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석환 대표 |
하나는 단어 또는 내용이 떠오르지 않는 경우이다. 성과 관리를 잘하는 리더는 3가지 특징이 있다고 말한 뒤, 2가지는 생각나는데, 한 가지가 생각나지 않는 경우이다. 2가지를 설명하면서 1가지를 생각해 보지만, 한번 생각나지 않은 것이 짧은 순간 떠오르지 않는다. 생각나지 않는 1가지에 대해 어떻게 조치할까? 유사한 특징을 찾아 대체한다. 질문해 답변 또는 토론을 하게 한다. 하나는 생각이 떠오르지 않는다고 한다. 그냥 말하지 않고 넘어간다. 다른 하나는 참석자가 질문하는데 모르는 경우이다. 단어의 뜻, 구체적 규정이나 법 조항, 특수 상황에 대한 조치 등 다양하다. 모른다고 솔직하게 말하고 확인 후 연락 주겠다 하면 되는데, 그 순간, 모른다는 말을 하지 않아 곤란하게 되는 경우이다.
왜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지 않을까? 자신의 권위가 손상되는 것에 대한 회피 무식한 사람이 되어 무시 받는다는 생각. 그것도 모르는 자신에 대한 창피함 아닐까?
문제는 모르는 것을 대충 아는 척하며 넘어가는 경우, 일단 넘어간 것으로 마무리하고 더이상 신경 쓰지 않으려 한다. 그럴수록 자신의 비겁한 행동에 대한 자책만 강해지게 된다. 손녀처럼 도움이 필요하면 도와 달라고 하고, 모르는 것에 대해서는 모르니까 알려 달라고 하면 권위가 손상되는 것이 아닌 솔직한 사람으로 인식되지 않을까? 가장 중요한 것은 모르는 것을 알게 되고, 이렇게 알게 된 지식은 오래 기억된다는 장점이 있다. 길치이며 기계치이다. 여행을 자주 가는데 항상 갈 곳을 묻는다. 몰라 실수하는 것보다 사전에 물어 확실하게 하는 것이 현명하지 않을까?
/홍석환 대표(홍석환의 HR전략 컨설팅)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