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교통에 새롭게 반영된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는 지역 발전의 '필요요건'이다. 수도권 1극 체제 극복과 5극 3특 전략에서도 불가결한 사업이다. 초광역권 발전을 실질적으로 견인할 충청권 메가시티의 통합 교통 체계로서 손색이 없다. 지역 간 인적·물적 교류 활성화, 신산업 육성, 관광 활성화 등 촉매 역할도 할 것이다. 각종 행정 절차와 재정 협의 지연 등으로 속도를 못 내서는 안 된다.
수도권 수준의 교통 접근성과 생활권 구축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혁신 거점 간 연계 강화를 위한 다른 철도망과 도로망 구축과 결합하면 더 큰 시너지가 나온다. KDI(한국개발연구원) 민자적격성조사 이후의 기획재정부 민간투자심의, 실시협약 체결 등 어떤 변수라도 불리하게 작용하지 않길 바란다. 단순한 교통망 확충을 넘어선 초광역권 실현을 위한 전략이기 때문이다. 행정·경제권 통합을 실현하고 행정수도를 완성할 대표 프로젝트 자격이 있다.
그뿐 아니라, 수도권을 잇는 분기 CTX 노선까지 포함할 때는 KTX 세종역 건설의 대안이 된다. 21일 철도기관 국감에서 제기된 CTX 개통 시기를 앞당기라는 지적 역시 메가시티는 물론 행정수도 세종의 관문 역할까지 겨냥한 것이다. 수도권 대비 경제성이 낮다고 물리적 거리 극복을 통한 지방 대도시권의 경쟁력 제고를 미룬다면 균형발전은 한계에 직면한다. 세부 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장애물을 기민하게 제거해 충청권 광역급행철도의 착공 시점, 개통 목표 시점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