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박은희 시의원./김해시의회 제공 |
김해시의회 박은희 의원은 21일 열린 제275회 제2차 정례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초고령사회를 대비한 김해형 대응 모델과 정책 수립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김해시는 2025년 기준 전체 인구의 15% 이상이 노인인 고령사회에 진입했으며, 일부 읍·면에서는 이미 초고령사회가 진행되는 이중 구조를 보인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현행 노인복지정책이 보호·돌봄 중심의 시혜적 성격이 강해 노인의 자율성과 사회적 역할을 제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해형초고령노인정책연구회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 전환을 제안했다.
첫째, 노인복지정책의 관점을 단순 수혜 대상이 아닌 지역을 변화시키는 주체적 시민, 즉 '선배시민'으로 재정의할 것을 촉구했다.
둘째, 경로당을 생활권 거점 공간으로 재정립해 선배시민이 직접 기획하고 운영하는 상시 프로그램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셋째, 치매·우울 예방 등 건강·돌봄 서비스의 고도화를 통해 지역밀착형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넷째, 노후 소득 및 경제활동 지원을 위해 선배시민 주도형 사회참여 일자리를 적극 개발·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섯째, 활동력 있는 선배시민을 디지털 봉사도우미로 양성하는 노노(老老)케어 방식을 통해 디지털 포용력을 강화할 것을 제안했다.
박 의원은 "초고령화 시대를 대비해 노인을 수동적 수혜자가 아닌 '선배시민'으로 재정의하고, 참여, 자립, 권리 중심의 노인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100세 시대를 살아가는 선배시민들이 주도적으로 행복하고 존엄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당부했다.
김해=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성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