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충남도립대 전경 |
24일 도립대에 따르면 총사업비만 9억 7000만 원에 달하는 이번 축제는 충남도립대가 주관하고 청양군이 협력하는 대형 사업이다. 그러나 축제 일정과 사업자 선정, 주민 홍보 등 핵심 절차가 늦어지면서 정작 지역민조차 추진 사실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다. 지역 대표 축제로 키운다는 목표와 달리 '탁상행정형 행사'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충남도립대는 이번 사업의 기획·운영·예산 집행 전반을 맡고 있지만, 협력 구조와 홍보 계획이 여전히 사후 통보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청양군과 역할 분담이 명확히 정리되지 않아 행정 공백과 혼선이 반복되고 있다는 내부 불만도 제기된다.
행사 취지는 지역 고유 자원인 '청양고추'를 중심으로 침체한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역 문화와 특색을 결합한 특화형 축제로 발전시킨다는 것. 그러나 축제 개막이 임박했음에도 용역 착수보고회조차 열리지 않았으며, 세부 기획과 운영도 일정에 쫓겨 급히 추진하는 상황이다. 예산 규모에 비해 준비 기간이 너무 촉박해 실질적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자칫 예산 소진용 행사로 끝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주요 프로그램은 청양고추 매운맛 챌린지, 청년·상권 상생마켓, 청양 페스티벌 등이다. 하지만 참가 모집과 홍보물 배포, 주민 설명회 등 기본 절차가 이뤄지지 않아 지역사회는 축제 존재조차 모르는 실정이다.
청양읍 상권 관계자는 "상생마켓을 한다고 들었지만, 상인회나 개별 점포에 아무런 안내도 없었다"며 "주민이 주체가 아닌 들러리로 세워지는 행사라면 의미가 없다"고 비판했다.
지역 행정 전문가들도 "공공대학이 주관하는 축제라면 지역과의 소통, 사전 준비, 책임성 확보가 기본"이라며 "지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참여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축제는 본래 주민 참여 확대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했다. 그러나 추진 과정에서 드러난 소통 부족과 일정 관리 부실, 외주 중심 구조는 오히려 주민과의 거리를 넓히고 있다는 평가다. 한 주민은 "지역과 함께한다는 구호만 있을 뿐, 정작 지역은 빠져 있다"고 토로했다.
전문가들은 남은 기간 주민·상인 간담회 개최, SNS·언론 홍보 즉시 착수, 예산 집행 내역 공개, 청양군과의 실질적 협력 체계 재정비 등을 시급한 과제로 꼽았다.
충남도립대 라이즈센터 관계자는 "축제 경험이 많지 않고 예산 확보 시점이 늦어 준비가 더딘 점은 인정한다"며 "남은 기간 철저히 준비해 성공적인 축제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청양=최병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최병환 기자

![[기획] `가을 정취 물씬` 자연이 살아 숨쉬는 충남의 생태명소](https://dn.joongdo.co.kr/mnt/webdata/content/2025y/10m/24d/118_20251023010014703000640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