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60대 “농사 지으러” - 30대 이하 “일자리 찾아”

  • 전국
  • 충북

50~60대 “농사 지으러” - 30대 이하 “일자리 찾아”

도, 귀농·귀촌 가구 꾸준히 증가 … 충북연구원, 특성 활성화 방안 고용불안·조기은퇴 가속화 탓 … 젊은층 맞춤 일자리 정책 필요

  • 승인 2016-08-23 13:17
  • 신문게재 2016-08-24 18면
  • 이영록 기자이영록 기자
충북 지역의 귀농(歸農), 귀촌(歸村) 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사회 전반에서 나타나는 고용 불안과 조기 은퇴 가속화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주목할 점은 귀농의 경우 50~60대가 증가한 반면 귀촌은 30대와 50대 비중이 늘고 있다.

농촌의 심각한 고령화 문제 및 인구 감소 극복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와 사회안전망 제공 등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해 맞춤형 일자리 창출 등 도 차원의 유인책 지원이 필요한 이유다.

23일 충북연구원의 '2015 귀농·귀촌 특성과 충북의 활성화 방안' 이슈분석 자료에 따르면 도내 귀농 가구는 2013년 824가구, 2014년 887가구, 2015년 928가구 등 지속적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지난해 전국의 귀농 가구 1만1959가구 중 7.8% 비중을 차지한다.

지난해 도내 귀농 가구 중 1인 가구가 548가구(58.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2인 가구 247가구(26.6%), 3인 가구 83가구(8.9%), 4인 가구 53가구(5.7%) 등이다. 시·군별로는 지난해의 경우 영동이 136가구로 가장 많았고, 괴산 135가구, 청주 108가구, 옥천 93가구 등이다.

도내로 귀농한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도 2013년 1.58명, 2014년 1.60명, 2015년 1.63명으로 늘고 있다. 아쉬운 점은 40대 젊은층보다 50~60대 귀농이 증가하는 점이다.

지난해 도내 귀농 가구주의 연령대 분포는 50대가 428가구(46.1%)로 가장 많고, 60대 250가구(26.9%), 40대 129가구(13.9%), 30대 이하 68가구(7.3%), 70대 이상 53가구(5.7%) 등의 순이다. 60대는 2013년에 비해 86가구, 50대는 37가구가 각각 증가했다. 반면 40대는 2013년에 비해 오히려 37가구 감소했다.

귀촌 가구도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국의 귀촌 가구는 31만7409가구로 전년 대비 6.0%(1만8052가구) 늘었다.

경기도가 8만1465가구(25.7%)로 가장 많았고, 경남 3만7541가구(11.8%), 경북 3만5363가구(11.1%), 충남 3만4445가구(10.9%) 등의 순이다.

평균 귀촌 가구원 수는 2014년과 마찬가지로 1.47명으로 나타났다.

충북의 귀촌 가구는 2013년 1만7695가구, 2014년 1만8731가구, 2015년 2만854가구에 달해 전국 7위 수준을 보이고 있다. 청주가 6851가구로 가장 많고, 음성 2994가구, 진천 2020가구 등이다. 연령대별로는 30대가 5355가구(25.7%)로 가장 많고, 30대 이하 4229가구(20.3%), 50대 3952가구(19.0%), 40대 3853가구(18.5%), 50대 2147가구(10.3%), 60대 1318가구(6.3%) 등의 순이다.

충북연구원 관계자는 “충북은 귀농보다 귀촌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이제껏 추진돼 온 귀농 대신 귀촌 중심의 유인책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귀촌의 주류를 이루는 젊은층의 적합한 일자리 창출 등 트렌드가 반영된 정책적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청주=이영록 기자 idolnamba200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성추행 유죄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 촉구에 의회 "판단 후 결정"
  2. 김민숙, 뇌병변장애인 맞춤 지원정책 모색… "정책 실현 적극 뒷받침"
  3. 천안 A대기업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 부상
  4. "시설 아동에 안전하고 쾌적한 체육시설 제공"
  5. 회덕농협-NH누리봉사단, 포도농가 일손 돕기 나서
  1.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운동선수 등을 위한 '새빛' 선사
  2. 세종시 싱싱장터 납품업체 위생 상태 '양호'
  3.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4. '세종교육 대토론회' 정책 아이디어 183개 제안
  5. ‘몸짱을 위해’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