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일 행안부는 전날 개최한 지방공기업정책위원회에서 '2025년도 지방공기업 경영실적 평가 결과 및 후속조치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지방공기업 경영평가는 지방공기업의 경영 혁신을 유도하고 공공서비스 및 지역발전 기여도를 제고하고자 '지방공기업법'에 근거해 1993년부터 매년 시행하고 있다. 올해는 281개 지방공기업을 대상으로 경영관리와 경영성과 등 2개 분야 20여개 세부 지표에 따라 평가한 후 정책위에서 5개 등급(가∼마)을 배분했다. 특히 이번 평가에서는 저출생·지방소멸, 물가 급등 대응 노력 지표를 신설해 '공공성' 측면에 대한 평가 중요도를 높였다. 아울러 경영 '효율성' 측면에 대한 평가를 강화하기 위해 디지털·혁신 경영 지표를 신설하고, 부채감축 대상 기관의 재무 부채관리 이행 여부에 대한 평가도 강화했다.
평가 결과 지방공기업들은 공공성과 효율성 측면이 전년도에 비해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안전·환경 분야 주요 사업성과 지표는 전년 대비 하락함에 따라 사업장 특성에 맞는 재난·안전 예방체계 구축 등 선제 대응 노력과 적극적인 수익 창출, 사업관리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됐다.
최상위 등급인 '가' 등급을 받은 기관은 대전도시공사를 비롯해 23곳이다. 대전도시공사는 청년주택 및 신혼부부 맞춤형 주택을 공급하고, 개발사업에 리츠(REITs) 방식을 도입해 재무 건전성 및 지역투자 활성화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았다. 17개 광역 개발공사 중 유일한 '가'등급이다.
정국영 대전도시공사 사장은 "경영평가 전국 1위의 성과는 공사 임·직원 모두의 노력과 함께, 대전 시민여러분의 적극적인 성원 덕분에 달성 가능했다"고 말했다.
대전교통공사와 대전관광공사, 대전시설관리공단, 대전 상수도본부 등 대전지역 다른 공기업은 모두 중간인 '다' 등급을 받았다.
광주광역시 서구시설관리공단, 문경시상수도 등 안전 관리 체계에 문제가 있거나 재무성과가 부진한 24개 기관이 하위권인 '라' 이하 등급을 받았다.
한편, 평가 등급에 따라 지방공기업들의 기관장은 연봉 월액의 최대 400%에서 익년도 연봉 10∼5% 삭감까지, 직원은 최대 200%에서 0%까지 경영평가 평가급이 차등 지급된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