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의 변화는 무죄’…시장의 역사와 발전

  • 비주얼
  • 포토

‘전통시장의 변화는 무죄’…시장의 역사와 발전

  • 승인 2025-10-05 09:08
  • 이성희 기자이성희 기자
20240911-전통시장 북적1
전통시장을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이성희 기자 token77@
추석을 앞두고 전통시장이 모처럼 활기를 띠고 있다. 제수용품과 선물세트, 먹거리를 구입하려는 사람들부터 관광을 하는 사람까지 다양하다. 깎아 달라는 흥정소리와 덤을 놓고 벌이는 신경전, 마치 오랜 친구와 대화를 나누는듯한 상인과 손님과의 대화소리까지 모든 게 정겹게 느껴진다. 시장에서만 느낄 수 있는 정겨움이다.

인동시장통 풍경_1973--_0
1973년 대전 인동시장의 풍경. 대전찰칵 제공
시장의 역사는 인류가 탄생하며 시작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오랜 역사를 갖는다. 자급자족 생활에서 남는 물건이 생기자 물물교환으로 이어졌고 교환이 자주 일어나며 정기적으로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가 필요해졌는데 그것이 바로 시장의 시작이다.



용두시장 풍경_1974--_0
1974년 대전 용두시장의 풍경. 대전찰칵 제공
이후 화폐가 발행되며 경제와 사회의 중심에서 재화와 서비스가 교환되는 공간으로 중요하게 발전하게 된다. 시장은 광복 이후인 1960~70년대 산업화와 함께 대도시로 인구가 몰리며 급성장하는 계기를 맞게 되며 이때부터 지역마다 상설시장이 확대되고 도시의 주요상권으로 자리매김 하게 된다.

시장 풍경_1989--_0
1989년의 시장풍경 모습. 대전찰칵 제공
그러나 전통시장도 세월의 직격탄은 피할 수 없게 된다. 1980년대 국민소득의 증가와 생활수준 향상과 더불어 소비패턴도 다양해지며 해외의 유통문화가 도입되기 시작한다. 또 한 곳에서 모든 제품을 편하게 구입할 수 있는 백화점과 대형마트의 등장,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온라인 쇼핑으로 전통시장은 쇠퇴의 위기를 맞게 된다.



중리시장 아케이드 준공식_2008-11-25_1
2008년 아케이드 공사를 마친 대전 중리시장의 모습. 대전찰칵 제공
하지만 전통시장의 쇠퇴를 지켜만 볼 수 없던 정부와 지자체는 과감한 정책과 투자를 통해 시장의 부흥을 이끌어낸다. 그러면서 시작된 것이 전통시장의 현대화 사업이다.

태평시장_2013-04-10_4
2013년 현대화 사업을 마친 대전 태평시장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대전찰칵 제공
주차장 확보와 아케이드 설치, 관광형 시장으로의 발전 등이 여기에 속한다. 시장도 이제는 물건을 사고파는 공간의 변화가 아니라 소비패턴의 다변화를 비롯해 소상공인과 스타트업 실험 공간의 역할을 주도해야 한다. 그렇게만 된다며 경제·문화·기술이 융합된 생활중심 플랫폼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성희 기자 token7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5.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