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베이스볼 드림파크 용역발표 임박

  • 스포츠
  • 스포츠종합

대전 베이스볼 드림파크 용역발표 임박

'개방형' ·'돔구장' 건립 방식놓고 관심 집중
자문위-구단·시민 의견 갈리면서 후유증 예상

  • 승인 2019-07-15 18:00
  • 신문게재 2019-07-16 2면
  • 박병주 기자박병주 기자
0002447316_001_20190322025157532
대전 시민들의 오랜 숙원 사업인 '베이스볼 드림파크' 최종 용역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구단과 시민 간 의견이 갈리면서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그동안 대전시는 야구장 건립 성공적 추진을 위해 자문위원회와 시민설명회를 열고 건립 형태 등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왔다. 다만, 발표를 앞두고 '개방형'과 '돔구장'을 놓고 의견을 달리하면서 일부 후유증이 예상된다.



대전시는 이달 말 한화 이글스와 야구팬, 주민(시민), 베이스볼 드림파크 자문위원 등 의견을 종합 검토해 야구장 형태 등 기본계획을 발표한다. 대전이 야구 메카와 함께 문화체육 인프라 해결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된다.

그동안 신축 베이스볼 드림파크를 의견 수렴에서는 지역 '랜드마크'로 건설하자는 데 모두가 뜻을 같이했다.



야구장 3대 기본원칙으로 야구선수와 관계자·팬들을 위한 시설, 보문산 연계 지역상권 관계, 부족한 문화체육 인프라 확충이 핵심이다.

여기에 프로야구 시장 확대를 통한 대전 발전방안과 팬과 선수 친화형 야구장 건립방안, 사계절 활용 가능한 야구장 건립, 원도심 발전방안 등이 지속적으로 논의 돼 왔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립 방식에서 이견이 갈렸다. 최근 열린 주민 설명회에서 그동안 제시된 자문위원회와 한화 이글스 등 의견이 상반됐기 때문이다.

한화이글스 선수 48명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 선수단 전원은 천연잔디 구장을 선호했다. 창원NC파크 형태를 원하는 것으로 개방형이 원했다.

하지만, 지난 12일 열린 주민 설명회에서 주민들은 '돔구장'을 정식 요청했다. 개방형으로 무게를 싫은 대전시가 이날 주민들이 입장을 수렴하면서 어떤 결정을 내릴지 주목된다.

새 야구장을 원도심 활성화 등 지역 랜드마크를 위해 돔구장 건설은 매력적이지만, 예산이 문제다.

대전시 또한 두 배 이상 투입되는 건설비용에 부담을 안고 있다.

개방형 구장의 사업 비용은 1360억 원, 돔구장으로 건립할 경우 3000억 원 안팎이다. 건립 형태에 따라 기본 계획도 달라진다.

그동안 순조롭게 진행되던 자문위원회가 막바지 위기를 맞을 수 도 있다. 자칫 야구장 부지를 놓고 갈팡질팡해 논란이 재연될 수 있는 상황이다.

베이스볼 드림파크는 중구 부사동 한밭종합운동장 부지에 2024년 말까지 2만 2000여석 규모로 건설된다. 2025년부터는 시민과 야구팬들이 새로운 야구장에서 한화 이글스 경기를 관람할 수 있다.

대전시가 그동안 한화 이글스와 전문가와 시민들과 머리를 맞댄 새 야구장 형태를 어떤 방식으로 결정지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박병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4.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5.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1.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2.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3.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