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칼럼] 2019년을 한 줄로 요약하면?

  • 오피니언
  • 사이언스칼럼

[사이언스 칼럼] 2019년을 한 줄로 요약하면?

  • 승인 2019-05-30 16:54
  • 신문게재 2019-05-31 22면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이승미 박사
이승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양자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
벌써 5월 마지막 날이다. 늘 바빴던 것 같지만 정작 되돌아보면 기억할만한 순간은 거의 없다. 고대 그리스인은 시간을 두 가지로 구분했다. 필멸의 존재 인간이 속절없이 떠밀려 내려가는 수평적 시간 크로노스와 벼락처럼 내리꽂혀 영원히 기억되는 순간인 카이로스로.

과학사의 카이로스는 언제일까? 아이작 뉴턴이 떨어지는 사과를 바라보며 만유인력을 떠올린 때, 막스 플랑크가 작은 상수 하나를 만들며 양자개념을 도입한 때, 리제 마이트너와 오토 프리슈가 함께 핵분열을 생각해 낸 순간, 그리고 1875년 5월 20일. 이 날은 미터협약, 즉 통일된 단위를 사용하자는 국제 조약이 체결된 때다. 17개국이 참여한 인류 최초의 국제도량형 합의에는 무역 편익이라는 상업적 목적뿐 아니라 인류 평등 실현이라는 정치적 의미도 있었다. 예전처럼 왕의 팔 길이 같은 자의적 기준이 아니라, '지구 둘레 사천만 분의 일'을 길이 단위 1 미터로 정해 지구인 모두에게 보편타당하게 적용하였기에. "정복은 순간이지만 이 업적은 영원하리라."던 정복자 나폴레옹의 말대로, 길이(미터, m)에서 시작된 국제공통의 단위계는 다른 단위로도 확장되었다. 질량(킬로그램, kg), 시간(초, s), 전류(암페어, A), 광도(칸델라, cd), 온도(켈빈, K), 물질량(몰, mol)까지 일곱 가지 기본단위를 SI(Systeme International)라 부른다. 다른 모든 단위는 SI를 조합해서 만든다. 예를 들어 속력은 길이를 시간으로 나눈 유도단위다.



SI는 과학문명사회의 약속이다. SI는 미터협약 이후로도 새로 발견한 과학지식과 기술 수준에 맞춰 더욱 정확하게 다시 정의되기를 반복했다. 길이 단위는 금속 자 국제미터원기(1889년)에서 빛의 파장을 이용한 값(1960년)으로, 다시 빛이 진공 중에서 1/299792458 초 동안에 진행한 경로의 길이(1983년)로 재정의 된 바 있다. 올해는 측정과학에서 매우 특별한 해다. 세계측정의 날인 2019년 5월 20일부터 일곱 가지 SI 중에 무려 네 가지 단위가 재정의 발효되었다. 이렇게 많은 단위가 한꺼번에 바뀌기는 인류 역사상 처음일뿐더러, 이번에 재정의 된 질량, 전류, 온도, 물질량, 네 단위로서는 최후의 재정의이기에 더욱 의미가 깊다. 이들은 측정과학의 궁극적 목표인 불변의 단위에 도달했다. 인류의 과학기술 성과인 변하지 않는 기본 상수들을 고정하고, 이로부터 단위를 재정의했기 때문이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킬로그램으로서, 인공물을 기준 삼던 킬로그램이 플랑크 상수를 고정하여 재정의되었다. 1889년 국제킬로그램원기가 승인된 지 무려 130년 만이다. 설령 우주 해적이 지구에 침략해 킬로그램원기를 탈취해간대도 질량 단위를 잃을 걱정이 없는 셈이다. 전류는 기본전하, 온도는 볼츠만 상수, 물질량은 아보가드로 수로부터 정의된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홈페이지(http://www.kriss.re.kr)의 '표준이야기'를 참고하시기 바란다.

키나 몸무게 같은 일상 측정값이 갑자기 달라지는 건 아니다. 심각한 사회 혼란을 막으려면 기본단위를 재정의하더라도 측정값의 연속성은 반드시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 삶은 정확한 측정을 바탕으로 밝혀낸 과학지식으로 더욱 풍요롭고 편리해져 왔다. 광속을 고정하고 더욱 정확해진 시간과 길이 측정이 GPS를 일상으로 끌어냈듯, 불변의 단위를 활용한 측정은 인류에게 새로운 세계를 보여주게 될 것이다. 2019년은 인류의 달 착륙 50주년이자 일반상대성 이론입증 100주년, 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 탄생 150주년이다. 측정과학사에서 올해는 기본단위 재정의 해로 기록되리라. 2019년 5월 20일 발효된 기본단위 재정의, 과학의 카이로스를 올해 우리는 함께하고 있다. /이승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양자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3.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4. 인천 연수구, ‘집회 현수막’ 단속 시행
  5.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1.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2. 대전교육청 교육위 행감서도 전국 유일 교권보호전담변호사 부재 지적
  3. "행정수도 세종 완성, 당에서 도와달라"
  4.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5. 당진읍성광장, 주민 손으로 활짝 펴다!

헤드라인 뉴스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 보령에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가 들어선다. 도는 2조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해당 센터를 통해 전력 절감, 일자리 창출 등의 기대효과가 있을 것이라 내다봤다. 김태흠 지사는 18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김동일 보령시장, 김용호 웅천에이아이캠퍼스 대표와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웅천에이아이캠퍼스(이하 캠퍼스)는 보령 웅천산업단지 내 10만 3109㎡의 부지에 AI 특화 최첨단 데이터센터를 건립한다. 캠퍼스 측은 민관 협력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구성하고, 내년부터 2029년까지 2조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데이터..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11월 15~16일 이틀간 충남 청양공설운동장에는 선수들을 향한 환호와 응원으로 떠들썩했고, 전국에서 모인 풋살 동호인들은 신선한 가을 하늘 아래 그동안 갈고닦은 기량을 맘껏 뽐냈다. 중도일보와 청양군체육회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청양군과 청양군의회가 후원한 이번 대회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를 비롯해 서울, 경기, 대구, 경북, 전북 등 전국 각지에서 선수들과 가족, 지인, 연인 등 2500여 명이 참여해 대회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다. 이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