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발사체 누리호 개발 현장 가보니… 연구원 구슬땀 '순항 중'

  • 경제/과학
  • 대덕특구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개발 현장 가보니… 연구원 구슬땀 '순항 중'

항우연, 국내 기술 독자 개발 중인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공개
올 하반기 본발사 위한 비행모델 제작·엔진 클러스터링 검증
신규 구축 중인 누리호 발사대(제2발사대)는 10월 완공 예정

  • 승인 2020-01-19 12:25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KakaoTalk_20200119_120901269
75t급 엔진 연소시험이 진행되면서 구름 모양의 수증기가 대기에 퍼지고 있다. 임효인 기자
(200115)_75톤급 엔진 연소시험
75t급 엔진 연소시험 모습. 항우연 제공
지난 15일 낮 12시 1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쏘아 올려질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75t급 엔진 연소시험이 진행되며 엔진 지상 연소시험설비동에서 커다란 소리와 함께 구름 모양의 수증기가 뿜어져 나왔다. 2분 30초가량 진행된 연소시험은 이날로 139번째로 순탄하게 끝났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순수 우리 기술로 개발 중인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개발 현장을 지난 15일 공개했다. 지상 연소시험설비 장면부터 시험동, 발사대, 조립동 등 누리호 개발과 발사를 위해 각자의 위치서 구슬땀을 흘리는 연구원까지 그간의 과정과 성과를 국민에게 알리기 위해서다.



누리호는 1.5t급의 인공위성을 지구 저궤도(600~800㎞)에 투입할 수 있는 3단형 우주발사체로서 내년 2월과 10월 두 차례 발사 예정이다. 개발과 발사까지 총 1조 9572억 원이 투입된다. 누리호 개발은 1단부터 3단에 이르기까지 단별로 엔진을 포함한 구성품을 개발해 조립·성능시험을 수행하고 시험결과가 모든 규격을 만족하면 비행모델을 제작해 발사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누리호는 단별로 체계개발모델 또는 인증모델을 개발 중이며 올해 하반기부터 비행모델 조립을 착수할 계획이다.
조립중인 누리호 1단 체계개발모델(EM)
조립중인 누리호 1단 체계개발모델(EM). 항우연 제공
누리호는 75t급과 7t급 엔진을 사용한다. 75t급 엔진은 2018년 11월 시험발사체 발사를 통해 비행성능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고 지속적인 지상 연소시험을 통해 엔진의 신뢰성을 확인해 가고 있다. 지금까지 수행된 엔진 연소시험은 지난 8일 기준 1~2단부 75t급 엔진 총 138회, 누적 연소시험 시간 1만 3065초며 3단부 7t급 엔진은 총 77회, 누적 연소시험 시간 1만 2325.7초다.

올해 하반기에는 누리호에서 가장 큰 추력을 갖고 있는 1단을 조립해 75t급 엔진 4개를 묶은 상태(클러스터링)에서 종합연소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누리호 1단은 75t급 엔진 4개를 묶는 클러스터링 작업을 통해 300t급 추력을 갖게 된다. 1단 추력은 300t급이며 2단 추력은 75t급, 3단 추력은 7t급이다.



나로우주센터에서는 누리호가 발사될 제2발사대가 오는 10월 완공을 목표로 구축 중이다. 제2발사대는 나로호 발사대와는 달리 누리호에 추진제를 공급하고 발사체가 세워진 상태에서 발사 준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엄빌리칼 타워(높이 45.6m)가 세워져 있다.

제2발사대 역시 국내 연구진에 의해 독자적으로 구축 중이며 완공 이후에는 누리호 인증모델을 발사대에 기립시켜 발사대 기능을 최종 확인할 예정이다.

임철호 항우연 원장은 "200개 이상 기업과 같이 협력해서 일하고 있다. 내년 발사를 앞두고 올해 마무리하기 위해 성심성의껏 같이 일하는 기업과 함께 누리호 발사가 성공적으로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최원호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국내 최초로 우주발사체를 독자 개발하기 위해 항공우주연구원과 관련 산업체에서 수많은 난관을 극복해 나가면서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올해는 내년 발사를 앞두고 핵심적인 연구개발이 진행되는 중요한 해이므로 정부에서도 적극적인 지원을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2.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3.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4.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5.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1. <인사>대전시
  2.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3.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4. 대전시, 반려동물산업 육성에 힘쏟는다
  5.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이재명 정부가 국가공무원법상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입법예고 한 것을 둘러싸고 지역 관가에서 설왕설래가 뜨겁다. 일선 현장에선 76년 만에 독소조항 폐지 기대감으로 공정하고 투명한 공직 문화 정착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 환영기류가 우세하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장 일각에선 개정안 국회 통과 때 자칫 지휘체계가 휘청이면서 오히려 주민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26일 대전 지역 공직사회에 따르면 인사혁신처가 전날 입법 예고한 국가공무원법 상의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둘..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열띤 경쟁 속에서 펼쳐진 공주시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5일 공주환경성건강센터에서 공주시와 중도일보가 주최·주관한 '2025 공주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74명의 공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본 대회에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먼저 진행되자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을 따라가며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라고 묻거나 친구에게 압박 리듬을 맞춰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