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스나이퍼 sniper] 68. '경죽난서'는 잊지 말되

  • 문화
  • 뉴스 스나이퍼

[뉴스 스나이퍼 sniper] 68. '경죽난서'는 잊지 말되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 승인 2019-07-17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경죽난서(磬竹難書)'는 저지른 죄가 너무 많아 이루 다 적을 수 없다는 말이다. 죽간(竹簡: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사용된 서사 재료)을 모두 사용해도 기록할 수 없다는 뜻으로, 지은 죄가 엄청나게 많아서 글과 말로 일일이 다 표현할 수 없음을 비유하는 것이다.

중국 수(隋)나라의 제2대 황제 양제(煬帝)는 사치스런 생활을 하였으며, 대규모 토목공사와 고구려를 침공하여 살수에서 패하는 등 대외정벌을 계속함으로써 백성들에게 과중한 부담을 주었다.

그래서 농민군의 이밀(李密)은 수 양제를 비판하는 격문을 발표하였는데, 《구당서(舊唐書)》 〈이밀전〉에 다음의 격문 내용이 나온다.

'남산의 대나무를 죽간으로 만들어 다 써도 그의 죄를 모두 적을 수 없으며, 동해의 물을 다 써도 그의 죄악을 씻어낼 수 없다[磬南山之竹 書罪無窮 決東海之波 流惡難盡].'



또 한(漢)나라 무제(武帝) 때 옥에 갇힌 협객 주세안(朱世安)이 공손하(公孫賀)의 죄를 고발하면서 '남산의 죽간을 다 허비해도 나의 말을 모두 기록하는 데는 부족하다[南山之竹 不足受我詞]'라고 한 말이 《한서(漢書)》〈공손하전〉에 전해진다.

[일본의 죄악사] (조찬선 , 최영 지음 & 출간 풀잎향기)의 목차를 보면 다음과 같은 설명이 나온다. => 제1장. 왜 일본은 침략과 전쟁을 좋아 하는가? / 제2장. 역사 조작과 왜곡의 나라 / 제3장. 한국의 뿌리 말살을 시도 / 제4장. 3백만 명을 죽인 임진왜란 / 제5장. 끌려간 노예들 / 제6장. 일본군에 짓밟힌 조선 소녀들 / 제8장. 강제징용과 지옥의 섬 하시마 / 제9장. 일본의 산업혁명과 조선인 강제노동 / 제10장. 죽어서도 당한 명성황후 / 제14장. 총탄에 불탄 제암리교회 / 제15장. 일본의 죄 76가지 / 제17장. 일본을 꾸짖는 세계여론 / 제21장. 협상도 용서도 원치 않는 일본 / 제22장. 악의 침묵은 악의 편이다 <=

목차만으로도 충분히 '일본의 죄악사'를 추측할 수 있다. 예부터 일본(인)은 한국(인)을 우습게 보고 있(었)다. 더욱이 자신들의 긍지이기도 했던 가전제품과 전자기기들, 예컨대 소니와 도시바 등 세계적 브랜드들이 우리의 삼성과 LG 등에 역전을 당하자 수치심까지 느꼈다.

그러던 차,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대일(對日) 외교는 강공모드로 선회했다. 대법원의 잇따른 일본에 불리한 판결 또한 일본의 심기를 건드렸다. 일본은 때는 이때다 싶어 '수출 규제'라는 칼을 빼든 것이다.

조선일보 7월 15일자 <[최보식이 만난 사람] "징용 배상 판결이 '뇌관'이었다… 최근 한일관계 갈등은 모두 법원發">을 보면 이와 연관된 팩트가 더욱 명징(明徵) 해진다.

= "(전략) "그저께 일본 정부 고위 관계자를 만나 이번 경제 제재 조치에 대한 속마음을 들었다. 한국 대법원의 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이 명백했다. 정치적 이유로 경제 제재나 보복을 할 수 없어 다른 이유를 갖다대는 것일 뿐 실제로는 이 문제였다.(이원덕 국민대 교수)" (중략)

― 2012년 대법원에서 "외교 협정으로 개인청구권이 소멸할 수 없다"며 뒤집었는데? "당시 주심(主審)인 김능환 대법관은 '건국하는 심정으로 판결문을 썼다'고 했지만, 한일 관계에 대형 폭탄을 투척한 셈이다.

그 뒤 박근혜 정부에서 파기 환송돼 다시 올라온 이 건에 대해 지금 같은 사태를 우려해 최종 판결을 지연하려 했던 게 '재판 거래' 적폐 프레임에 걸려든 것이다." (중략)

― 최고의 엘리트 집단인 법원이 우물 안 개구리처럼 자가당착(自家撞着)의 우를 범했다. 지금 같은 상황이 되니 해당 판사들은 모두 입을 다물고 있다. (중략)

― 문재인 대통령이 연두 회견에서 징용 배상 판결과 관련된 일본 기자의 질문에 "일본 정부는 더 겸허해야 한다. 한국 사법부 판결을 존중해야 한다"는 식으로 훈계하듯 했다. 일본이 그렇게 얕잡아볼 상대인가?

"일본 국민이 왜 일본 최고 법원이 아닌 한국 사법부의 판결을 존중해야 하나. 현실적인 방책을 마련하는 게 외교인데 우리는 원리주의에 지배된다." (후략)" =

일본의 우리나라를 향한 경죽난서(磬竹難書)는 잊을 수 없다. 하지만 과거에 얽매여서는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 친북(親北), 친중(親中)의 현 정부 기조 역시 그들로서는 일종의 반일(反日) 내지 반미(反美)의 정서로 보는 경향까지 농후함을 잊어선 안 된다.

일본의 '대한(對韓) 보복' 중재에 미국이 시큰둥한 표정을 보이는 건 이런 이유 때문이기도 하다. 수출로 먹고 사는 대한민국 경제에 일본의 잇따른 보복 조치는 자칫 회복 불가능의 블랙홀로 빠져들 개연성까지 농후하다.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홍경석-작가-최종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국제무예올림피아드 6주년 및 태권도무덕관 80주년 챌린지
  2.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변화의 산실, 상상
  3. 농촌 미래세대 캠프, 농업의 가치 재발견 기회
  4. 대전도시과학고, 대전 첫 학교 협동조합 설립 노크
  5. 유성고 50주년, 미래로 도약하는 축제의 장 연다
  1. [아침을 여는 명언 캘리] 2025년 7월4일 금요일
  2. 이은학 정보문화산업진흥원장, 아동학대 예방 캠페인 참여
  3. '한우법 통과'로 새 시대...한우협회 환영 성명
  4. 개원 1주년 제9대 후반기 천안시의회, “시민이 중심이고, 시민을 섬기는 의회 될 것”
  5. 배드민턴화, 기능과 착용감서 제품별 차이 뚜렷

헤드라인 뉴스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이재명 대통령은 4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라는 제목으로 진행된 타운홀미팅에서 "우리가 기억하는 박정희 시대에는 성장을 위해 결국 한 쪽으로 (자원을)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며 "고도성장기에는 성장을 위한 자원 배분이 한 쪽으로 몰릴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거의 특권 계급화된 사람들이 생겼다. 이제 이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균형발전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식민지에서 해방된 나라 중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이룬 나라는 대한민국밖에 없다"며 "재벌이라고 하는 대기업 군단으로 부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요즘 대전에서, 아니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초등생이 있다. 청아하고 구성진 트로트 메들리로 대중의 귀를 사로잡고 있는 대전의 트로트 신동 김태웅(10·대전 석교초 4) 군이다. 김 군이 대중에게 얼굴을 알린 건 2년 전 'KBS 전국노래자랑 대전 동구 편'에 출연하면서부터다. 당시 김 군은 '님이어'라는 노래로 인기상을 받으며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공중파 TV를 통해 강렬한 인상을 남긴 김 군은 이후 케이블 예능 프로 '신동 가요제'에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김 군은 이 무대에서 '엄마꽃'이라는 노래를 애절하게 불러 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