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왼쪽부터 송희정, 신종욱 교수. 사진=세종충대병원 제공. |
충남대병원(원장 조강희), 세종충남대병원(원장 박재형)은 19일 이 같은 제품 개발과 함께 특허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기존 손잡이형 보조 장치와 달리 회전식 좌석과 가스 스프링을 결합한 독창적인 구조를 설계했다. 이 장치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좌변기에 앉거나 일어설 때 자동으로 보조해준다. 기존 장애인 화장실의 보조 장치는 손과 하지의 힘을 필요로 해 환자와 간병인 모두 부상의 위험을 안았다. .
연구팀은 뇌졸중, 척수 손상, 고관절 또는 무릎 수술 환자들이 좌변기 이용 시 관절에 무리가 가고 낙상 위험이 높다는 점에 주목했다. 병원 내 환자들의 좌변기 이용 과정을 관찰한 결과, 개발된 보조 장치를 사용하면 환자들이 더 안전하게 앉고 편리하게 일어날 수 있음을 입증했다. 가스 스프링은 환자들의 좌변기 착석 시 회전 속도를 자동으로 감속시키고 기립 시에는 회전을 보조해 환자 및 간병인의 부담을 크게 줄였다.
보조 장치의 양쪽 프레임은 좌변기 착석 시 손잡이 역할을 하며 페달부의 길이 조절을 통해 사용 전 좌석 각도를 맞춤 설정할 수 있다. 환자마다 다른 신장 차이를 감안해 착석 시작 위치의 각도를 조절하면 관절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중증 환자의 경우 간병인이 페달을 조작해 보조할 수 있고, 경증 환자는 스스로 페달을 밟아 독립적으로 좌변기를 이용할 수 있다.
신종욱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보조 장치는 사용자 체중에 맞춰 가스 스프링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안전성이 확보된 만큼 병원이나 요양시설, 장애인 화장실 등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개발품은 2022년도 세종충남대학교병원 직무발명 및 사업화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에 선정됐고, 시제품 제작 지원을 통해 진행됐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 |
| 좌변기 이용 보조 장치 모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이희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