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광형 KAIST 총장이 7일 KAIST에서 열린 전출협 주관 과학기술정책포럼에서 AI 글로벌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방안 및 출연연 역할 강화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전출협 제공 |
이 총장은 7일 (사)전임출연연구기관장협의회(이하 전출협)이 주관한 과학기술정책포럼에서 'AI 글로벌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방안 및 출연연 역할 강화'를 주제로 한 주제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장은 대한민국 전략 마련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특화 분야 중심의 독자 AI 모델 개발과 AI 모델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AI 반도체 개발, 국제 연대를 통한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 AI 분야 다섯 가지 핵심 요소로 인력·인프라·데이터·자본·시장의 강화를 꼽으며 이러한 요소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총장은 "AI 우수 연구대학들의 연합체 형식인 네트워크 연구조직이 필요하다"며 "인프라 측면에선 국가 데이터센터를 중앙집중형으로 조성하고 발전소 인근에 전략적으로 배치해야 한다고"고 말했다.
이어 "동남아·아랍권과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확장하고 미국, 중국과 차별화된 대한민국 주도의 'AI 천하삼분지계' 전략을 펼쳐야 한다"고 밝혔다. 한·미·중 3국이 서로 비슷한 힘으로 서로 견제해 안정적인 상황을 만들자는 의미다.
출연연의 역할도 강조했다. 이 총장은 "제조 AI를 통한 생산성이 두 배 향상되면 이는 인건비를 절반으로 낮추는 것과 같은 효과라고 볼 수 있다"며 "대한민국은 현재 인구 감소, 제조업 경쟁력 저하, 실업자 증가라는 위기에 직면해 있다. 그러나 AI를 전 산업의 생산활동에 활용함으로써 효율적 생산으로 인한 국가경쟁력 제고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AI로 인한 실업자 증가 우려와 달리 올바른 전략을 통해 오히려 일자리가 늘어나는 긍정적 흐름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김명수 (사)전임출연연구기관장협의회장은 "우리나라가 AI 글로벌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정책 추진, 제조 AI 기술력 강화, 국가적 전략 기반의 초혁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며 "또 정부, 산업계, 학계, 연구계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수다. 특히 출연연은 AI 혁신의 핵심 주체로서 막중한 책임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