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세종의사당 설치나 대통령 세종집무실에 대해 "최대한 빨리 와보도록 하겠다"는 공식 답변을 들은 건 의미 있다. 전체 4년 7개월 걸리는 세종집무실 준공을 남은 임기 4년 11개월 안에 완수하려면 첫삽을 어서 떠야 하는 건 당연하다. 한편에선 속도 낼 의지는 가능하거나 예정된 사안에만 적용되는지 의문도 든다. 세종에서 간간이 근무하는 형태가 아닌 대통령실 전체 이전의 비전이 나와야 한다. 케케묵은 관습헌법 논리로 '위헌 결정' 상태만 부각할 일은 아니라고 본다. 구체적인 행정수도 개헌 이정표를 밝히지 않아 아쉽다.
더 염려되는 부분은 세종시를 단순한 지방도시나 행정 특화도시로 격하하지 않는가 하는 점이다. 이날 충청인에게 "이해해주면 좋겠다"고 양해를 구한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문제가 단적인 예다. 취임 30일 기자회견에서 "충청권이 혜택을 입었는데 다 가지려 하면 안 된다"는 언급 또한 논란의 소지가 있다. 국가균형발전으로 설계된 실질적 행정수도라는 인식의 부재로 들릴 법하다. 소통보다 무거운 숙제를 남긴 대목이다. 추진 동력에 대한 구체성이 부족하다는 느낌을 배제하기 어렵다. 이건 욕심이나 혜택 차원이 아니잖은가.
이 대통령이 자원 배분의 일부로 간주하는 듯한 "해수부 1개를 옮기는 것"은 행정수도 완성과 직접 관계가 있다. 그보다 신경 쓸 것은 수도권 잔류 중앙행정기관의 세종시 추가 이전 아닐까. 광주·전남 경우와 다르게 충청권 광역단체장들은 국민 소통의 자리에 초청받지 못했다. 이것까지 '충청 패싱'으로 비치는 건 어쩔 수 없다. 타운홀 미팅 제목에 들어 있는 '충청의 마음'을 얼마나 들었나 궁금해진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