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저감 '미미' 조류충돌 '가능'…세종 연기비행장 통합 후속대책 시급

  • 정치/행정
  • 세종

소음저감 '미미' 조류충돌 '가능'…세종 연기비행장 통합 후속대책 시급

연기비행장 통합이전 환경영향평가서 공개
2023년 일부 마을 소음 더 커지고 기준초과

  • 승인 2020-04-02 18:53
  • 수정 2020-04-02 21:10
  • 신문게재 2020-04-03 8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IMG_8438
세종시 행복도시에 인접한 조치원비행장에 군 항공기가 착륙을 시도하고 있다.연기비행장 통합이전사업 후 조치원비행장에 주변마을 소음 저감효과는 미미할 것으로 조사됐다.
세종시 연기비행장 통합이전 사업이 착수된 가운데 조치원읍 월하리에 조성될 통합비행장이 주변 마을에 미치는 항공기 소음은 여전히 기준치를 초과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조치원비행장에서 이륙 또는 착륙 중인 비행체와 조류가 충돌하는 사고가 5차례 있었고, 통합이전 후에도 조류충돌 방지대책이 요구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세종시가 내달 17일까지 공람 중인 연기비행장 통합이전사업 환경영향평가서에 따르면 비행장 통합이전사업 후에 주변 마을에 항공기 소음 저감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2월과 3월 항공기 소음을 주변 마을 5곳에서 측정한 결과 착륙항로에 위치한 송용리 지점에서 77.4웨클(WECPNL)으로 항공기 소음한도인 75웨클를 초과했다.



특히, 운행중인 항공기의 종류와 운항횟수를 바탕으로 통합이전사업이 완료된 2023년 예상 소음은 두 마을에서 기준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됐다.

항공기가 착륙하려 저공비행으로 접근하는 송용리에서 2023년 비행체에 의한 소음도는 81.5웨클로 현재보다 오히려 4.1웨클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또 2023년 소음진동관리법이 개정 시행될 예정인데 바뀌는 국제 통용기준인 엘·디이엔(Lden)에서는 앞서 착륙 항로구간뿐 아니라 이륙항로의 마을에서도 소음기준을 초과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는 송용3리의 가옥이 62.7Lden으로 현재 소음보다 오히려 증가하고, 연서면 월하리 이륙항로에 A 빌라에서는 69.9Lden으로 기준 63Lden을 각각 초과할 것으로 예상됐다.

또 철새 등 조류와 충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도 함께 제시됐다.

1997년부터 지난해 2월까지 조치원비행장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한 조류충돌 사례는 총 5건으로 1997년 2월, 2006년 6월, 2011년 9월, 2016년 1월 두 차례 등 왜가리, 청둥오리, 꿩 등이 비행장에서 이륙 또는 착륙 중인 항공기와 충돌했다.

다행히 2015년 조치원비행장에 폭음경보장치를 설치한 이후 조류충돌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으나, 세종시 농경지가 철새들의 도래지라는 점에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연기비행장 이전사업은 연기면 보통리에 위치한 연기비행장을 폐쇄하고 3㎞ 떨어진 연서면 월하리 조치원비행장으로 통합해 군 헬기전용작전기지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세종시 예산 2593억원이 소요될 예정이다.
세종=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준비 안된 채 신입생만 받아"… 충남대 반도체 공동 연구소 건립 지연에 학생들 불편
  2. '복지부 이관' 국립대병원 일제히 반발…"역할부터 예산·인력충원 無계획"
  3. '수도권 대신 지방의료를 수술 대상으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우려'
  4. 설동호 대전교육감 "수험생 모두 최선의 환경에서 실력 발휘하도록"
  5. 대전시의회 교육위 행정사무감사…학폭 예방 교육 실효성·대학 사업 점검
  1. 2025 '도전! 세종 교육행정' 골든벨 퀴즈 대회 성료
  2. 세종교육청 '수능' 앞둔 수험생 유의사항 전달
  3. [대전유학생한마음대회] 유득원 행정부시장 "세계로 잇는 든든한 주인공 뒷받침 최선"
  4. [대전유학생한마음대회] 박태구 중도일보 편집국장 “문화·언어 달라도 마음이 통하면 우리는 하나”
  5. 세종교육청 2026년 살림살이, 1조 1817억 원 편성

헤드라인 뉴스


주가 고공행진에 충청권 상장기업 시총 174조원 돌파

주가 고공행진에 충청권 상장기업 시총 174조원 돌파

대외 불확실성이 완화되면서 코스피 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4000선을 돌파하자 충청권 상장사들의 주가도 고공행진하고 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의 대규모 매수세가 이어지면서 한 달 새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이 전월 대비 19조 4777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11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10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74조 5113억 원으로 전월(155조 336억 원) 보다 12.6% 늘었다. 10월 한 달 동안 충북 지역의 시총은 27.4% 상승률을 보였고,..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국가유산청은 충남 서천군에 위치한 '서천읍성(舒川邑城)'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서천읍성은 조선 세종(1438~1450년) 무렵에 금강 하구를 통해 충청 내륙으로 침입하던 왜구를 막기 위해 쌓은 성으로, 둘레 1645m 규모에 이른다. 조선 초기 국가가 해안 요충지에 세운 방어용 읍성인 연해읍성 가운데 하나다. 산지 지형을 활용해 쌓은 점이 특징이며, 일제강점기 '조선읍성 훼철령(1910년)' 속에서도 성벽 대부분이 원형을 유지해 보존 상태가 우수하다. 현재 전체 둘레의 약 93.3%(1535.5m)가..

세종 청소년 인구 1위 무색… "예산도 인력도 부족해"
세종 청소년 인구 1위 무색… "예산도 인력도 부족해"

'청소년 인구 최다' 지표를 자랑하는 세종시가 정작 청소년 예산 지원은 물론 전담 인력조차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에 이어 청소년 예산까지 감축된 흐름 속에 인력·자원의 재배치와 공공시설 확충을 통해 지역 미래 세대를 위한 전사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11일 세종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아동청소년 인구(0~24세)는 11만 4000명(29.2%)이며, 이 중 청소년 인구(9~24세)는 7만 8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20%에 달하고 있다. 이는 전국 평균 15.1%를 크게 웃도는 규모로, 청소년 인구 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