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산업인 철강이 황금알 낳는 거위에 비유되던 시절과 달리, 점점 '남기지 못하는 장사'가 되고 있다. 당진시의 대표 기업인 현대제철의 경우, 철강관세 부담이 겹쳐 상반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46% 감소했다. 이 한 가지 사실로도 22일 당진시의회가 채택한 관련 건의안의 당위성이 설명된다. 충남도와 관계기관, 기업, 전문가가 상시적 협력 체제에 나서지만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한 철강산업을 살리기에는 역부족이다. 철강산업의 사양화는 꼭 막아야 한다.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달성과 2050 탄소중립 실현 또한 당면 과제다. 수소 환원 제철기술 개발, 청정수소 공급, 무탄소 전력망 확충 등 대규모 투자가 시급하다. 미국의 철강도시 피츠버그처럼 잘못 대처하다가는 지역사회 붕괴와 경제적 빙하기를 마주하기 십상이다. 당진은 협력사와 외주사를 포함해 약 1만9000명의 고용을 창출하고 있다. 지역경제의 근간인 제조업과 협력업체의 경영난을 외면하지 않아야 한다. 수요 및 수출 감소, 가동 중단과 구조조정 등 심각한 전조는 국내에서 이미 진행 중이다.
현재 상황은 일시적인 철강 '보릿고개'가 아니다. 철강업계의 고사는 해당 업계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당진 지역경제 전반은 물론, 국가 철강산업 경쟁력과 관계된 일이다. 정부 차원의 지원책 중 선행될 것은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이다. 미국, EU, 일본 등 주요국들은 자국 철강산업을 보호·지원하기 위한 특별법 제정에 나서고 있다. 국회도 K-스틸법(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녹색 철강기술 전환을 위한 특별법) 통과에 좌고우면하지 않길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