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기록프로젝트] 철거 시작된 대전 용문동1·2·3구역, 추억도 기억도 묻혔다

[대전기록프로젝트] 철거 시작된 대전 용문동1·2·3구역, 추억도 기억도 묻혔다

14년 재건축 논의 불구 메모리존과 이주민 기록 못 남겨
1970년대 지어진 양옥주택 즐비… 철거장막 날마다 확장

  • 승인 2020-05-03 18:40
  • 수정 2020-05-13 09:25
  • 신문게재 2020-05-04 5면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재개발과 재건축을 앞둔 동네와 마을의 기록을 남겨보자는 '메모리존' 조성 취지에 공감을 얻으며 [대전기록프로젝트]가 첫발을 뗐다. 중도일보는 이를 출발점 삼아 연중 시리즈로 [대전기록프로젝트]를 이어간다. 대전시의 재개발과 재건축, 도시재생 정책 방향, 기록이 시급한 주요 동네의 모습, 전문가 토론과 타 도시의 사례를 현장감 있게 살펴본다. <편집자 주>

KakaoTalk_20200503_071443792
철거를 앞둔 용문동 1.2.3구역 일대 모습. 이곳은 여전히 사람들이 보행하는 골목이고, 곳곳에 이주하지 않은 주민들의 집들도 있다. 사진=이해미 기자


①[르포] 철거가 시작된 대전 서구 용문동 1·2·3구역

우르르 쾅쾅. 맑은 하늘에 천둥이 내리꽂힌다. 가림막 안쪽 세계는 오늘도 무너진다. 불규칙한 중장비 소음이 들려올 때마다 콘크리트 조각들이 하늘 높이 쌓인다. 가림막 바깥쪽 세상은 폭풍전야다. 동쪽에서 북쪽으로 용문동 일대를 감싸는 장막이 하나둘 늘어만 간다.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 변신을 꿈꾸는 용문동 1·2·3구역 재건축사업현장에서 철거가 시작됐다.

"고향이던 세종을 떠나 용문동에 정착했던 1950년엔 집이 10채도 안 됐어요. 우리 아버지가 흙으로 덧발라서 집을 만들었는데, 대들보며 구들장까지 직접 만드셨죠. 큰 역사랄게 없는 동네인데, 그래도 몇몇 집은 나름 추억이 있을 거예요."



용문동 1·2·3구역 조합의 배려로 류완희 조합장의 아버지가 지은 집으로 향했다. 재개발 구역을 항공뷰로 찍은 사진을 보면 조합장의 집은 다른 집들과는 방향이 다르다. 다른 집들은 열 맞춰 동쪽으로 나란히 서 있지만 70년 동안 자란 나무를 품은 이 집은 '동서'로 확연히 틀어져 있다. 이곳에서 가장 오래된 집이라는 증거다. 

KakaoTalk_20200420_133524986
1950년대에 지어진 흙집. 부엌과 방, 다락방까지 있다. 이주하며 잡동사니가 널려있지만 류완희 조합장은 이곳에서 부모님과 7남매가 살았다고 한다. 사진=이해미 기자
사람이 떠난 집은 볼품 없었다. 집기들은 사방에 널려있고, 거미줄과 잡초들만 무성했다. 어머니가 시집올 때 가져온 뒤주, 7남매의 흔적이 남은 앉은뱅이책상, 사람들 불러모아 밥 한 끼 나눠 먹던 가마솥과 아궁이만이 세월의 흔적을 지켜내고 있었다.

류완희 조합장은 "아버지가 직접 지으셨지만 살면서는 불편했죠. 비만 오면 물을 퍼냈고, 짚으로 지붕을 올린 탓에 수차례 바꾸기도 했고요. 그래도 7남매가 옹기종기 컸고, 좁은 집인데 셋방도 줬던 기억도 나네요"라며 옛 추억을 떠올린다.

순복음교회 뒷골목은 철거가 시작된 길 건너편과는 상황이 조금 달랐다. 반대편 수풀들이 제멋대로 자랐다면 이쪽은 여전히 사람의 손길을 탄 집들이 있었다. 아직 이주하지 않은 주민들이 남아있는 탓이다.

이주를 앞둔 한 주민은 "이쪽 철거까지는 아직 시간이 남아 있어서 조금 더 살려고 한다"며 "평생을 살았기 때문에 쉽게 떠나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용문동 1·2·3구역은 본격 재개발이 논의되면서 2017년 문화재 지표조사를 통해 동네의 개괄적인 역사는 기록해뒀다. 다만 떠나간 이주민들의 기록은 남기지 못했다. 평범한 도시형 마을이었다는 이유로 기억과 기록을 남길 시도조차 해보지 못했다.

류완희 조합장은 "용문동은 30년 이상 된 집들이 대다수다. 830세가 살았는데 사라지는 것들이 왜 아쉽지 않을 수 있겠나. 오전에도 아버지 집 다녀왔다. 많이 아쉽다. 용문동 1·2·3구역은 이렇게 재개발 바람에 사라지지만, 다른 동네라도 기록으로 남길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골목골목을 돌아 용문동을 빠져나오던 길, 팔십이 훌쩍 넘은 노인과 마주쳤다. 약봉지를 든 노인은 "용문동의 역사? 여기는 딸기밭이 많았지. 유등천에서 멱 감고 놀기도 했고. 아주 먼 옛날얘기라 다들 잘 모르지"라며 오래된 골목으로 걸어갔다.
이해미 기자 ham7239@

KakaoTalk_20200503_071416351
주민들이 떠나고 남은 집들. 용문동에는 1970년대 지어진 양옥 형태의 주택들이 많았다. 사진=이해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4 금산무예올림피아드 임원 출정식
  2. [독자칼럼]국가 유산청 출범을 축하 한다.
  3. 2027 하계 U대회...세종시에 어떤 도움될까
  4. 월드비전 위기아동지원사업 전문 자문위원 위촉
  5. [인사]대전 MBC
  1. "내 혈압을 알아야 건강 잘 지켜요"-아산시, 고혈압 관리 캠페인 펼쳐
  2. 세종일자리경제진흥원, 지역 대학생 위한 기업탐방 진행
  3. 세종시 사회서비스원, 초등 돌봄 서비스 강화한다
  4. "어르신 건강 스마트기기로 잡아드려요"
  5. 선문대, 'HUSS'창작아지트' 개소

헤드라인 뉴스


세종시 `도심 캠핑` 인프라...올해 한층 나아진다

세종시 '도심 캠핑' 인프라...올해 한층 나아진다

세종시 '도심 캠핑' 인프라가 2024년 한층 나아진 여건에 놓일 전망이다. 2023년 홍수 피해를 입은 세종동(S-1생활권) 합강캠핑장의 재개장 시기가 6월에서 10월로 연기된 건 아쉬운 대목이다. 그럼에도 호수공원과 중앙공원을 중심으로 '상설 피크닉장'이 설치되는 건 고무적이다. 17일 세종시 및 세종시설공단(이사장 조소연)에 따르면 합강캠핑장 복구 사업은 국비 27억여 원을 토대로 진행 중이고, 다가오는 장마철 등 미래 변수를 감안한 시설 재배치 절차를 밟고 있다. 하지만 하천 점용허가가 4월 18일에야 승인되면서, 재개장 일..

[WHY이슈현장] `충청의 5·18`, 민주화 향한 땀방울 진상규명은 진행형
[WHY이슈현장] '충청의 5·18', 민주화 향한 땀방울 진상규명은 진행형

5·18민주화운동을 맞는 마흔 네 번째 봄이 돌아왔다.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온전하게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5·18민주화운동은 현재진행형이다. 특히, 1980년 5월 민주화 요구는 광주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뜨거운 열기로 분출되었는데, 대전에서는 그동안 교내에서 머물던 '계엄령 해제'와 '민주주의 수호' 시위가 학교 밖으로 물결쳐 대전역까지 진출하는 역사를 만들었다. 광주 밖 5·18, 그중에서 대전과 충남 학생들을 주축으로 이뤄진 민주화 물결을 다시 소환한다. <편집자 주> 1980년 군사독재에 반대하며 전개된 5·18민주화..

`27년만의 의대증원` 예정대로… 지역대 이달말 정원 확정
'27년만의 의대증원' 예정대로… 지역대 이달말 정원 확정

법원이 의대증원 처분을 멈춰달라는 의대생·교수·전공의·수험생의 신청을 받아들이지 않음으로써 '27년 만의 의대 증원'이 예정대로 진행될 전망이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고법 행정7부(구회근 배상원 최다은 부장판사)는 의대교수·전공의·수험생 등이 보건복지부·교육부 장관을 상대로 낸 집행정지 신청의 항고심에서 1심과 같이 '각하'(소송 요건 되지 않음)했다. 다만 의대생들의 경우 "집행정지를 인용할 경우 공공복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며 기각(신청을 받아들이지 않음) 했다. 법원 판단에 따라 의료계가 재항고할 것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무성하게 자란 잡초에 공원 이용객 불편 무성하게 자란 잡초에 공원 이용객 불편

  • 대전 발전 위해 손 잡은 이장우 시장과 국회의원 당선인들 대전 발전 위해 손 잡은 이장우 시장과 국회의원 당선인들

  • 의정활동 체험하는 청소년 의원들 의정활동 체험하는 청소년 의원들

  • 불기 2568년 부처님 오신 날 봉축 법요식…관불의식 하는 신도들 불기 2568년 부처님 오신 날 봉축 법요식…관불의식 하는 신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