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세종이전 충청 공조위협 뇌관되나

  • 정치/행정
  • 국회/정당

중기부 세종이전 충청 공조위협 뇌관되나

"절대불가" 대전 배수진에 세종은 신중모드
정부 검토 장기화 전망 속 갈등 증폭 가능성
行首 등 협력 절실한데…솔로몬 해법 필요

  • 승인 2020-10-22 17:27
  • 수정 2021-05-02 13:53
  • 신문게재 2020-10-23 1면
  • 강제일 기자강제일 기자
AKR20180404040300063_01_i_20180404120124645
중기부 세종이전 여부가 충청권 상생을 위한 4개 시·도 공조를 위협하는 뇌관으로 작용할 우려가 나오고 있다.

행정수도, 혁신도시 등 충청권이 힘을 합쳐야 할 과제가 산적한 가운데 이 사안이 자칫 두 지역 간 갈등의 골을 키우는 휘발성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기부 세종이전설이 불거진 이후 지속적으로 강력반대 의사를 밝혀 온 허태정 대전시장은 22일 국회에서 열린 대전시와 세종시 등 국정감사에서도 재차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허 시장은 이날 중기부 세종이전 여부에 대해 설명해 달라는 더불어민주당 이해식 의원(서울강동을)의 질문에 "세종시 건설 목적이 수도권 과밀화 해소와 국가균형발전인데 굳이 대전에 있는 기관을 세종으로 옮겨야 하는 것이냐"며 "세종정부청사와 거리가 30분 가량이고 중기부의 부족한 업무공간 역시 대전에서 해결할 수 있다"고 답변했다.



여야 의원과 국민들이 모두 지켜보는 국감장에서 허 시장은 사실상 중기부 대전 존치를 위한 정치적 배수진을 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세종시는 신중함을 유지하고 있다. 중기부 세종이전이 행정수도 완성에 기여할 순 있지만, 인접 대전시가 극렬하게 반대하는 상황에서 언급이 부담스러운 모습이다. 조상호 세종시 경제부시장은 중도일보와 통화에서 "행정의 효율성을 위해서 행정수도를 만드는 것으로 대부분 기관은 수도권에서 이전해 논란이 없었는데 중기부는 특수한 상황이어서 염려는 많이 된다"며 "세종시가 대전 혁신도시 조성에 적극 협력하듯이 충청권 상생도 중요한 과제"라고 말을 아꼈다.

이같은 온도차 때문에 중기부가 세종행을 공식 발표한다고 해도 실제 현실화되기 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따를 수 밖에 없을 것이란 판단이 우세하다.

대전시 등의 물리적 반발을 제외하고서라도 넘어야 할 산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2005년 당시 행자부가 만든 중앙행정기관 등 이전계획안에 따르면 세종시로 비수도권에 위치한 기관은 이전 기관에서 제외한다고 돼 있다. 또 행복도시법에도 이곳으로 이전하는 기관은 대통령 승인을 받아야 하고 공청회 개최와 전문가 의견 등을 청취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중기부 스스로 세종행을 원해도 번갯불에 콩 구어 먹듯이 정부가 신속하게 결론을 내릴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이는 이유가 바로 이같은 절차와 규정 때문이다.

일각에선 정부의 검토과정에서 강력 반대하는 대전시와 태도가 다소 어정쩡할 수 밖에 없는 세종시간 갈등 촉발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더구나 정부의 검토 과정이 내년 초를 넘길 경우 지역 간 이해관계와 정치권 '표 계산'이 최대 이슈로 떠오르는 대선정국으로 돌입하기 때문에 결론 도출이 더욱 늦어질 수 밖에 없다. 충청권에는 행정수도 완성과

정치권 관계자는 "행정수도 완성과 대전 충남 혁신도시 조성 등 앞으로 충청권 상생을 위한 협업이 중요하게 대두하는 시점에서 중기부 세종이전 문제가 자칫 충청권 공조를 위협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두 지역이 상생할 수 있는 솔로몬의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KINS 기밀 유출 있었나… 보안문서 수만 건 다운로드 정황에 수사 의뢰
  2. 수도권 뒤덮은 러브버그…충청권도 확산될까?
  3. [춘하추동]새로운 시작을 향해, 반전하는 생활 습관
  4.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경쟁 입찰 조회수 부풀리기 의혹 제기도
  5. [대전다문화] 열대과일의 나라 태국에서 보내는 여름휴가 ? 두리안을 즐기기 전 알아야 할 주의사항
  1.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2. 3대 특검에 검사 줄줄이 파견 지역 민생사건 '적체'…대전·천안검찰 4명 공백
  3. [대전다문화] 세계 일회용 비닐봉투 없는 날
  4. 한국영상대 학생들, 웹툰·웹소설 마케팅 현장에 뛰어들다
  5. aT, 여름철 배추 수급 안정 위해 총력 대응

헤드라인 뉴스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경쟁 입찰 조회수 부풀리기 의혹 제기도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경쟁 입찰 조회수 부풀리기 의혹 제기도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상대책위원회와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가 상가 정상 운영을 위한 대전시민 1000여 명의 서명을 받아 대전시에 공청회 개최를 요구하고 나섰다. 비대위는 경쟁 입찰 당시 상인 대부분이 삶의 터전을 잃을까 기존보다 많게는 300% 인상된 가격으로 낙찰을 받았는데, 높은 조회수를 통해 조바심을 낼 수밖에 없도록 조작한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했다.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와 대전참여연대는 2일 대전시청 북문에서 '지속 가능한 중앙로 지하상가 운영을 위한 시민참여 공청회 청구 기자회견'을 열고 대전시에서 입찰을 강행한 결과 여..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반석역 3번출구, 버드내초인근 상권 등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반석역 3번출구, 버드내초인근 상권 등

숨겨진 명곡이 재조명받는다. 1990년대 옷 스타일도 다시금 유행이 돌아오기도 한다. 이를 이른바 '역주행'이라 한다. 단순히 음악과 옷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권은 침체된 분위기를 되살려 재차 살아난다. 신규 분양이 되며 세대 수 상승에 인구가 늘기도 하고, 옛 정취와 향수가 소비자를 끌어모으기도 한다. 원도심과 신도시 경계를 가리지 않는다. 다시금 상권이 살아나는 기미를 보이는 역주행 상권이 지역에서 다시금 뜨고 있다. 여러 업종이 새롭게 생기고, 뒤섞여 소비자를 불러 모으며 재차 발전한다. 이미 유명한 상권은 자영업자에게 비싼..

"직원 대부분 반대·이직 동요"…해수부 이전 강행 무리수
"직원 대부분 반대·이직 동요"…해수부 이전 강행 무리수

"해수부 전체 직원의 86%, 20대 이하 직원 31명 중 30명이 반대하고, 이전 강행 시 48%가 다른 부처나 공공기관으로 이직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최민호 세종시장이 7월 2일부터 예고한 '해수부 이전 철회' 1인 시위에 돌입했다. 이날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수부 정문 앞에서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옳지 않은 것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란 캐치프레이즈와 함께 거리로 나섰다. 해수부 이전 철회를 촉구하는 입장을 정부부처 공무원을 넘어 시민들과 함께 나누기 위한 발걸음이다. 그가 해수부 이전에 반대하는 입장은 '지역 이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 도심 열기 식히는 살수차 도심 열기 식히는 살수차

  •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