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현대그랜드오피스텔 '재난사고 화약고' 전락

  • 사회/교육
  • 사건/사고

대전 현대그랜드오피스텔 '재난사고 화약고' 전락

지역최대 규모 건축물… 파산 4년째 폐허로 단수·단전 방치

  • 승인 2015-02-01 16:56
  • 신문게재 2015-02-02 6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 대전을 대표하던 성남동 현대그랜드오피스텔 앞 인도 위의 녹슨 환풍구가 장판에 가려져 있다.
▲ 대전을 대표하던 성남동 현대그랜드오피스텔 앞 인도 위의 녹슨 환풍구가 장판에 가려져 있다.
<속보>=대전 최대규모의 건축물로 손꼽혔던 성남동 현대그랜드오피스텔이 파산한 지 4년째를 맞아 재난사고의 대표적 위험시설물로 전락할 우려를 낳고 있다. <본보 2013년 12월 30일자 보도>

1992년 지하 5층, 지상 18층 규모로 개장해 대전을 대표하는 오피스텔 건물이 요금 미납으로 2009년께 상수도가 단수되고, 2011년 5월 전기까지 끊기면서 폐허로 전락했다.

건물 내 오피스텔과 상가 429개는 모두 비었고 한 건물에 서류상 소유자가 400여명에 달해 추락·화재·붕괴 위험에 대응하거나 책임질 기관도 없는 실정이다.

지난 달 30일 현대그랜드오피스텔 현관에 있는 길이 5m 환풍구 두 개는 지하 5층의 주차장 공기를 순환하는 곳으로 환풍구를 떠받치는 철제 구조물은 이미 녹슬어 붉게 변색했다.

위험해 보였는지 누군가 버려진 장판으로 환풍구를 덮어놔 눈가림해놨지만, 추락사고는 예방할 수 없어 보였고 장판 덕분에 주민들은 환풍구가 있는지도 모르고 장판 위를 걸어다녔다.

건물을 돌아 오피스텔의 부설 기계식 주차장에 가보니 안전 불감증은 더 심각했다.

승용차를 2~3층 높이로 들어 올렸을 철제 장비는 지난 수년간 방치돼 녹슨 채 휘어졌고, 절단된 부분이 날카롭게 도드라졌다.

기계식 주차장에는 물이 고여 깊이를 알 수 없는 웅덩이에 살얼음이 덮여 있었다. 동구청은 문제의 기계식 주차장을 완전 철거할 것을 현대그랜드오피스텔 측에 통보하고 과징금까지 부과했지만, 파산한 건물에 안전시설을 책임질 사람은 없었다.

특히, 지상 18층의 대규모 건물에 작동하는 소화시설이 없고 지하에 물이 유입되는 상황에 구조적 안전은 누구도 장담하지 못하고 있다.

건물은 2층부터 출입이 통제돼 올라갈 수 없도록 막아놨으나 1층은 상가 11개가 비상전기를 활용해 슈퍼와 수선 등의 영업을 이어가고 있다.

현대 그랜드오피스텔 관계자는 “서류상 건물 소유자는 400여명에 달하지만, 그때문에 건물에서 생긴 문제에 누구도 책임지지 않고 있다”며 “돈이 없어 파산했는데 건물 외벽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이나 지하에 물이 고이는 문제는 우리 손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라고 토로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시 제천서 실종된 40대 남성… 여전히 행방묘연
  2. 이장우 "3대하천 준설 덕에…더는 물난리로 불편 없도록"
  3. 대전천 휩쓸린 50대 숨진채 발견…대전충남 폭우 4명 사망
  4. 8년간 재활용품 수집으로 모은 1천만원 기부한 86세 이형진 할아버지
  5. 지역 어르신들에게 삼계탕 선물
  1. 서울 집값 24주 연속 상승… 대전은 27주 연속 하락 '양극화' 뚜렷
  2. 문화유산회복재단, 유성구청 업무협약 맺고 학생 실감교육 실시
  3. [아침을 여는 명언 캘리] 2025년 7월18일 금요일
  4.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5.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등용과 정리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62.7% 충청서 기선제압 …與 당권주자들 해수부 논란엔 `침묵`

정청래 62.7% 충청서 기선제압 …與 당권주자들 해수부 논란엔 '침묵'

더불어민주당 8·2 전당대회 첫 지역 순회 경선인 충청권 권리당원 선거인단 투표에서 정청래 후보가 62.77%의 득표율로 중원을 민심을 잡으면서 기선을 제압했다. 그러나 정작 충청권 강력 반발하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논란에 대해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등 세 명의 후보 모두 한마디도 하지 않아 지역 민심을 외면했다는 비판이 거세다. 19일 민주당에 따르면, 충청권 권리당원 투표 결과 정청래 후보가 3만 5142표(62.77%)를 획득하며 2만 846표(37.23%)를 얻은 박찬대 의원을 큰 격차로 제쳤다. 투표에는 전체 권리당..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올해로 10회를 맞은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KITS:Korea International Tourism Show)가 18일부터 21일까지 나흘간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 7홀에서 열린다.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와 KITS조직위원회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전시산업원이 주관하는 이번 박람회는 국내외 관광업계 정보 제공의 장과 관광객 유치 도모를 위한 비즈니스의 장을 마련해 상호 교류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KITS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지역별 특색을 살린 여행 콘텐츠와 국제 관광도시 및 국가 홍보, 국내외 관광 콘텐츠 간 네트워..

[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우리에게 달콤한 꿀을 선사해주는 꿀벌은 작지만 든든한 농사꾼이기도 하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수박, 참외, 딸기 역시 꿀벌들의 노동 덕분에 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공급의 약 90%를 담당하는 100대 주요 농산물 중 71종은 꿀벌의 수분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와 '꿀벌응애'라는 외래종 진드기 등장에 따른 꿀벌 집단 폐사가 잦아지면서다. 전국적으로 '산소호흡기'를 들이밀듯 '꿀벌 살리자'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으나 대전 지역 양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