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광역자치단체들은 AI수도추진본부, AI국(局), 인공지능위원회 등을 출범시켜 투자 경쟁에 뛰어들었다. 실제 예산안에서는 차이가 현저하다. 광주, 전북, 대구, 경남 지역은 총사업비 5000억 원 이상 1조 원 규모의 AI 대전환 사업 예산이 들어 있다. 시작 단계라고 하지만 인공지능 기반 제조업 생산기술 개발, 산업 고도화와 생태계 조성은 급하지 않은 곳이 없다.
지역 성장엔진의 첫 단추가 될 인공지능 기반 예산이 충남 등은 아예 0원이라는 내용이 예산 심의 막바지에 부각된 것도 좀 의아하다.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관련 사업 대부분이 선도지구 위주로 편성된 사실조차 인식하지 않았다면 이는 무관심의 소산이다. 정부의 비수도권 우선 지원 기조까지 결과적으로 놓쳤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국회의원(충남 공주·부여·청양) 등이 챙겨 회생의 길을 찾고 있어 그나마 다행이다. 확보할 10억 원은 시작에 불과하다. 이제부터는 정부의 추진 기관, 지역, 업종 선정 작업에도 무관심해서는 안 된다.
지정된 선도지구가 아니라도 AI 대전환 관련 국비 확보에 소홀할 수는 없다. 정책 수립에서부터 실행까지를 총괄하는 기능은 어느 지역이든 강화해야 할 것이다. 물론 유사한 사업 추진과 중복 투자를 피하고 지역별로 특화해야 한다. 인공지능 시대를 여는 첫 번째 예산이라면서 충남, 강원이 사실상 제외된 부분은 명백히 잘못됐다. 서양 속담(Money talks)처럼 말보다 돈이 더 많은 걸 좌우하는 것이 특히 예산이다. 본사업으로 이어질 연구 용역 예산부터 제대로 확보하길 당부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