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츠린 경기' 충북도내 미분양 고착화되나

  • 전국
  • 충북

'움츠린 경기' 충북도내 미분양 고착화되나

전달 4171가구 미분양 … 작년比 5배이상 증가 도 매매·전세가 상승률 전국 평균보다 밑돌아

  • 승인 2016-06-27 13:15
  • 신문게재 2016-06-28 18면
  • 이영록 기자이영록 기자
충북지역의 부동산 경기 침체가 당분간 고착화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미분양 물량이 4000가구를 훌쩍 넘는데다 매매나 전세가격 상승률이 전국 평균치를 밑돌면서 분위기가 여전히 위축돼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신규 분양시장의 경우 대형 건설사나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단지만 청약자가 몰릴 뿐 나머지는 고전을 면치 못하는 실정이다.

27일 충북도와 충북연구원 등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현재 도내 아파트 미분양 물량은 4171가구에 달한다.

지난 4월에 비해 425가구 감소한 수치지만 불안감은 여전하다.

올해 도내 미분양 물량은 1월 5007가구, 2월 4341가구, 3월 4096가구, 4월 4596가구, 5월 4171가구 등 4000가구 이상 적체돼 있다.

지난해 1월 842가구, 2월 1090가구, 3월 940가구, 4월 838, 5월 748가구 등과 비교해보면 5배 이상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충북은 지난해 중반까지만 해도 청약 광풍이 몰아칠 정도도 부동산 시장 분위기가 활황이었다. 청약 경쟁률이나 매매, 전세가격 상승률 등이 전국 평균을 웃돌면서 소위 '잘 나가는 시장'으로 투자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하지만 하반기를 기점으로 분위기가 사뭇 달라졌다.

겨울철 비수기를 지나 올 봄 신규 분양시장이 열리면서 내심 기대감을 높였지만 성적표는 초라한 상황이다.

4·13 총선 이후 움츠렸던 투자 수요가 본격 활동에 나설 것으로 예측됐지만 가라앉은 시장 분위기 탓에 관망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도내 주택 매매 및 전세가격 상승률도 전국 평균치에 못 미치고 있다.

지난 4월 말 현재 도내 주택가격 상승률은 매매의 경우 0.9%로 전국 평균치인 3.3%를 크게 밑돌고 있다.

충북은 2015년 4월 3.7%로 전국 평균(2.6%)를 웃돌았지만 3월 3.4%, 8월 2.7%, 12월 1.3% 등 지속적인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전세가격 상승률도 지난 4월 말 현재 2.0%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는 전국 평균치인 4.3%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매 분기 오르던 도내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해 4분기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특히 청주지역의 경우 2009년 6월 이후 6년여 만에 처음이다. 매물은 쏟아지는데 거래가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부동산 업계는 매수 분위기 실종 탓에 실거래가는 이보다 낮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최근에는 곳곳에서 대규모 신규 분양이 이뤄지고 있지만 수요자들의 분위기는 관망세가 뚜렷하고, 대규모 물량 공급에 따른 기존 아파트 가격 하락도 부채질하는 실정이다.

그나마 실수요자들이 새 아파트로 이동하면서 기존 아파트 가격은 수요 부족으로 인해 가격이 더 하락하고 있다.

지역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 부동산 시장이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며 “국내·외 경기 상황이 불안정해 투자자 뿐 아니라 실수요자들도 섣불리 움직이지 않고 있다”고 분석했다.

청주=이영록 기자 idolnamba200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성추행 유죄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 촉구에 의회 "판단 후 결정"
  2. 김민숙, 뇌병변장애인 맞춤 지원정책 모색… "정책 실현 적극 뒷받침"
  3. 천안 A대기업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 부상
  4. "시설 아동에 안전하고 쾌적한 체육시설 제공"
  5. 회덕농협-NH누리봉사단, 포도농가 일손 돕기 나서
  1.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운동선수 등을 위한 '새빛' 선사
  2. 세종시 싱싱장터 납품업체 위생 상태 '양호'
  3.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4. '세종교육 대토론회' 정책 아이디어 183개 제안
  5. ‘몸짱을 위해’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