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불·탈법 만연한 불로소득 세법 손봐야 할 때다

  • 오피니언
  • 사설

[사설]불·탈법 만연한 불로소득 세법 손봐야 할 때다

  • 승인 2019-10-09 12:09
  • 신문게재 2019-10-09 23면
  • 이승규 기자이승규 기자
우리나라의 불로소득 규모에 입이 쩍 벌어진다. 유승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 요구한 국감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귀속분 양도·금융소득만 자그마치 136조 원이다. 그것도 부동산 임대료와 상속·증여 재산 부분은 빠졌는데 이 정도다. 그런데 이런 불로소득을 상위 10%가 독식, 돈이 돈을 버는 구조로 소득 불평등을 부추기고 있다는 게 문제다.

실제 85조 원에 가까운 부동산 양도차익은 상위 1%가 23%, 상위 10%는 63%를 가져갔지만, 하위 50%는 5%를 가져가는 데 불과했다. 또 주식 양도차익은 총 17조4000억 원 중 상위 1%가 61%, 상위 10%는 90%를 각각 챙겼다. 반면 하위 50%는 겨우 0.7%다. 배당소득과 이자소득 역시 상위 10%가 90% 이상 싹쓸이했다. 특히 배당소득은 상위권이 1인당 평균 1억5000만~9억6000만 원을 받을 때 하위 50%는 1인당 평균 6000원을 받았고, 이자소득은 상위권이 1인당 평균 1200만~4800만 원의 수익을 낼 때 하위권은 1000원이 고작이다.



이런 가운데 임대 사업자로 등록한 개인 중 보유 주택 수 상위 30명의 임대 주택 수가 총 1만1029채에 달한다는 소식은 집 없는 서민들의 입장에선 씁쓸함을 지울 수 없다. 여기에 걸핏하면 들려오는 고액 자산가들의 편법증여와 고의탈세는 우리 사회의 고질적 병폐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한평생 직장생활에도 집 한 칸 마련할까 말까 한 현실 속에서 엄청난 불로소득을 챙기는 이들을 바라보는 서민들의 박탈감은 안 봐도 뻔하다.

자본주의에서 투자를 많이 한 사람이 많은 수익을 내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편법과 탈법이 동원됐다면 심각한 문제다. 정상적인 것처럼 서류를 꾸며 세금을 탈루해 재산을 증여하고, 변칙으로 상속하는 사례는 누누이 봐왔다. 이런 식의 불로소득이라면 엄한 처벌과 함께 더 많은 세금을 부과해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구미, 주민안전 무시한 보행자 보도정비공사 논란
  2. 안양시, 평촌신도시 정비 ‘청신호’ 가속
  3. 영천, '신성일기념관 개관 기념' 고향사랑기부 이벤트
  4. 순천향대, 취-창업박람회 개최
  5. 아산시보건소, 보건사업 우수사례 질병관리청장상 수상
  1. (주)서연이화, 취약계층에 이불 후원
  2.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3.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4. 위기 미혼한부모 가정에 3000만 원 후원금 전달
  5. 자립준비청년 자기계발비 300만원 후원

헤드라인 뉴스


"지역사랑상품권 지방비 최소분담률, 재정여건 따라 차등해야"

"지역사랑상품권 지방비 최소분담률, 재정여건 따라 차등해야"

국가 예산을 지원하는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발행 시 자치단체가 부담하는 ‘지방비 최소 분담률’은 재정 여건에 따라 차등해야 한다는 평가 결과가 나왔다. 또 이미 보편화 됐지만, 운영자금이나 이자 수입 등 자치단체의 자금 관리가 여전히 미흡하다는 문제점도 제기했다.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해 11월 14일 공개한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및 관리체계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9월 기준 지역사랑상품권을 발행하고 있는 자치단체는 모두 190곳(광역 17곳 중 11곳, 기초 226곳 중 179곳)으로 집계됐다. 상품권 발행액은..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자동차와 반도체 분야 관세율을 포함한 한미 간의 무역 협상이 최종 마무리됐다.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와 우라늄 농축 및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를 포함한 양국의 안보 협상도 문서 형태로 공식화됐다. 대통령실과 백악관은 14일 오전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양국의 관세·안보 협상에 대한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를 동시에 공개했다. 지난달 한미정상회담 직후 나올 예정이던 팩트시트 발표가 지연되면서 세부 내용에서 이견을 보이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지만, 이날 공개된 팩트시트에는 지난 정상회담 당시 발표된 내용이 고스란히 반영됐다..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교도소 이전사업이 8년째 진척을 보지 못하면서 대전시의 명확한 추진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제기됐다. 교도소 과밀화와 시설 노후 문제는 이미 한계를 넘었지만, 이전 사업이 장기간 답보 상태에 놓이며 후적지 개발 계획 역시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열린 대전시의회 제291회 정례회 도시주택국 행정사무감사에서 방진영 의원(더불어민주당·유성구2)은 "대전교도소는 수용률이 142.9%에 달해 전국 평균(122.1%)을 크게 웃돌고, 노후 시설로 국가인권위원회의 개선 권고까지 받..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