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
허난설헌에 비해 늦게 그의 작품이 조명되었는데, 당시 규범적이고 교훈적인 작품과는 달리 문학성이 뛰어난 작품들을 발표했습니다. 특히 남자들의 패덕을 비판하고 여성의 순종과 희생을 강요하는 것을 통쾌하게 지적하여 '홀로서기'를 선언하였지요. 특히 그의 작품은 자연 속 삶을 주제로 한 시가 많으며, 이를 통해 조용하고 자족적인 세계관을 드러냈습니다. 여성으로서의 자각과 품격 있는 언어를 사용하였으며 여성 문인으로서 자기 세계를 정갈하게 표현하였으며, 절제된 감정과 고요한 감성이 어우러진, 기품 있는 작품이었습니다.
허난설헌과 그의 작품을 비교하면, 허난설헌은 고통 속에서 피어난 예술성과 환상의 추구를 보여줬다면, 김 호연재는 차분한 절제와 유교적 삶의 품격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대비됩니다.
42세에 마감한 짧은 생이었지만 244편의 주옥같은 시를 썼습니다. 지금 대전의 동춘당 공원에는 '야음(夜吟)'이라는 그의 시비(詩碑)가 서 있는데, 많은 사람들의 공감과 사랑을 받는 시이지요. 야음… '밤에 읊는다'라는 뜻으로 불행한 결혼생활에서 시 창작으로 불꽃을 피운 시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군의 사후에도 가문을 지키며 시와 글로 인격을 드러냈지요.
'야음(夜吟)
달빛 잠기어 온 산이 고요한데/ 샘에 비친 별빛 맑은 밤/ 안개 바람 댓잎에 스치고/ 비이슬 매화에 엉긴다/ 삶이란 석 자(三尺)의 시린 칼인데/ 마음은 한 점 등불이어라/ 서러워라! 한해는 또 저물거늘/ 흰머리에 나이만 더 차는구나.'
'삶이란 석 자 시린 칼/ 마음은 한 점 등불이어라'라는 표현이 얼마나 멋진가요? 외도가 많은 남편에게도 일침을 가한 대목도 있지요. '나를 저버리면 나 또한 구구한 사적인 정을 보존하지 않겠다'라는 선언도 했지요.
이렇게 김호연재의 시는 오늘날 여성 운동의 '원형'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조선 후기 여성의 자아 성찰, 지적 주체성, 내면의 자유 추구를 표현한 점에서 페미니즘적 요소를 지녔다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그녀는 직접적으로 여성 억압이나 남성 중심 사회를 비판하지는 않았으나 절제된 표현과 정서적 자립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여권(女權) 의식을 드러냈기 때문입니다.
여성의 내면 자각과 문화적 자주성을 표현한 작품으로 '바람과 비 소슬하나 대낮도 어둑해지고/ 외로운 창가엔 푸른 버들잎이 모두 떨어졌네/ 번다한 세상, 무의미하니 누가 주인이라 할까/ 백발이 되어도 그대로인 내 독서의 넋이여'라는 유명한 작품도 있지요.
이렇게 조선시대 최고의 여성 시인인 김호연재가 대전 사람이라는 것에 큰 자부심을 느낍니다. 현재 대덕구 차원에서 '대한민국 김호연재 여성휘호대회' 등 몇 가지 문화행사를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으로는 부족합니다. 김호연재 문학을 전국적으로 알리고 재조명하기 위하여 대전시 차원에서 '김호연재 문학관' 건립을 제안합니다. 아울러 '김호연재 문학의 재조명'에 대한 국제학술회의도 연례적으로 개최한다면 문화예술도시로서의 정체성과 위상을 확고히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