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달 31일 열린 제천시청에서 열린 제천형 의료·돌봄 통합지원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 현장. (제천시 제공) |
제천시는 지난 10월 31일 시청에서 '제천형 노인 의료·돌봄 통합 지원 사업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를 열고, 예방부터 사후관리까지 이어지는 순환형 지역 돌봄 모델을 발표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제천시의회, 보건소,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역 복지기관 등 관계자 30여 명이 참석해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향후 정책 실현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연구는 2025년 6월부터 11월까지 한국 복지교육 통합연구소가 수행했으며, 제천시의 지역적 특성과 돌봄 수요를 반영한 지역 기반 통합 돌봄 전략 수립에 초점을 맞췄다.
'제천형 통합 돌봄'은 기존의 사후 대응형 돌봄에서 한 단계 진화한 예방 중심의 선제적 돌봄 체계가 핵심이다. 경로당과 복지관을 건강증진 및 위험 감지의 물리적 거점으로 활용하고, 돌봄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한 통합 플랫폼 '제천 온 문'을 구축한다.
또한, 지역의 이·통장과 노인 일자리 참여자 등이 위험 신호를 조기에 발견·의뢰하는 주민 참여 발굴 체계 '제천 온 반장'을 도입해 돌봄 사각지대를 획기적으로 줄일 계획이다. 발견된 대상자는 통합지원 절차를 통해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받고, 이후 사후관리 단계에서 다시 예방 체계로 연결되는 순환형 구조가 완성된다.
김창규 제천시장은 "돌봄은 행정이 가장 먼저 나서야 할 공공서비스"라며, "집은 최고의 요양시설이라는 가치 아래, 제천 형 예방 중심 돌봄 체계를 완성해 어르신들이 안전하고 건강하게 지내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제천시는 내년 3월부터 시행되는 보건복지부의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사업과 연계해 2026년 시범 운영, 2027년 전면 확산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시민 참여를 기반으로 한 이번 제천 형 모델이 성공적으로 정착할 경우, 제천시는 전국 통합 돌봄 정책을 선도하는 도시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천=전종희 기자 tennis40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전종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