비

  • ‘민생회복지원금 21일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민생회복지원금 21일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 폐업 늘자 쏟아지는 중고용품들 폐업 늘자 쏟아지는 중고용품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