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다문화] 달항아리의 진화론

  • 다문화신문
  • 공주

[공주다문화] 달항아리의 진화론

  • 승인 2025-11-02 13:33
  • 신문게재 2025-01-18 2면
  • 충남다문화뉴스 기자충남다문화뉴스 기자
[11-4] 백자 달항아리(청파 이은구 작품, 사진 박진희 기자)
도자기(陶瓷器)는 점토에 장석, 석영 등속의 가루를 섞어 성형한 후 건조해서 고온에서 구워낸 제품을 일컫는다. 도자기는 태토의 종류 및 치밀도, 유약의 유무, 불에 굽는 온도 등에 따라 토기, 도기, 석기, 자기로 나뉜다.

토기((土器)는 거친 점토를 성형(成形)하여 700~900℃ 이상의 온도에서 소성(燒成)한 기물로 깨어지기 쉽다, 도기(陶器)는 입자가 고운 흙을 써서 1000℃ 내외의 온도에서 구워서 바탕의 굽기가 약간 흡수성이 있을 정도로 유약(柚藥)을 바른 것을 말한다. 중국에서는 토기(土器)를 뜻하는 도기는 토기보다 단단하나, 흡수성은 떨어진다. 석기(石器)는 철분이 함유된 점토를 이용하여 1200~1280℃ 사이의 온도에서 고온 번조한 것으로 형태가 완성된 상태에서 유약을 씌운다. 자기(瓷器)는 자토(磁土)를 사용해 1300℃ 이상의 고온에서 구워낸 반투명의 그릇을 말한다.

[11-4]철화분청 달항아리(공주시 공예 명장 1호
이중 도기의 일종으로 옹기가 있다. 옹기는 질그릇과 오지그릇, 푸레도기를 통칭하는 말이다. 질그릇은 진흙으로 그릇 모양을 만들며, 표면에 유약(釉藥; '잿물' 혹은 '오짓물'이라고 하는 알칼리성 물질)을 바르고 다시 굽지 않아 표면이 거칠고 투박한 특징이 있다. 오지그릇은 질그릇보다 단단하며 유약을 발라 기물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난다. 푸레도기는 '푸레독'이라고도 부른다. 질그릇처럼 유약을 입히지 않으나, 소성과정에서 화목(火木)을 태웠을 때 발생하는 그을음을 기물 표면에 흡착해서 만든 것이다.

옹기 중에 키가 작고 아가리가 넓으며 아래가 좁고 배가 불룩 나온 오지그릇은 '항아리'라고 부른다. 크기는 대·중· 소의 여러 가지가 있으며, 목이 짧고 배가 부른 30cm 이하의 작은 항아리는 '단지'라고 이른다. 항아리는 주로 장류를 담그는 데 쓰이며, 김치, 젓갈 등 발효식품이나 쌀이나 잡곡, 과일, 식수를 저장하는 데 쓰이는 등 실용성이 뛰어나다.



실용성보다 장식성이 뛰어난 항아리로는 '백자(白磁) 달항아리'를 꼽을 수 있다.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도자기, '백자 달항아리'는 생긴 모양이 보름달처럼 크고 둥글다하여 이름 붙여진 것으로, 17세기 이후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높이가 높은 편이며 커다란 대접 두 개를 잇대어 만들기 때문에 가운데에 이음 자국이 남는 특징이 있다.

국내 B 기업에서 생산하는 바나나맛 우유 중에는 '뚱바'라고 불리는 제품이 있다. '뚱바'는 백자 달항아리에서 착안하여 디자인된 독특한 용기 모양 때문에 항아리, 수류탄, 뚱땡이, 단지형 우유 등의 별명이 붙기도 했다. 뚱바 용기는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따로 제조한 다음 이 두 부분을 마주 댄 뒤 고속 회전시키며 발생하는 마찰열을 이용해 접합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고 한다. 현재 전 세계에서 이런 방식으로 용기를 만들 수 있는 회사는 B 기업이 유일하다. 뚱바 용기는 제작도 불편한 데다 사각팩보다 운반이 힘들고 제작 비용도 더 들어 효율적이지 못하나, 모 외국 기업의 콜라병만큼이나 각인 효과가 뛰어나 바나나맛 우유를 상징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identity)로 남아 있다.

7080 세대가 대중목욕탕에서 목욕 후 의식처럼 마시던 추억 속 뚱바는 컵라면, 김밥, 초코파이 등을 제치고 한국 편의점 인기 아이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인의 뜨거운 열정과 섬세한 손길과 고유한 정서를 담고서.
박진희 명예기자(대한민국)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화이글스의 도전이 끝나는 순간! 마지막 육성응원 최강한화 1
  2. 대전의 가을밤을 뜨겁게 달군 과학관 응원단장! 한화팬-대전시민여러분께 1
  3. 대전사랑메세나, 취약계층과 지역주민이 함께한 '더 노은로 작은음악회' 성료
  4. 샛별재가노인복지센터, 가을나들이 행사 진행
  5. 식장산부터 장동까지 평화견학…제8회 평화발자국 참가자 모집
  1. 대전과학기술대 여자 배드민턴부, 전국종별배드민턴대회 3위 쾌거
  2. 군의관과 간호장교 부부에서 시작, 을지재단 창립 69년 기념식
  3. 심사평가원 대전충청본부, 보건의료지원단 빅데이터 역량 교육
  4. 건양사이버대-대덕파트너스, 미래 인재 양성 위해 맞손
  5. 육군군수사령부, '미식별 선박 대응체계 고도화' 발표 32사단 최우수상 선정

헤드라인 뉴스


대전 부동산시장 "민간임대 비율 조정" 목소리 커져

대전 부동산시장 "민간임대 비율 조정" 목소리 커져

지방에서 미분양이 쏟아지는 등 부동산 한파가 심각한 가운데 지방 도시개발사업에서 천편일률적인 임대주택건설 의무 비율 조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전시는 이 같은 여론을 주시하면서 지역 부동산시장의 면밀한 분석을 통한 '조정'카드를 만지작 거리고 있어 주목된다. 민간임대주택의 장점과 수요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건설 경기 부양 등 지역경제 활성화까지 염두한 최대공약수 찾기에 나선 것이다. 최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9월까지 분양이 이뤄진 아파트 단지 청약 미달률은 1순위 기준 41.9%에 달했다. 반면 서울만 0%를..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공사`예타 통과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공사'예타 통과

대전의 숙원 사업인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함에 따라 충청과 호남의 축 병목 해소에 청신호가 켜졌다. 최근 대전시에 따르면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사업'은 10월 31일 기획재정부 제10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예비타당성조사 심의 결과 최종 통과했다. 이 사업은 총사업비 3522억 원 규모로 호남고속도로지선 서대전분기점~회덕분기점 구간(총 18.6㎞)이 4차로에서 6차로로 확장하는 사업이며 사업기간은 약 8년으로 계획하고 있다. 대전시와 지역 정치권은 이 구간을 '충청·호남을 잇는 병목지점'으로 지목하며..

대전 소상공인·전통시장 경기 체감 지수 상승 뒤 유지... 11월 전망지수도 `밝음`
대전 소상공인·전통시장 경기 체감 지수 상승 뒤 유지... 11월 전망지수도 '밝음'

대전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이 느끼는 경기 체감 지수가 상승 곡선을 그린 뒤 유지하고 있다.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 등으로 반등한 지수가 우상향하고 있는 것인데, 11월 경기 상황을 내다보는 전망 지수도 올라서면서 경기가 나아질 것이란 희망을 내비친다. 2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발표한 '소상공인시장 경기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의 10월 경기 체감 지수는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으로 상승한 이후 평행선을 유지 중이다. 경기 동향 조사는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사업체 운영자의 체감 경기 파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