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조사 위해 항체진단 기술 필요한데… 최기영 장관 "기업과 기술 공유, 협력할 것"

  • 경제/과학
  • 대덕특구

역학조사 위해 항체진단 기술 필요한데… 최기영 장관 "기업과 기술 공유, 협력할 것"

대전 생명연 본원서 항체 진단기기 현장 간담회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 개발 사례 등 발표

  • 승인 2020-06-02 17:14
  • 수정 2020-06-02 17:16
  • 신문게재 2020-06-03 2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20060357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일 오후 대전시 유성구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을 방문해 김기범 플렉센스 대표이사로부터 '진단용 항원 및 항체 진단키트' 관련 설명을 듣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무증상 감염 등 사후적 감염 환자 파악이 가능한 항체진단 기술 개발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출연연이 기업 지원에 나선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일 오후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하 생명연)에 방문해 국내 항체진단기업 대표들과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날 자리에는 항체진단기업 대표 7명과 생명연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바이오나노연구센터장 등이 참석해 현재 개발된 항체진단 기술 개발 현황을 공유하고 기업의 기술 개발 애로사항 등에 대한 대화를 나눴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확진자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는데 전문가는 지역사회 감염 동향과 면역도 확인을 통한 효과적인 방역대책 수립을 위해 항체검사 등 역학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라며 "코로나19 초동대응을 하지 못한 국가들에선 더 절실한데 항체진단은 무증상 감염 환자의 사후파악도 가능해 역학조사에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항체진단기술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연구기관이 보유하는 기술을 공유하고 기업의 현장 의견을 듣기 위해 이 자리를 마련했다"며 "기관이 개발하는 항체진단 기술 연구 방향뿐 아니라 현장의 애로사항을 바탕으로 기업과 연구소가 협력할 수 있는 방안도 논의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는 생명연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의 '항체진단 국내외 기술동향·개발사례' 발표까지만 공개되고 이후 기업의 애로사항 등은 비공개로 진행됐다.

코로나19 진단기기는 크게 분자진단과 항체진단(면역진단)으로 나뉘는데 현재 국내에선 실시간 유전자 증폭 검사(RT-PCR) 방식의 분자진단 검사만 사용되고 있다. 분자진단 방식은 초기 확진 관리에 높은 민감도를 보이지만 이후 환자의 추적 조사나 격리 이후 검사에선 감도가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반면 항체진단은 일정 시기 이후 항체를 정확히 잡아낼 수 있는 감도로 올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액 채취 후 30분 이내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비용도 2만 원 이하로 비교적 저렴하다.

이규선 생명연 바이오나노연구센터장은 "분자진단은 확진 검사엔 유용하지만 역학조사는 분자와 항체진단 동시에 사용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며 "항체가 어느정도 형성됐는지 확인하기 위한 항체진단 기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재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이 개발한 항원을 사용한 국내기업의 항체진단 기기 임상테스트 결과 민감도와 특이도가 미국 FDA 긴급사용승인을 획득한 제품보다 정확도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업체는 현재 미국 FDA 긴급 사용승인 절차를 진행 중이며 국내 기술 최초로 미국 FDA 항체진단기기 긴급사용승인이 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연수구, 지역 대표 얼굴 ‘홍보대사 6인’ 위촉
  2. 시흥시, 별빛 축제 ‘거북섬’ 점등식
  3. 행정수도와 거리 먼 '세종경찰' 현주소...산적한 과제 확인
  4. 대전 방공호와 금수탈 현장 일제전쟁유적 첫 보고…"반전평화에 기여할 장소"
  5. 호수돈총동문회, 김종태 호수돈 이사장에게 명예동문 위촉패 수여
  1. [경찰의날] 대전 뇌파분석 1호 수사관 김성욱 경장 "과학수사 발전 밑거름될 것"
  2. 초등생 살해 교사 명재완 무기징역 "비인간적 범죄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3.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4. "일본에서 전쟁 기억은 사람에서 유적으로, 한국은 어떤가요?"
  5. KAIST 대학원생 2명중 1명 "수입 부족 경험" 노동환경 실태조사

헤드라인 뉴스


조종사 부족으로 7년째 야간비행 못한 산불진화헬기 `논란`

조종사 부족으로 7년째 야간비행 못한 산불진화헬기 '논란'

산림청이 약 1220억 원을 투입해 도입한 대형 산불진화헬기 'S-64'가 야간 비행 자격을 갖춘 조종사 부족으로 도입 이후 지금까지 단 한 차례도 야간 산불 진화에 투입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국민 세금으로 1000억 원이 넘는 예산을 들여 마련한 '최첨단 헬기'가 7년째 제 기능을 하지 못한 채 사실상 낮 시간대 운항에만 머물러 있는 셈이어서 관리 부실 논란이 제기된다. 20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경북 고령·성주·칠곡)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산림청이 보유한 산불진..

"편의점도 줄어든다"... 인건비 부담에 하락으로 전환
"편의점도 줄어든다"... 인건비 부담에 하락으로 전환

편리함의 대명사로 불리는 편의점 수가 대전에서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됐다. 어려운 경기 상황 속에서도 꾸준히 늘던 편의점 수가 줄어든 것은, 과포화 시장 구조와 24시간 운영되는 시스템상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며 폐점을 선택하는 이들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20일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8월 현재 대전의 편의점 수는 1463곳으로, 1년 전(1470곳)보다 7곳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1년 새 7곳이 감소한 건 눈에 띄는 변화는 아니지만, 매년 단 한 곳도 빠짐없이 줄곧 늘던 편의점이 감소로 돌아서며 하락 국면을 맞는..

`세종시 문화관광재단 대표` 선임 논란… 국감서 3라운드
'세종시 문화관광재단 대표' 선임 논란… 국감서 3라운드

직원 3명의 징계 처분으로 이어진 세종시 '문화관광재단 대표이사' 선임 논란이 2025 국정감사에서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해 2월 임명 초기 시의회와 1라운드 논쟁을 겪은 뒤, 올해 2월 감사원의 징계 처분 상황으로 2라운드를 맞이한 바 있다. 더불어민주당 윤건영(서울 구로 을) 국회의원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세종시청 대회의실에서 시작된 국정감사에서 이 문제를 공론화했다. 공교롭게도 첫 질의의 화살이 박영국 대표이사 선임과 최민호 시장의 책임론으로 불거졌다. 앞서 감사원은 지난 2월 12일 이에 대한 감사 결과 보고서를 공..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즐거운 대학축제…충남대 백마대동제 개막 즐거운 대학축제…충남대 백마대동제 개막

  • 올 가을 들어 가장 추운 날…‘두꺼운 외투 챙기세요’ 올 가을 들어 가장 추운 날…‘두꺼운 외투 챙기세요’

  •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