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정용 한남대 교수 |
기존에는 사업계획서 작성부터 마케팅 전략 수립, 콘텐츠 제작, 고객 대응까지 모든 영역에서 시작 단계부터 전문가의 손길이 필요했다. 하지만 이제 초기 창업가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다양한 분야의 기획과 초안 작성에서 실질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먼저 사업 기획 단계에서 생성형 AI는 사업 아이디어를 검증하고 초안을 작성하거나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큰 도움이 된다. 초기 창업가가 "지역 전통시장을 활성화하는 체험형 관광 사업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데 어떻게 시작할까?"라는 질문을 던지면, AI는 여러 가지 아이디어를 제시하거나, 기초적인 시장 분석, 타겟 고객 분석, 경쟁사 분석, 수익 모델 등을 포함한 내용의 기본 틀을 제시해 준다. 사업계획서 초안 작성은 초기에 막연하고 혼란스럽던 아이디어를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고, 정부 창업지원 사업에 제출할 서류 작성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초기 창업가들이 수집한 고객 데이터, 판매 데이터, 시장 정보 등을 AI에 입력하면, 이를 분석해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제시해 준다. 물론 전문 데이터 분석가를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지만, 초기 단계의 의사결정을 돕기에는 충분하다.
마케팅과 콘텐츠 제작 단계에서도 AI가 이를 크게 보완할 수 있다. SNS 마케팅은 현대 창업의 필수 요소인데, 창업가들이 매번 새로운 콘텐츠를 작성하기는 쉽지 않다. AI에 제품이나 서비스의 특징을 입력하면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블로그용 포스팅 텍스트를 생성해 준다. 또한, 이미지 생성 AI인 DALL-E나 Midjourney 같은 도구들도 마케팅 자료 제작에 활용할 수 있다.
브랜드와 제품 개발 단계에서도 제품명 개발, 슬로건 작성, 패키징 디자인 콘셉트 수립 등에서 AI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타겟 고객 페르소나 개발도 AI와 함께 진행할 수 있다. 초기 창업가가 자신이 생각하는 고객 상을 설명하면, AI는 그 고객의 생활패턴, 구매 동기, 관심사, 결정 요인까지 상세하게 묘사해 줌으로써, 보다 명확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웹/앱 서비스의 시제품 개발 단계에서의 AI 활용 가능성이다. 프로그래밍 코딩 기술이 없는 초기 창업가도 바이브 코딩 방식으로 AI 기반 서비스를 활용해 빠르게 시제품을 만들어볼 수 있다. 이는 과거라면 개발자를 고용해야 했을 초기 개발 비용을 크게 절감하면서, 아이디어를 빠르게 시장에서 검증할 수 있게 해준다.
고객 소통 단계에서는 AI 챗봇 서비스들이 활용된다. 초기 스타트업은 고객 서비스 전담 인력을 두기 어렵다. 그런데 Claude나 ChatGPT 기반의 챗봇을 자신의 웹사이트나 SNS에 연동하면, 24시간 기본적인 고객 문의에 응답할 수 있다.
그러나 생성형 AI 활용에 있어 주의할 점도 있다. 첫째, 신뢰성 검증이 필요하다. AI가 생성한 정보가 항상 정확한 것은 아니다. 시장 통계나 법률 정보 같은 중요한 데이터는 반드시 다른 출처로 재확인해야 한다. 둘째, 창의성과 개인성의 유지가 중요하다. 지역 기반 스타트업의 가장 큰 강점은 바로 지역의 고유성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것인데, AI 활용이 이를 획일화해서는 안 된다. 셋째, AI가 완전한 대체가 될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다.
초기 창업가들은 생성형 AI를 자신의 창업 아이디어를 현실화하고 지역 시장에 빠르게 적응하는 전략적 파트너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더 많은 지역 창업가들이 자신감 있게 시장에 진입하고, 지역의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박정용 한남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