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기 A+대전 대학가 코로나19 '학점 인플레'

  • 사회/교육
  • 교육/시험

무더기 A+대전 대학가 코로나19 '학점 인플레'

한 학과 절반 이상 4.0 맞는 경우도 있어
"학점 의미 퇴색... 대학생활 외에 별도 투입 시간 커져"

  • 승인 2020-08-05 16:12
  • 수정 2021-05-05 15:00
  • 전유진 기자전유진 기자
C0A8CA3D0000015397CEECAF0000F743_P4
대학들이 1학기 성적 평가방식을 절대평가로 바꾸면서 평점 A를 받는 학생들이 무더기로 배출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으로 진행한 원격 수업으로 그동안 진행하던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바꾸면서 빚어진 결과지만, 이 같은 학점 인플레로 성적장학금 폐지부터 취업시 변별력 감소까지 부작용도 속출하고 있다.



5일 대전 대학가에 따르면 지난 학기 온라인 강의로 수업을 대체하면서 대다수 대학들은 기존 상대평가 대신 절대평가를 채택하면서 예년보다 학부생들에게 후한 점수를 준 것으로 드러났다.

충남대는 올해 1학기 전체 강좌에서 담당 교수가 A학점을 부여한 경우는 5만1829건으로 전체 9만9565건의 52.06%에 달했다. 지난해 1학기 A학점은 3만6354건, 전체 10만960건의 36.01%로 전년 대비 16.05% 상승한 것이다.



한밭대는 담당 교수가 비율 제한 없이 학점을 줄 수 있는 절대평가를 원칙으로 하면서 전체 재학생 8500명 중에 4.0 이상 성적을 기록한 학생은 3000여 명(35%)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2학기 등록 학생 8100여 명 중 4.0 이상 학생은 675명으로 8.3%밖에 지나지 않았다. 직전 학기 대비 4.0 이상의 성적을 기록한 학생이 26.7%나 늘어난 셈이다. 대전대도 마찬가지로 올해 1학기 한해 절대평가를 도입해 4.0 이상 학생은 총 8600명 중에 3600명으로 42%에 달한다. 지난해 4.0 이상 학생은 17%로 25%나 늘어났다.

한남대·배재대·목원대 등 다른 대학들도 상황은 비슷하다. 성적 인플레이션 현상이 심각한 모 대학의 어느 학과의 경우 소속 학생 절반 이상이 4.0 이상의 성적을 거뒀다고도 알려졌다.

학교 측은 정상 수업이 어려웠던 점을 고려한 데다 부정행위 방지 차원에서 절대평가를 도입했지만 부작용도 만만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당장 대학들이 변별력이 없어졌다는 이유로 전교생에게 등록금을 반환하고자 성적장학금을 축소하자 해당 학생들의 반발이 거세다. 2학기에도 코로나19 사태로 비슷한 평가 방식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면서 전반적으로 취업 시장에서 높이 매겨진 학점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대 한 학생은 "전반적으로 모두가 성적이 높아지면서 학점에 대한 의미가 퇴색되자 오히려 자체 시험의 난이도가 어려워졌다는 소문도 무성하고 어학연수나 사회경험 등 학교생활 외 준비를 해야될 것이 많아졌다"며 "대학생활 이외에 별도로 투입해야 하는 시간과 노력이 늘어난 셈으로 부담이 커졌다"고 토로했다. 전유진 기자 brightbby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준비 안된 채 신입생만 받아"… 충남대 반도체 공동 연구소 건립 지연에 학생들 불편
  2. '복지부 이관' 국립대병원 일제히 반발…"역할부터 예산·인력충원 無계획"
  3. '수도권 대신 지방의료를 수술 대상으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우려'
  4. 설동호 대전교육감 "수험생 모두 최선의 환경에서 실력 발휘하도록"
  5. 대전시의회 교육위 행정사무감사…학폭 예방 교육 실효성·대학 사업 점검
  1. 2025 '도전! 세종 교육행정' 골든벨 퀴즈 대회 성료
  2. 세종교육청 '수능' 앞둔 수험생 유의사항 전달
  3. [대전유학생한마음대회] 유득원 행정부시장 "세계로 잇는 든든한 주인공 뒷받침 최선"
  4. [대전유학생한마음대회] 박태구 중도일보 편집국장 “문화·언어 달라도 마음이 통하면 우리는 하나”
  5. 세종교육청 2026년 살림살이, 1조 1817억 원 편성

헤드라인 뉴스


주가 고공행진에 충청권 상장기업 시총 174조원 돌파

주가 고공행진에 충청권 상장기업 시총 174조원 돌파

대외 불확실성이 완화되면서 코스피 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4000선을 돌파하자 충청권 상장사들의 주가도 고공행진하고 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의 대규모 매수세가 이어지면서 한 달 새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이 전월 대비 19조 4777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11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10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74조 5113억 원으로 전월(155조 336억 원) 보다 12.6% 늘었다. 10월 한 달 동안 충북 지역의 시총은 27.4% 상승률을 보였고,..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국가유산청은 충남 서천군에 위치한 '서천읍성(舒川邑城)'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서천읍성은 조선 세종(1438~1450년) 무렵에 금강 하구를 통해 충청 내륙으로 침입하던 왜구를 막기 위해 쌓은 성으로, 둘레 1645m 규모에 이른다. 조선 초기 국가가 해안 요충지에 세운 방어용 읍성인 연해읍성 가운데 하나다. 산지 지형을 활용해 쌓은 점이 특징이며, 일제강점기 '조선읍성 훼철령(1910년)' 속에서도 성벽 대부분이 원형을 유지해 보존 상태가 우수하다. 현재 전체 둘레의 약 93.3%(1535.5m)가..

세종 청소년 인구 1위 무색… "예산도 인력도 부족해"
세종 청소년 인구 1위 무색… "예산도 인력도 부족해"

'청소년 인구 최다' 지표를 자랑하는 세종시가 정작 청소년 예산 지원은 물론 전담 인력조차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에 이어 청소년 예산까지 감축된 흐름 속에 인력·자원의 재배치와 공공시설 확충을 통해 지역 미래 세대를 위한 전사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11일 세종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아동청소년 인구(0~24세)는 11만 4000명(29.2%)이며, 이 중 청소년 인구(9~24세)는 7만 8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20%에 달하고 있다. 이는 전국 평균 15.1%를 크게 웃도는 규모로, 청소년 인구 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