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축산난제 해결 기술개발 전략 수립 토론회 참가자들 모습. 사진=농촌진흥청 제공. |
더불어민주당 송옥주 의원이 주최하고 농촌진흥청이 주관한 이번 토론회는 8일 오후 서울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려 관계기관과 가축분뇨 전문가, 생산자 단체 등 모두 30명이 참석했다.
안희권 충남대 교수는 국내 축산악취 현황과 문제점을 발표하며,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성과를 중심으로 저감 기술 현황과 제도 개선 사항을 논의했다. 이동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연구관은 가축분뇨 에너지화 중 고체 연료화 관련 기술개발과 현장 적용을 위한 제도적 문제를 소개했다. 이어 가축분 처리 관련 연구 방향을 공유하며, 고체연료 수요처 확보와 산업용 보일러 개발, 연소재 자원화 기술 등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종합 토론에서는 "지속 가능한 축산업을 위해 온실가스와 악취 문제 해결이 필수"라는 데 참석자들이 공감대를 형성했다. 특히 축산농가의 경영난을 줄일 수 있는 저비용·고효율 악취 저감 시설 개발과 지원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모였다. 또 가축분뇨를 미래 자원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도 개선과 기술개발 병행 필요성이 제기됐다.
농촌진흥청 이승돈 청장은 "가축 사육 규모 확대로 분뇨 발생량이 급증하면서 기존 처리방식은 한계에 이르렀다"며 "이번 토론회가 정부와 지자체, 현장이 긴밀히 협력해 연구 성과를 빠르게 확산시키고 지속 가능한 축산업으로의 전환을 이끄는 전환점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축산 분야의 오랜 난제인 분뇨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로, 2050 탄소중립과 연계한 가축분뇨 에너지 자원화 등 처리방식 다각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축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