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 대비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액이 9월 들어 증가로 전환한 것은 유의미하다. 어렵지만 전체 수출 증가를 견인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주력 산업의 경쟁력이 건재한 덕이다. 원자재 관세 인하, 무역금융 확대 등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 철강 등은 고율 관세 대응이 쉽지 않다. 지방 기업 지원 없이는 세계 6대 수출국을 떠받치지 못한다.
대미 수출의 경우 관세 협상 여파로 다소 줄어든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 가운데 충남은 주력 품목에서 안정적 성과를 거둬 전체 수출을 끌어올렸다. 중국 시장은 후퇴할 여지가 크다. 수출품목과 시장 집중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 동남아 신흥국 등으로의 수출 다양도 확대는 수출 지속성과 성장의 핵심 열쇠다. 어찌 보면 9월 실적 역시 미국에만 의존하지 않는 무역 상대국 다변화의 힘이다. 단일국·단일품목 수출에 의존하면 외부 충격에 약할 수밖에 없다.
수출대상국이 1개국 늘 때 수출 중단 위험을 5.4% 낮춘다는 실증적 조사 모델이 있다. 수출품목 수가 1개 증가하면 위험은 1.2% 축소된다. 지방 소기업의 해외시장 개척에도 눈을 돌려야 한다. 10월 수출은 긴 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3년 3개월 만의 최고 수출액이지만 전년 동기 대비 0.9% 증가에 그친 충남에는 대체시장이 더 절실하다. 신흥시장 개척, 품질 향상, 신제품 출시, 내수 비중 확대는 수출 실적 약화에 대비하는 일이기도 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