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26강 계륵(鷄肋)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26강 계륵(鷄肋)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0-07-07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26강 계륵(鷄肋) : 닭의 갈비뼈

본 고사는 너무나 잘 알려져 있으며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이다. 의미로는 닭의 갈비는 먹자니 먹을 것은 없고, 버리자니 아까워서 버릴 수 없다는 의미로 인용되었으며, 비유로는 어떤 것을 취해도 이렇다 할 이득이 없지만 버리기는 아까운 것에 비유되고 있다.



글자 뜻은 鷄(닭 계)와 肋(갈비 륵)이란 두 글자로 구성되어있으며, 후한서(後漢書) 양수전(楊修傳)과 나관중(羅貫中)의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 보인다.

위왕(魏王) 조조(曹操)가 촉(蜀)나라 유비(劉備)를 치기 위해 한중(漢中)으로 진격했다.



마침내 두 나라 군사는 혼전(混戰)했고 촉나라 마초(馬超)장군의 공격으로 조조는 사곡(斜谷)의 입구로 철수하여 주둔하면서 때를 기다리고 있었다. 조조는 둔병(屯兵)한지 오래되었지만 군사들을 진격시키자니 촉의 맹장 마초가 굳게 지키고 있고, 그렇다고 군사들을 거두어 돌아가자니 유비의 군사들에게 웃음거리가 될 것 같아 망설이며 결정을 내릴 수가 없는 참으로 난감한 지경이 되었다.

때마침 아침 취사병이 아침식사에 닭국을 들여왔다. 조조는 닭국을 맛있게 먹다가 탕 속에 있는 닭갈비를 보고 이번 전쟁이 마치 계륵과 비슷하다고 생각했다. 이때 하후돈(夏侯惇)이 군막에 들어와 군호(軍號)를 물었다. 조조의 머릿속은 온통 계륵으로 가득 차 있었다. 그래서인지 그는 무심코 "계륵(鷄肋)이라고 해" 하고 뱉었다.

하후돈은 명을 받들어 모든 군관들에게 '계륵'이라고 군호의 명령을 전달했다.

그런데 행군주부(行軍主簿)인 양수(楊修)가 전달된 '계륵'이라는 두 글자를 보고 수하 군사들에게 짐을 꾸려 철수를 준비하게 했다. 어떤 사람이 하후돈에게 이를 보고하자 하후돈이 크게 놀라 양수를 군막에 불러 물었다.

"공은 어찌하여 짐을 꾸렸소?" 양수가 대답했다.

"오늘의 군호를 보고 위왕께서 얼마 지나지 않아 군대를 물려 돌아가시리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계륵이란 것이 먹자니 살점이 없고, 맛은 있어 버리기 아까운 것입니다. 지금 진격하자니 이길 수가 없고 물러가자니 사람들의 비웃음이 두렵고, 그렇다고 여기 그대로 있자니 이익이 되는 것이 없습니다. 일찌감치 돌아가는 것이 낫다고 여기실 것입니다. 아마 내일 위왕은 분명 군사를 되돌릴 명령을 내릴 것입니다. 그래서 떠날 때 허둥대지 않기 위해 미리 짐을 꾸리는 것입니다."

사실 조조는 정말 돌아갈 생각을 하고 계륵이라는 군호를 내렸다.

모든 군영의 관속들은 계륵의 의미를 잘 몰랐으나, 주부 양수만은 조조의 진의(眞意)를 알아차리고 즉시 행장을 꾸렸던 것이다. 사람들이 놀라 양수에게 물었다.

"어떻게 알았소?" 양수가 대답했다. "닭의 갈비는 버리자니 아깝고 먹자니 먹을 게 없는 것으로, 현 상황에 비유할 수 있어 왕께서 되돌아가려고 하는 것을 알았습니다."

결국 양수는 나중에 조조에 의해 참형 된다. 이는 상관의 마음을 꿰뚫어 보는 능력이 조조로 하여금 질투로 인한 미움과 언제 배반당할지 모를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었다.

그렇다. 버릴 것은 빨리 버려야한다. '걸레는 아무리 잘 빨아도 행주가 되지 않는다.'속담에 "쉰 밥 고양이주기 아깝다." . "내가 먹자니 배부르고, 남 주자니 아깝다."

우리나라도 계륵에 해당된 경우가 있었다.

수(隋)나라에 이밀(李密)이라는 장수가 있었는데 수양제(隋煬帝)가 고구려 침략 원정을 떠나자 반란을 일으켰다. 그때 그는 고구려를 '버리기는 아깝고 피를 흘려 빼앗기에는 만족스럽지 못한 계륵(鷄肋)'에 비유하면서 쓸데없는 전쟁을 일으켜 백성들을 도탄(塗炭)에 빠뜨렸다고 양제를 비난하며 그 이유를 반란의 명분으로 삼았다.

결국 수나라는 고구려 침략을 시작으로 멸망을 자초하였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바둑에서도 별로 크지 않는 돌을 취하는 것을 계륵(鷄肋)이라고 한다. 위기십결(圍棋十訣)중 여섯 번째 봉위수기(逢危須棄 : 위기에 처한 경우 모름지기 버려야 한다.)가 해당될 듯하다.

또 한 번도 읽지 않고 먼지만 잔뜩 쌓여있는 책을 '계륵집(鷄肋集)'이라고 한다. 이말 역시 버리려니 아깝고 읽으려니 싫은 존재이기 때문이다.(차라리 필요한 사람한테 주는 게 낫다.)

세상을 살자면 자기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가 한 두 번이 아니다. 부부(夫婦)사이, 부모자식(父母子息)사이, 친구(親舊)사이, 사제(師弟)사이, 직장의 상하(上下)사이, 연인(戀人)사이 등 못마땅한 많은 경우를 경험해야한다. 모든 사이가 어찌 자기 입맛에 꼭 맞게만 진행되겠는가! 서로 조금씩 양보하고 도와가는 삶이 '행복한 삶' 아니겠는가?

대 자연은 버리는 것이 없다. 하찮은 쓰레기도 버리지 않고 썩혀 자기의 양분으로 거듭나게 한다. 다만 시간이 소요될 뿐이다. 하지만 참고 기다린다.

우리 선조들은 이런 교훈을 남겼다.

'집이 가난하매 좋은 아내를 생각하게 되고, 나라가 어지러움에 어진 재상을 생각하게 된다.(家貧則思良妻 國難則思賢相:가빈즉사양처 국난즉사현상)'

세상의 모든 물건은 그때, 그때에 따라 모두 쓰임새가 있는 것이다. 하찮은 물건이라도 소중히 여기면 반드시 그 물건이 요긴하게 쓰일 때가 있는 것이다. 하물며 인간이겠는가!

국가경영을 위한 인재는 더욱 그러하다. 자기와 배짱이 맞지 않는다고 훌륭한 인재를 버리고 내치면 과연 나라의 흥(興)을 기대할 수 있겠는가?

장상현/ 인문학 교수

5-장상현-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시 '이응다리+중앙공원'서 빛의 향연...22일 개막
  2. 우송정보대 간호학과, 재학생 위한 '취업 멘토링 프로그램' 개최
  3. 대전대·건양대·목원대 SW중심대학 사업단, 지·산·학 협력 활성화 위해 맞손
  4. (사)충남지역혁신사업단, 나사렛대 평생교육원과 업무협약 체결
  5. 건양대 인공지능학과 'KAICTS 2025 추계학술대회' 최우수논문상 영예
  1. [기고]성암 이철영 선생의 사불응(死不應)과 매헌 윤봉길 의사의 생불환(生不還)
  2. 조승래 국회의원, 충남대 후배들과 만나 소통
  3. 배재대 IPP사업단 2026년도 일학습병행 참여기업 모집
  4. 대전과학기술대, 한국스마트혁신기업가협회와 산학 협력 강화 협약
  5.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헤드라인 뉴스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방산기업들이 동유럽 시장에서 1521만 달러 규모의 수출 상담 성과를 올렸다. 한화로는 223억 4195만 원에 달한다. 21일 대전테크노파크에 따르면 지난 13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방위산업 기술 비즈니스 교류'에서 대전 지역 7개 방산·드론 기업이 이같은 결과를 냈다. 이번 상담회는 대전TP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공동으로 방산 사절단을 파견해 진행한 1대 1 비즈니스 상담회로, 폴란드 바르샤바 현지에서 개최됐다. 폴란드는 최근 동북 지역 국경 안보 강화에 나서며 국방예산을 확대하고 군 현대화를 추진하고..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가 내년부터 3·8민주기념관을 직접 운영하며 일반 시민이 참여하는 민주주의 교육프로그램 신설을 준비한다. 20일 대전시와 (사)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4일 개관한 중구 선화동 3·8민주의거기념관을 그동안 대전시가 직접 운영하던 것에서 기념사업회에 운영을 위탁하는 방식으로 내년 1월 전환된다. 3·8민주의거기념관은 1960년 3월 8일 대전에서 시작된 고등학생들의 민주화 시위로, 당시 이승만 정부의 부정부패와 불의에 항거하며 민주주의를 위해 나섰던 학생들의 용기와 희생을 상징하는..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연일 계속되는 초겨울 추위 속에서도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는 봄을 미리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전시가 열린다.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이사장 심상택)은 11월 22일부터 2026년 3월 1일까지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 제라늄 품종 전시회 '우린, 지금부터 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제라늄전문협회와 협업해 진행되며, 약 350종의 제라늄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제라늄은 남아프리카가 원산지로, 화려한 꽃과 쉬운 관리로 한국 베란다 정원에 적합한 식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겨울철에도 꽃을 피워 봄을 미리 준비하는 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