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의 빛과 그림자…기술의 편리함이 낳은 함정

  • 사회/교육

AI의 빛과 그림자…기술의 편리함이 낳은 함정

생성형 AI 확산 이후 딥페이크 영상 급증
목소리까지 복제하는 딥보이스, 현실 범죄로 번져
경찰 “딥페이크 첩보 수집 강화해 강력 대응할 것”

  • 승인 2025-10-06 14:00
  • 이승찬 기자이승찬 기자
KakaoTalk_20250930_154406463
2023~2025년 8월까지 딥페이크 성범죄영상물 시정요구 현황(자료제공=방송통신위원회)
생성형 AI는 일상에 편리함을 주는 동시에, 딥페이크를 이용한 성착취물과 딥보이스 보이스피싱 등 신종 범죄를 급증시키며 사회에 큰 충격과 중대한 위협으로 떠오르고 있다.지도와 번역기, OTT 추천 알고리즘 등은 우리의 삶 속 깊숙이 스며들었다. 최근에는 AI를 활용해 사진을 애니메이션처럼 변환하는 서비스가 유행하는 등 젊은 세대의 유행을 이끌었다. 하지만 이면에는 범죄 악용이라는 그림자가 존재한다.

국내에서 두드러진 AI 범죄는 연예인·청소년·일반인 사진을 합성해 성착취물을 제작·유포하는 딥페이크와 특정인의 목소리를 복사해 보이스피싱에 이용하는 딥보이스다.

방송통신위원회 딥페이크 성범죄영상물 시정요구 현황에 따르면 생성형 AI가 민간에서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2023년 시정요구 건수는 7187건이었으나, 2024년에는 2만 3107건으로 1년 만에 3배 이상 증가했다. 올해 8월까지는 1만 5808건에 달하며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

피의자 규모도 급증했다. 지난 9월 15일 강경국 조국혁신당 의원이 경찰청에서 제출받은 '연도별 성 관련 범죄유형별 피의자 연령 현황' 자료에 따르면 딥페이크 범죄 피의자는 2023년 91명에서 2024년 548명으로 급증했으며, 2025년 8월까지는 556명으로 전년 수준을 넘어섰다.



대전에서도 올해 딥페이크 범죄에 가담한 이들이 무더기로 검거돼 지역사회에 충격을 줬다. 경찰은 2024년 8월부터 2025년 3월까지 특별단속을 벌여, 텔레그램에서 '겹지방'을 운영한 10대 A군을 포함해 214명을 검거했다. 겹지방은 연예인과 지인, 학교 동창의 얼굴 사진을 AI 합성 기술로 편집해 음란물을 제작·유포하는 공간으로 확인됐다. 참여 인원은 1만5000여 명에 달했으며, 유포된 영상은 3만 6000건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충격적인 점은 검거자 214명 가운데 10대가 145명(67.8%)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이다.

딥보이스 범죄도 현실화되고 있다. 2024년 부산에서는 60대 여성이 딸 이름으로 저장된 번호로 걸려온 전화를 받고 2000만 원을 보이스피싱 조직에 전달하려 했다. 전화 속 목소리는 딸의 목소리를 그대로 흉내 낸 AI 딥보이스였으며, 피해자는 "엄마, 큰 일 났어. 친구 보증을 섰는데 친구가 연락을 받지 않아 잡혀 왔어"라는 내용에 속아 돈을 인출했다. 다행히 은행 직원의 연락을 받고 경찰이 현장에서 수거책을 검거하며 피해를 막았다.

경찰과 정부는 진화하는 AI 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9월 28일 범정부 보이스피싱 대응 태스크포스를 열고, 범죄 전화번호를 10분 내 차단하고 범죄자 처벌을 강화하는 등 보이스피싱 근절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경찰은 학교전담경찰관(SPO)을 통해 학생들에게 디지털 성범죄 예방 교육을 실시하고, 딥페이크 범죄에 대한 집중 단속을 지속할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딥페이크 성착취물 첩보 수집과 모니터링을 강화해 날로 늘어나는 범죄에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찬 수습기자 dde06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서구 도마변동 12구역 사업시행인가 '득'
  2. 걷·뛰·타GO '세종시 국가상징구역' 한바퀴...나도 참가해볼까
  3. 국민의힘 대전시당 "위기 대응 과정 보호.지원체계 마련해야"
  4. 제71회 백제문화제 열려… 오는 12일까지 운영
  5. 천안시 쌍용1동 행복키움지원단, 추석 맞이 음식꾸러미 나눔
  1. 천안법원, 면허 없이 만취한 상태로 고속도로 86km 주행한 20대 징역형
  2. 천안홍대용과학관, 7일 '한가위 보름달 관측행사' 운영
  3. 추석 당일 고속도로 통행량 667만 대 전망
  4. 한기대 현승범 학생, KCI 등재 학술지 1저자 논문 게재
  5. ‘전통시장의 변화는 무죄’…시장의 역사와 발전

헤드라인 뉴스


미래 대통령실·국회 찍GO, `세종시 한바퀴` 참여해볼까

미래 대통령실·국회 찍GO, '세종시 한바퀴' 참여해볼까

"걷GO(도보), 뛰GO(러닝), 타GO(자전거) 세종 국가상징구역 찍GO 나성동 차 없는 거리로 GO!" 중도일보가 오는 10월 18일 토요일 오전 세종시 행복도시 일대에서 '걷GO! 뛰GO! 타GO! 세종시 '국가상징구역' 찍GO 한바퀴' 행사를 진행한다. 국가상징구역은 미래 대통령실과 국회, 시민 공간 등 모두 3곳을 포함하는 행정수도의 상징으로 통한다. 참가(무료) 희망자는 오는 17일 오후 6시까지 중도일보 카카오채널 채팅창()을 통해 '참가자 전원 이름과 대표 연락처', '이동 방식 택일(걷기 또는 러닝 또는 자전거)'로..

AI의 빛과 그림자…기술의 편리함이 낳은 함정
AI의 빛과 그림자…기술의 편리함이 낳은 함정

생성형 AI는 일상에 편리함을 주는 동시에, 딥페이크를 이용한 성착취물과 딥보이스 보이스피싱 등 신종 범죄를 급증시키며 사회에 큰 충격과 중대한 위협으로 떠오르고 있다.지도와 번역기, OTT 추천 알고리즘 등은 우리의 삶 속 깊숙이 스며들었다. 최근에는 AI를 활용해 사진을 애니메이션처럼 변환하는 서비스가 유행하는 등 젊은 세대의 유행을 이끌었다. 하지만 이면에는 범죄 악용이라는 그림자가 존재한다. 국내에서 두드러진 AI 범죄는 연예인·청소년·일반인 사진을 합성해 성착취물을 제작·유포하는 딥페이크와 특정인의 목소리를 복사해 보이스피..

ADHD 치료제 청소년 처방…사교육비 증가세 높은 충청권 급증
ADHD 치료제 청소년 처방…사교육비 증가세 높은 충청권 급증

최근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치료제를 처방받는 충청권 청소년이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사교육비 증가세가 높은 지역에서 처방환자가 늘었는데, 일명 '공부 잘하는 약'이라는 인식에 오남용이 속출하고 있어 교육청과 보건당국 간 관리 체계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대식 의원(부산 사상구, 국민의힘)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받은 '전국 ADHD 치료제 처방 현황'에 따르면, 2020년 4만 7266명이던 청소년 처방 환자는 2024년 12만 2906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같은 기간 1..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전통시장의 변화는 무죄’…시장의 역사와 발전 ‘전통시장의 변화는 무죄’…시장의 역사와 발전

  • 민족 대이동 시작…안전한 귀성·귀경길을 위한 체크포인트 민족 대이동 시작…안전한 귀성·귀경길을 위한 체크포인트

  • 한복 입고 배우는 큰절 한복 입고 배우는 큰절

  • 다 같이 외치는 ‘청렴 동구’ 다 같이 외치는 ‘청렴 동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