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다문화] 창밖에 찾아온 파란 행운

  • 다문화신문
  • 공주

[공주다문화] 창밖에 찾아온 파란 행운

물까치와 함께한 한 달간의 기록

  • 승인 2025-07-06 11:28
  • 신문게재 2024-12-08 2면
  • 충남다문화뉴스 기자충남다문화뉴스 기자
[7-5-2]물까치_세츠코 기자
4월 말, 우리 아파트 창가에 새집이 생겼다. 물까치의 둥지다. 한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까치와 달리 연한 파란색 날개와 길쭉한 꼬리를 가진 새다. 물까치는 일본에서 행운의 새로 여겨진다. 부부가 협력해 새끼를 키우는 모습이 가정의 화목과 자손 번영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한국에서도 물까치는 기쁜 소식을 전하는 길조(吉鳥)로 전해져 내려오며 민화와 속담 속에 자주 등장한다. 예상치 못한 손님이 반갑고, 우리는 조심스럽게 이 새 가족의 삶을 지켜보기로 했다.

[7-5]물까치_세츠코 기자
4월 29일, 첫 알이 둥지에 놓였다. 매일 하나씩 알이 늘어나 결국 8개가 됐다. 어미 새는 비가 오나 바람이 불어도 자리를 떠나지 않고 묵묵히 알을 품었다. 수컷은 매일 먹이를 물어다 주며 짝을 보살폈다. 우리 가족도 가끔 먹이를 챙겨주었고, 등을 쓰다듬는 것도 받아들일 정도로 가까워졌다.

5월 21일, 기다리던 첫 부화가 시작됐다. 작은 부리로 가냘픈 소리를 내는 새끼들. 이후 며칠 사이 모든 알에서 새끼가 깨어났다. 갑자기 바빠진 물까치 부부는 새끼들을 위해 끊임없이 먹이를 구해다 날랐다.



[7-5-1]물까치_세츠코 기자
6월 초가 되자 새끼들은 부쩍 자라 날개를 퍼덕이며 둥지 가장자리로 나왔다. 어미 새는 새끼들이 배설한 똥을 직접 먹거나 멀리 버려 둥지 안을 청결하게 유지했다. 둥지에서는 "쀼이 쀼이" 하는 귀여운 소리가 퍼졌고, 우리는 매일 아침 이 소리에 미소를 지었다.

6월 8일, 이사의 날이 찾아왔다. 신기하게도 하루에 한 마리씩 차례로 둥지를 떠났다. 그런데 그중 한 마리가 나뭇가지에 걸려 꼼짝 못하게 됐다. 사람이 도우려 다가가자 갑자기 어디선가 10여 마리의 물까치들이 날아와 "깨애애애!" 하고 경계음을 내며 새끼를 보호하려 했다. 가족을 지키려는 강한 공동체 의식 같았다. 다행히 다음 날, 그 새끼도 스스로 날아올라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다.

약 한 달간 함께한 물까치 가족은 우리 가족에게도 특별한 추억을 만들어줬다. 자신의 몸을 아끼지 않고 자식을 돌보는 부모의 헌신, 협력, 그리고 공동체의 유대감. 물까치의 하루하루는 감동과 배움의 연속이었다. 이제 둥지는 비어 있지만, 아직도 가까이에서 들리는 새끼 목소리에 물까치 가족의 행복을 빌 뿐이다.
소마세츠코 명예기자(일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중도일보·대전MBC, 2025년 2분기 '목요언론인클럽 이달의 기자상' 수상
  2. 월드비전, 아산시에 1,000만원 냉방용품비 지원
  3. 동구아름다운복지관, 폭염대비 시원한 여름나기 사업 진행
  4. 제80차 동구포럼 ‘생활인구 유입을 위한 소제동.원동 활용 방안 모색’
  5. 우울증 완화 위한 노인맞춤돌봄 특화서비스 자조모임
  1. 상가 공실 해소될까… 세종시 상가용도 추가 완화 나서
  2. 다시 살펴본 '어진·나성·대평동' 상권 공실, 심각 그 이상
  3. 연암대-㈜그린플러스 MOU 체결
  4. 천안시의회 복지문화위원회, 제주 워케이션 정책 벤치마킹
  5. 남서울대, 충남도.아산시.서산시 3개 육아종합지원센터와 업무협약 체결

헤드라인 뉴스


대통령 방문에도 충청권은 빈손.... 실망감 커

대통령 방문에도 충청권은 빈손.... 실망감 커

이재명 대통령의 충청권 방문에 지역 현안 건의를 기대했지만, 개인 민원 소통 구간으로 전락하면서 지역 사회의 실망감이 커지고 있다. 해양수산부 이전 문제가 거론되기는 했지만, 정부의 입장만 되풀이 하는 등 심도 있는 대화는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전·충남 통합과 충청권메가시티, CTX(충청광역급행열차), 대전교도소 이전 등 지역 현안은 논의테이블에 오르지도 못했다. 이 대통령은 4일 대전DCC에서 '충청에서 듣다, 충청 타운홀 미팅'을 열고 지역 연구자, 창업가, 자영업자, 노동자 등 다양한 시민들과 마주 앉아 과학기술 정책의..

충청 보수야권, "행정수도 혜택? 이 대통령 충청인 농락"… 부글부글
충청 보수야권, "행정수도 혜택? 이 대통령 충청인 농락"… 부글부글

충청 보수야권이 4일 대전을 찾아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재확인한 이재명 대통령에게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해수부 부산 이전 추진과 함께 충청이 이미 행정수도 이전 혜택을 받았다는 이 대통령의 주장을 충청에 대한 철저한 배제, 행정수도 완성이란 국가적 약속을 뒤엎는 중대 사안으로 규정하고, 전면적인 투쟁에 나설 계획이다. 앞서 이 대통령은 4일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라는 주제로 타운홀 미팅을 진행했다. 전날인 3일 취임 30일 첫 기자회견에서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재확인한 것을 넘어 충청..

벼랑 끝까지 몰린 충청 자영업자... 폐업자 수 7만 4000명 넘어섰다
벼랑 끝까지 몰린 충청 자영업자... 폐업자 수 7만 4000명 넘어섰다

2024년 충청권에서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가 사상 처음으로 7만 4000명대를 넘어섰다. 폐업 사유를 사업 부진으로 답한 이들이 대다수인데,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위축으로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여과 없이 드러나고 있다. 6일 국세청 국세 통계에 따르면 2024년 개인·법인을 포함해 폐업 신고를 한 대전·세종·충남 사업자는 7만 4018명으로 집계됐다. 폐업자는 2020년 6만 4777명에서 2021년 6만 3543명, 2022년 6만 2710명으로 감소세를 보이다 2023년 들어 7만 1923명으로 7만 명대를 처음으로 돌파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시원한 물놀이로 무더위 날려요’ ‘시원한 물놀이로 무더위 날려요’

  •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