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춤으로 그려진 그림 속 생명력

  • 문화
  • 공연/전시

[리뷰] 춤으로 그려진 그림 속 생명력

대전시립무용단 '군상'

  • 승인 2019-11-07 17:15
  • 신문게재 2019-11-08 11면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김혜라 춤 평론가
고암 이응노 화백의 정신과 이상이 대전시립무용단의 <군상>에 소환되어 살아있는 몸의 생기와 이미지로 해석되었다. 일제강점기, 전쟁, 동백림 사건 같은 한국의 굴곡진 현대사를 살아낸 이응로 화백의 담백한 색채에 담긴 자유분방한 필치와 응축된 생명력이 윤이상 작곡가의 고뇌에 담긴 음악과 함께 무대에서 춤으로 되살아난 것이다. 대전시립무용단의 기획으로 마련된 무대는 추상성과 사실성을 넘나들며 화백의 격조를 상기시키기에 충분했다.

황재섭 감독은 대전시립무용단 부임 후 신작으로 <군상>에서 이 화백의 4개 작품의 이미지를 춤으로 성실하게 재현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여기에 윤이상의 격렬하고 리듬감이 복잡한 현악의 합주 기법들은 작품의 드라마틱한 성격을 고조시켰다. 최근 국·공립 단체의 한국춤을 현대적으로 창작하려는 경향을 반영한 황감독의 연출은 현대춤의 구도와 몸짓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무대세트는 간소하게 조명 색감으로만 배경과 무드를 처리하였고, 최대한 춤적 질감에 집중하기 위해 작품은 화백의 그림 영상으로 각 장의 서두와 마지막에 투사시키는 정도로만 배치하였다.



황재섭 감독은 이 화백의 의식과 무의식의 세계, 역사적 사실과 가상의 극적 서사를 삽입한 상징성으로 안무적 접근을 하였다. 총 4장중 제1장 '공후'에서는 화백의 그림 속 선형들과 필체가 댄서들의 움직임으로 환생된 듯하다. 화폭의 사각 프레임을 옮겨놓은 무대에서는 고요와 정적인 선형적 형태감을 이루는 댄서들의 움직임이 화백의 젊은 시절 꿈을 회고하듯 남녀의 사랑과 이별이라는 사실적인 내용이 중심이 되었다.

제 2장 '메모리즈'에서는 "1968년 12월 안양 교도소에서 가장 춥고 괴로운 날"에 그린 '자화상'이 무대 바닥을 장식하며, 어둡고 스산한 분위기 속에 시간차를 둔 군무로 기억의 흔적을 더듬고 있었다.



이어지는 제 3장 '동백림, 그리고 광주'에서는 감옥으로 설정된 무대에서 이 화백이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견디는 고통과 처절함이 댄서들의 거친 감정으로 표현된다. 역사적 상흔의 고통은 남녀 주인공과 상의를 벗어던지며 격렬하게 몸부림치는 군무를 통해 민중의 저항 의지를 직설적으로 표출하였다. 화백의 '군상'이 잉태될 토대가 마련된 셈이다.

마지막 제 4장 '군상'은 상처받은 민중들이 일어나 서로를 의지하며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희망찬 모습을 보여준다. 이것은 이 화백 이야기를 통해 동시대를 살아 견뎌낸 우리의 역사를 보여준다. 화백의 '군상'에 담긴 묵직한 수묵적 정서에서 발현되는 군상들의 자발적인 활동성은 공동체성을 담지하면서도 역동적인 생기발랄한 몸짓을 표현하고 있다. 황감독의 작품 <군상>에서 그려진 군중들은 집단적인 미래지향적 의지만이 강조되었다. 화폭에 담긴 민중의 미력하지만 꺾이지 않는 기상이 좀 더 섬세하게 각각의 댄서들의 개별적이고 개성 있는 춤으로 발휘되었더라면 화백의 기상과 좀 더 어울렸을 것 같다.

대전시립무용단의 <군상>을 통해 예술가의 고뇌를 넘어 비탈진 현대사의 아픔을 볼 수 있었기에 동시대를 살아낸 민중의 정서를 다시 생각하는 시간이었다. 그들의 역동적인 예술적 실천에 녹아있는 그늘진 정서를 춤적 정서로 앞으로 더욱 두터운 질감으로 재조명해주길 기대하며 황감독과 대전시립 단원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김혜라 춤 평론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구미, 주민안전 무시한 보행자 보도정비공사 논란
  2. [대입+] 종로학원 2026 수능 가채점 정시 분석… 서연고 경영 280점대, 의대는 290점 안팎
  3. 세종시 어린이들의 '가족 사랑' 그림...최종 수상자는
  4. 초록우산 박미애 본부장, '시낭송 상금' 100만 원 기부 귀감
  5. 한남대, 2025 산학프로젝트 챌린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1. 건보공단, 미혼 한부모가정 위한 따뜻한 지원 눈길
  2. 충남대, 중국약과대학과 협약…바이오 재료·약학 분야 공동 연구 추진
  3. 세종충남대병원, '당뇨병 예방과 공연' 이벤트..건강한 삶 이끈다
  4. 세종도시교통공사, 저출산·지방소멸 해결 위한 시민 소통 강화
  5. 세종테크노파크, 네트워킹데이 개최...입주기업 성장 돕는다

헤드라인 뉴스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한 정시 합격선 예측에서 서울 주요 대학의 경영·의학계열 합격선이 280~290점대에서 형성될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는 문과 지원확대와 의대 정원 원복, 탐구영역 선택 변화 등으로 인해 정시 지원전략에서 문·이과 모두 경쟁 양상이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종로학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어·수학·탐구(2) 원점수 합 기준으로 서울대 경영대학 합격선이 284점, 연세대·고려대 경영이 280점, 성균관대 글로벌경영이 279점, 서강대 경영학부 268점, 한양대 정책학과..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이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활약에 힘입어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 대표팀은 14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에서 2-0으로 승리했다. 홍명보 감독은 4-2-3-1 포메이션을 꺼내 들었다. 9월과 10월 A매치에서는 스리백을 시험했지만, 이날은 포백을 통해 선수들의 기량을 점검했다. 손흥민을 원톱에 세운 뒤 2선에 황희찬과 이재성, 이강인을 배치해 공격 라인을 꾸렸다. 중원조합은 김진규와 원두재를 내보냈고, 포백라인은 이명재, 김태현, 김민재, 김..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