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교통사고 전국평균 이하로 줄었다

  • 전국
  • 충북

충북도 교통사고 전국평균 이하로 줄었다

작년 인구 1만명당 204건 발생, 5년간 지속 감소 음주운전·아동·노인 사고 여전 … 대책마련 시급

  • 승인 2016-08-07 12:27
  • 신문게재 2016-08-08 18면
  • 이영록 기자이영록 기자
도내 교통사고 발생률이 전국 평균 이하로 낮아졌다. 차량과 인명사고 모두 감소하면서 교통 인프라 확충 효과로 분석되고 있다.

다만, 음주운전 교통사고와 아동 교통사고는 여전히 전국 평균치를 웃돌고 있어 개선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충북연구원과 도로교통공단 등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인구 1만명당 교통사고 발생률은 204건으로 전국 평균(207건)보다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2011년에는 182건(전국 평균 176건), 2012년 226건(〃 199건), 2013년 221건(〃 199건), 2014년 221건(〃 207건)이던 것이 2015년에는 큰 폭의 감소세를 보이면서 전국 평균보다 낮아진 것이다.

등록차량 1만대당 교통사고 발생률도 2011년 445건(전국 평균 434건), 2012년 542건(〃 507건), 2013년 516건(〃 489건), 2014년 499건(〃 495건), 2015년 442건(〃 473건) 등 지속적인 감소세를 유지하면서 전국 평균치 이하로 개선됐다.

하지만 도내 음주운전 교통사고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도내 인구 1만명당 음주운전 교통사고는 6.8건으로 전국 평균 5.3건보다 높은 실정이다.

그나마 2011년 8.1건(전국 평균 6.3건), 2012년 7.9건(〃 6.4건), 2013년 7.4건(〃 6.0건), 2014년 6.6건(〃 5.3건) 등 소폭의 감소세를 보이지만 전국 평균을 웃도는 상황이다.

아동과 노인 교통사고 역시 도내 발생률이 높은 수준이어서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

지난해 도내 인구 1만명당 아동 교통사고는 133건으로 전국 평균 122건을 훌쩍 뛰어넘고 있다.

2011년에도 109건(전국 평균 99건), 2012년 140건(〃 111건), 2013년 144건(〃 114건), 2014년 150건(〃 125건) 등 상승세를 보인 상황이다.

도농 복합지역인데다 급속한 고령화 사회가 도래하면서 노인 교통사고도 증가하고 있다.

도내 인구 1만명당 노인 교통사고는 2011년 133건(전국 평균 127건), 2012년 160건(〃 146건), 2013년 171건(〃 153건), 2014년 169건(〃 165건), 2015년 170건(〃 169건) 등으로 집계되고 있다.

최근 5년간 11개 시·군의 교통사고 발생 증가율은 진천이 10.2%로 가장 높고, 단양 9.3%, 보은 8.4%, 괴산 7.2%, 음성 6.7% 등의 순으로 늘었다.

충북연구원 관계자는 “교통 인프라 확충으로 전반적인 교통사고 발생률은 감소했지만 아동, 노인, 음주사고 비율은 여전한 수준이어서 개선책 마련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청주=이영록 기자 idolnamba200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야구장 빵집 다 있는데 소방서 없는' 대전 중구, 중부소방서 신설 지연
  2. '세종시=행정수도' 완성...여·야 정치권은 동상이몽
  3. 충청권 '교권 침해' 여전… 2024년 교보위 646건 열려
  4. 대전교총 급식 사태에 "학교 필수공익사업장 지정해야"… 학비노조 "쟁의권 제한"
  5. [사설] 대전 3·4·5호선 도시철도망 기대 크다
  1. 투쟁 수위 높인 조리원들, 대전 A고 급식갈등 지속… 학교는 뭐 했나
  2. [사설] 소상공인 울리는 '전화 사기' 대책 없나
  3. 대전시립교향악단의 찾아가는 음악회
  4. 충남연구원 "인구감소세, 도시계획 패러다임 전환 필요"
  5. 진흥원-육군교육사 협력...공공데이터로 키우는 미래 국방

헤드라인 뉴스


‘재정난’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국가책임 운영체계 구축돼야

‘재정난’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국가책임 운영체계 구축돼야

국가의 지속 가능성과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과제인 저출생과 고령화 위기 극복을 위해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국가책임 운영체계가 구축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6.3 대선을 앞두고 있는 만큼 이와 관련해 각 정당 대선후보들로부터 약속을 받아내야 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결혼과 출산의 연령이 높아지며 난임 환자가 증가하고, 미숙아 출생 빈도가 늘면서 재활치료가 필요한 아동이 늘고 있지만 체계적인 소아 재활의료 시스템은 부족한 실정이다. 2023년 기준 국내 여성의 평균 초혼 연령은 31.45세로, 평균..

3당이 본 초반판세 민주 "우세" 국힘 "추격" 개혁 "도전"
3당이 본 초반판세 민주 "우세" 국힘 "추격" 개혁 "도전"

제21대 대선 본선레이스가 갈수록 불을 뿜고 있는 가운데 각 당 충청 진영은 필승을 다짐하면서 선거전 초반 판세에 대해 아전인수 해석을 내놓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재명 후보 지지율 고공행진 등을 근거로 우세를 점치면서도 보수진영 결집 가능성에 대해선 안테나를 세웠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을 오만하다고 비판하면서 중도층 확장이 효과를 보고 있다면서 예측불허의 판세가 펼쳐지고 있다고 자평했다. 개혁신당은 이공계 출신 이준석 후보의 과학기술분야 공약 등을 내세워 거대양당과 차별화를 통해 선전을 다짐하고 있다. 대선 정국이 본격화된 가운데..

2029년 충남 천안에 LNG열병합발전소 건립 예정... 주민 우려해소 관건
2029년 충남 천안에 LNG열병합발전소 건립 예정... 주민 우려해소 관건

충남도가 천안에 '분산에너지 특화지역'과 2029년도 들어설 LNG열병합 발전소를 연계한 탄소저감 전력 확보 계획을 세웠지만, 벌써부터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정부 공모 선정이 확정적이지 않을뿐더러 특히 LNG열병합 발전소 건립 과정에서 주민반발 등 상당한 진통이 예상되면서다. 이같은 우려에 도는 열병합발전소 인근 주민들이 불안해하는 요소를 해소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동시에 천안이 특화지역에 선정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13일 도에 따르면 도는 천안지역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하기 위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제21대 대통령선거 벽보 제21대 대통령선거 벽보

  • ‘내 일자리는 어디에’ ‘내 일자리는 어디에’

  • ‘테러 막아라’…빈틈 없는 통합방위 ‘테러 막아라’…빈틈 없는 통합방위

  • 대전시선관위, 투표를 통한 국민 화합 캠페인 실시 대전시선관위, 투표를 통한 국민 화합 캠페인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